• 제목/요약/키워드: 감각-운동

검색결과 445건 처리시간 0.022초

점진적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고유수용성 감각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effects of progressive proprioceptive motor program training on proprioception and balance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 김경훈;장상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81-91
    • /
    • 2018
  • 본 연구는 점진적 고유수용성 감각 운동프로그램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고유수용성 감각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B 병원 재활의학과에 내원한 만성뇌졸중 환자 29명을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 훈련군 15명과 대조군 14명으로 무작위 분류하여 시행하였다. 훈련군은 1주일 3번, 30분씩, 총 6주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과 함께 일반적인 물리치료를 받았다.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 실시 전 후에 고유수용성 감각, 버그균형척도,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BioRescue장비를 사용하여 균형능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고유수용성 감각, 균형능력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점진적 그리고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의 융합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고유수용성 감각과 균형능력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로 활용 될 수 있으며, 다양한 뇌졸중 환자의 위한 지속적인 융합중재개발이 요구된다.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 및 처리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감각처리 요인 (The factor of sensory processing that affect on the motor and process skill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박명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221-22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의 아동의 운동기술과 처리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감각처리 요인을 증명하여 뇌성마비 아동을 위한 재활 치료 중재 시 임상적 고려 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소재 J 소아발달센터와 N 재활병원 병원에 내원 중인 뇌성마비 아동 36명을 대상으로 운동 및 처리기술 평가와 단축형 감각 프로파일 검사를 실시하였다. Pearson의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기술과 처리기술 및 감각처리능력과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였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운동기술과 처리기술에 영향을 주는 주된 감각처리 요인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운동기술은 감각처리 항목 중 청각여과하기, 활력부족/허약, 시/청각 민감성 항목과 유의미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처리기술은 촉각민감성, 맛/냄새 민감성 항목과 유의미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위계적 다중회귀 모형에서 운동기술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은 움직임 민감성, 청각여과하기, 활력부족/허약 항목이었다. 처리기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본 연구의 모형에서는 확증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활동시 운동기술과 처리기술에 영향을 주는 감각처리 요인들의 관련성과 주요 요인을 검증하여 재활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더 많은 뇌성마비 아동의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본 연구에서 확인되지 못한 처리기술에 영향을 주는 감각처리 요인들을 검증해볼 필요가 있다.

생활체육 참가자의 감각추구성향이 운동열정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Sensation Seeking Tendency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on Exercise 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유정인;김성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11-222
    • /
    • 2020
  • 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감각추구성향이 운동열정과 심리적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생활체육 참여를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험스포츠를 생활체육으로 참가하는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감각추구성향, 운동열정, 심리적 행복감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다양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분석결과 첫째,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성별에 따라 감각추구성향, 운동열정, 심리적 행복감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경력에 따라 감각추구성향, 운동열정, 심리적 행복감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각추구성향의 스릴과 모험은 심리적 행복감의 자아실현감에 경험추구는 심리적 행복감의 쾌락적 즐거움, 몰입, 자신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권태 민감은 심리적 행복감의 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감각추구성향 중 스릴과 모험, 경험추구는 운동열정의 조화열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권태 민감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운동열정은 심리적 행복감 모든 하위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학령전기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운동 및 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for Sensory Motor Ability and Behavior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 김진미;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22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학령전기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운동 및 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3~5세의 발달지연 아동 5명이었고, 실험기간은 2009년 6월에서 11월까지이었다.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주 1회(매 70분), 총 26회기를 실시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다. 그룹감각통합치료 사전/사후의 임상관찰, Behavior during testing의 차이는 윌콕슨 순위검정(Wi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s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 전과후의 임상관찰(Z=-2.023, p=.043) 점수는 소폭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행동 변화를 보기 위한 하위 카테고리인 사회성(Z=-2.121, p=.034), 주의집중(Z=-2.032, p=.042)과총B점ehavior during testing (Z=-2.032, p=.04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운동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확실한 근거를 제시하기 에는 미흡하며, 사회성 및 주의집중과같은 행동 변화에는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는 개별적인 감각통합치료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그룹치료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대상자의 수가 적고, 다양한 내적 환경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아동의 수를 고려하고, 외적변인을 제한하며, 보다 객관적인 자료 수집 방법을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고유수용성감각 증진 훈련에 따른 산업체 만성 외측상과염 환자의 통증 및 관절위치 감각의 변화 (Pain of Industrial Workers with Chronic Lateral Epicondylitis and Changes in Joint Position Sense according to Proprioception Improvement Training)

