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갈등 경험

검색결과 454건 처리시간 0.028초

대졸초기경력자의 갈등 전이 요인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Conflict Transfer Factors of College Graduates with Early Careers)

  • 최민서;박시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484-49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졸초기경력자가 직장 내에서 경험하는 갈등 전이의 과정을 통해 갈등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 생활을 하고 있는 25-34세의 청년층으로 총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였으며, 수집하여 분석한 자료들의 전체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주제들을 발견하였다. 분석 결과, '인정과 보상 부재', '상사의 불공정성', '직무의 특성(상호의존성, 자율성)', 등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인정과 보상의 부재'는 열심히 일을 해도 인정받지 못한다는 생각에 일에 대한 회의감을 가져왔고 갈등 전이를 일으켰다. 연구 참여자들이 '상사의 불공정성'을 느꼈을 때 과업갈등은 더 증폭되고 관계갈등으로 전이가 나타났으며, '직무의 특성' 중 상호의존성이 큰 직무를 수행할 경우 갈등 전이를 보였고 갈등 수준이 높았다. 반면 직무자율성을 갖춘 근무 환경은 직무 만족감이 컸으며 갈등 전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대졸 청년층의 초기 경력 상태에서 경험하는 갈등 전이의 과정과 갈등 전이 요인을 밝혀냈다는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더불어 연구 참여자들의 직장 내 실제적 장면을 통해 갈등 전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실용적 함의를 가졌다.

작업치료사로서의 갈등 경험에 관한 연구: Parse의 인간되어감 연구방법 적용 (Conflict Experience as an Occupational Therapist: Parse's Theory of Human Becoming)

  • 한상우;함보현;홍덕기;최성열;전병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7-58
    • /
    • 2014
  • 목적 : 작업치료사로서의 보편적으로 경험한 갈등의 의미를 밝히고, 현상에 대한 질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임상치료사들을 위한 직무발전방안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Parse의 인간되어감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자와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체험을 진솔하게 구술할 수 있는 임상작업 치료사 8명으로 선정하였다. 대화 기간은 2012년 1월부터 2월 까지였으며, 시간은 근무 후 약 30~40분씩, 참여자마다 3회 이상 실시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로서의 갈등 체험은 작업치료의 정체성 혼란과 인식 부족을 느끼고, 열악한 근무 환경과 사회생활에서 오는 심적 갈등, 급여 문제로 걱정하지만, 치료에 대한 고민과 노력들로 미래를 희망하는 체험 과정이었다. 그러나 외적, 내적 갈등으로 불안한 현실 속에서도 학문에 대한 자기 개발과 성장을 경험하면서 긍정적인 미래를 향해 발전하며 극복해나가고 있었다. 결론 : 치료사들이 내적 외적인 갈등에서 벗어나, 작업치료의 정체성 확립과 치료에 대한 만족 및 치료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인 물리적 사회적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 PDF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 권력.이념.문화갈등을 중심으로 (Generational Conflicts in Korea : Power, Ideological and Cultural Conflicts)

  • 박재흥
    • 한국인구학
    • /
    • 제33권3호
    • /
    • pp.75-99
    • /
    • 2010
  •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사회의 세대갈등을 권력갈등, 이념갈등, 문화갈등으로 구분하여 갈등 형성의 배경과 실태를 분석하고 그 함의를 논의하는 데 있다. 실태 분석을 위하여 관공서의 집합 자료와 경험적 연구결과들이 활용되었다. 우선, 세대간 권력갈등의 핵심은 권력 이양시기를 둘러싼 충돌에 있다. 세대간 권력갈등을 의회 권력에 국한시켜 볼 때, 정권교체기의 이념적 지향의 부침과는 무관하게 젊은 의원들의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는 저(低) 연령화 추세가 지속되고 있었다. 이러한 세대교체 추세는 당분간 다른 영역에서도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세대간 이념갈등은 2002년 대선 전 후 극대화되었으나 04년 총선 이래 점차 완화되었다. 그러나 조건의 변화에 따라 일정한 계기가 주어지면 다시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문화 격차의 견지에서 볼 때 세대균열의 깊은 골은 대략 출생시점 1970년경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문화갈등의 축을 성장주의 대 소비주의, 집단주의 대 개인주의, 권위주의 대 탈권위주의로 설정하여 갈등의 배경과 실태를 검토했다. 세 유형의 갈등 중 문화갈등의 역기능에 주목해야 한다. 세대간 문화격차 확대는 상호 의사소통을 방해하며 상호 교류와 공동 활동 기피라는 결과를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문화갈등 완화를 위해, 사회 제 부문의 부조리와 비리 척결 그리고 세대 통합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안 등이 제시되었다.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갈등 경험 (Role Conflict Experience of Geriatric Nurse Practitioners)