  • 김상엽;김찬규;고대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285-292
    • /
    • 2013
  • 본 연구는 산업체 만성 외측상과염환자의 재발방지를 위하여 고유수용성감각 증진훈련을 실시하고 통증 및 고유수용성 감각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K산업체 만성 외측상과염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주관절 운동프로그램군 15명, 고유수용성감각 증진 훈련군 15명으로 구성되었으며, 통증은 압통역치와 악력으로 측정하였고, 고유수용성 감각은 관절위치 감각을 측정하여 운동 전과 운동 후, 군간을 비교분석하였다. 집단 내 운동 전 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고, 집단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압통역치, 악력, 관절위치 감각에서 두 군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군간 비교에서는 압통역치, 악력, 관절위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산업체 만성외측상과염 환자의 만성화와 재발방지를 위한 방법으로 고유수용성감각 증진 훈련이 운동프로그램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3D Newton Box를 이용한 PNF 통합패턴운동이 균형, 고유감각, 유연성에 미치는 즉각적 효과 (The Immediately Effects of PNF Combined Pattern Movement on Balance, Proprioception and Flexibility Using 3D Newton Box)

  • 김정자;김대형;김재희;배진선;서진주;송윤아;장현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59-166
    • /
    • 2020
  • 본 연구는 건강한 20대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3D Newton box를 이용한 PNF의 통합패턴 운동을 실시한 후 균형, 고유감각, 유연성의 즉각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19.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집단 내 균형, 고유감각, 유연성의 전·후 차이는 대응 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균형, 고유감각, 유연성을 Y-balance, 눈 고 한 발 서기, 손가락 바닥 닿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운동은 3D Newton box 안에서 PNF의 통합패턴을 적용하였다. 운동 후 균형, 고유감각, 유연성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3D Newton box를 이용한 PNF의 통합패턴 운동이 20대 성인의 균형, 고유감각, 유연성에 즉각적으로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균형, 고유감각, 유연성의 감소로 인해 손상 위험도가 높은 성인 또는 환자에게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운동이라고 사료된다.

12주간의 고유감각자극운동이 농촌지역 중년여성의 만성요통과 감각운동 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12-Week of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s on Chronic Low Back Pain and Sensorimotor Control in Middle-Aged Females in Rural Areasa)

  • 김은주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33-42
    • /
    • 2024
  • 본 연구는 만성요통을 호소하는 농촌지역 50대 중반 여성을 대상으로 고유감각자극을 위한 소도구 운동프로그램을 12주간 적용하여 VAS(visual analogue scale), 정적균형능력 좌·우, 전·후, 그리고 고유감각 운동능력 신체안정성 좌·우, 전·후의 신체적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실험집단(experimental group; EG) 24명, 통제집단(control group; CG) 20명으로 무작위할당 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동질성 검사는 독립 t-검정을 실시하여 평균의 유의차를 분석하였고, 동질성이 확보된 경우 Two-way ANOVA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집단과 12주 시기 간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집단 내 시기 간 VAS, 정적균형능력 좌·우, 전·후, 그리고 고유감각 운동능력 신체안정성 좌·우, 전·후에서 유의한 평균차이로 개선된 결과를 나타냈으며, 집단 간 12주 후에서 실험집단이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감각통합중재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A Systematic Review)

  • 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7-90
    • /
    • 2009
  • 목적: 감각통합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을 통하여 감각통합중재의 객관적인 근거기반을 제시하기 위하여 감각통합중재가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중재 결과 측정에 사용된 평가도구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 체계적 고찰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는 MEDLINE/PubMed, PsycINFO, CINAHL, Cochrane Library, OTSeeker이었고, 검색어는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sensory integration therapy"와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이었다.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논문은 11개로, 근거의 질적 수준은 수준 I과 수준 II, IV이었다. 분석내용으로는 감각 통합중재의 대상군과 중재방법, 중재결과 측정 영역에 따라 중재결과를 측정하는 도구 및 중재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1. 감각통합중재 대상으로는 자폐스펙트럼장애가 30.7%로 가장 많았으며, 전반적발달장애와 조산아가 각각 15.4%이었다. 2. 감각통합중재 방법으로는 J. Ayres에 의해 제시된 전통적인 방법이 36.4%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감각통합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된 결과측정 영역은 행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영역이 40.63%로 가장 많았으며, 운동수행결과를 보기 위한 것이 28.13%, 감각기초 결과를 보기 위한 것이 25.0%이었다. 3. 감각통합중재 효과는 운동수행기술의 중재결과(66.7%)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감각기초를 위한 중재결과가 62.5%, 그리고 행동 문제 해결에 효과적인 경우가 61.5% 순으로 분석 되었다. 학습과 관련하여 쓰기기술에는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감각통합중재는 운동수행기술과 감각기초능력 향상, 그리고 행동문제의 해결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치료적 접근방법이었으나 학습에 관하여는 효과적이지 않았다. 앞으로 감각통합중재의 일차적인 효과가 지속되어학습이나 일상생활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문제를 가지고 연구방법 및 평가도구, 중재방법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감각평가에 따른 원단의 쾌적감과 피부온도 (Comfort and Body Temperature in Different Fabrics by Sensitivity Assessment)

  • 전향란;신윤숙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5-147
    • /
    • 2000
  • 본 연구는 각기 다른 종류의 원단으로 운동복을 만들어 선수들에게 입혀서 운동을 20분간 실시하게 하여 원단에 따라 쾌적감을 평가하였다. 실험방법은 피부온도를 4부위 측정하였고 가슴부위에서 의복 내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매 5분마다 주관적인 쾌적감을 신고하도록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다른 종류의 원단으로 제작한 운동복에 따른 쾌적감과 피부온도의 변화와 의복내 온도의 변화를 알아봄으로서 원단별로 쾌적감을 느끼는 피부온도와 의복 내 온도를 찾아내고 운동복의 디자인이나 설계에 적용하여 쾌적한 운동복을 개발하고자 한다. 그 결과 동일한 원단에서 운동시의 쾌적감은 부위별 피부온도가 높을 때 보다 낮을 때에 쾌적감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운동 시에 발생하는 열을 의복이 열 평형을 이루기 위해 빨리 열을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의복의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각기 다른 원단에서는 시간별 감각평가를 비교한 결과 PE/Wool의 원단이 쾌적하다는 평가를 하였다. 처음 의복을 입었을 때와 운동 중 그리고 운동 후에 피부온도나 의복 내 온도 변화가 적을 때에 쾌적하다는 평가를 하였다.

  • PDF

국소 허혈성 뇌손상 흰쥐 모델에서 경두개직류전기자극이 앞다리 운동감각 기능 증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Improved Forelimb Sensorimotor Function on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a Focal Ischemic Brain Injury Rat Model)

  • 김기도;심기철;김경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73-282
    • /
    • 2011
  • 본 연구는 국소 허혈성 뇌손상 흰쥐 모델에서 tDCS의 자극 적용시간을 달리하였을 때, 앞다리 운동감각 기능변화와 신경영양인자(GAP-43)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손상 모델은 Sprague -Dawley계 흰쥐 80마리를 'Longa'방법을 이용하여 중대뇌동맥(middle cerebral artery)을 폐색하여 유발하였고, 실험군을 4개로 나누었다; 실험군I은 허혈성 뇌손상 유발군(n=20), 실험군II는 허혈성 뇌손상 유발 후 tDCS(10분) 적용군(n=20), 실험군III은 허혈성 뇌손상 유발 후 tDCS(20분) 적용군(n=20), 실험군IV는 허혈성 뇌손상 유발 후 tDCS(30분) 적용군(n=20)으로 나누었다. 앞다리운동감각 기능검사를 위해 수정된 앞다리배치 검사와 단일 팰릿 닿기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신경가소성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로 운동감각 영역에서의 GAP-43 단백질 발현을 관찰하였다. 앞다리운동감각 검사는 14일에서 실험군III (p<0.05)이 다른 군들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단일 팰릿 닿기 검사는 14일에서 실험군III(p<0.01)과 실험군IV(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면역조직학적 검사는 14일에 실험군III이 다른 군들에 비해 현저한 면역양성반응의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0.1 mA의 강도로 20분간 적용했을 때가 앞다리운동감각 기능과 신경가역성 인자 GAP-43 발현에 가장 좋은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