  • 김세영;권영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86-199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갈등 경험을 알아보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방법: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을 이용한 질적연구로 5명의 노인전문간호사가 참여하였다. 자료수집은 심층인터뷰를 통하여 이루어졌고 인터뷰는 2-4회로 시간은 30분에서 2시간 정도가 소요되었다. 자료의 수집과 분석이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자료의 분석은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도출한 의미있는 진술은 총 75개였고, 이에 따른 의미구성은 총 12개였다. 구성된 의미로부터 6개의 주제를 정하였으며 3개의 주제군으로 범주화하였다. 범주화된 3개의 주제군은 '개인내 역할갈등' '관계 내 역할갈등'과 '제도적 역할 갈등'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법적 지위 보장 마련이 시급한 과제임을 본 연구는 보여주고 있다.

첫 임상실습이 간호대학생의 전문직관, 역할갈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Change in the Nursing Professionalism,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the Nursing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ir first Clinical Experience)

  • 박은희;황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593-601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이 첫 임상실습을 경험한 후 달라진 전문직관, 직무만족, 역할갈등의 변화를 파악하며 간호학생의 임상 실습교육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자고 시도되었다. 첫 임상실습 후 간호학생의 전무직관(t=-2.184, p=.031), 직무만족(t=-2.068, p>.001)은 상승하였다. 그러나 부정적 요소인 역할갈등(t=-3.729, p>.001) 역시 상승하였다. 즉, 간호학생은 첫 임상실습을 통해 예비간호전문인으로서 바른 전문직관을 세우고 자신의 업무에 대해 만족감을 느꼈다. 그러나 간호학생은 첫 임상실습을 통해 임상에서의 현실적인 간호사 역할을 경험한 후, 오히려 심각하게 자신의 미래 직업에 대한 고민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역할갈등의 하부영역 중 개인 내 갈등(t=-3.729, p>.001), 역할모호성(t=-5.720, p>.001)에서 심각한 갈등을 느끼므로, 간호학생을 위한 업무기준과 직준표준안 마련에 대해 간호교육계 및 임상실무 현장 전반에 걸쳐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팀 내 갈등이 팀몰입에 미치는 영향: 팀효능감과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Conflict and Team Commitment: Mediating Role of Team Efficacy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 이목화;한준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831-2843
    • /
    • 2014
  • 팀을 기반으로 한 조직구조가 확산되면서, 많은 조직구성원들이 팀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조직구성원들에게 팀이라는 또 하나의 중요한 몰입대상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갈등의 경험가능성 역시 증가시켰다. 그러나 팀 내 갈등과 팀몰입 사이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아직까지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이 팀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팀효능감과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의 차별적인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통해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은 팀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 째, 팀효능감은 과업갈등과 팀몰입 사이를 완전 매개하였다. 셋 째, 커뮤니케이션 만족도는 관계갈등과 팀몰입 사이를 완전 매개하였다.

복지서비스 이용이 저소득가구의 가족갈등에 미치는 영향 : 경제적 어려움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고찰 (The effects of the interaction between social service use and economic hardship on the family conflicts among low-income families)

  • 정선영;정현숙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1호
    • /
    • pp.5-3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복지서비스 이용이 저소득가구의 가족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 2차 년도에 참여한 1,779가구(중위소득 60% 미만)의 자료를 위계적 로짓 모델로 분석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 가구의 복지서비스 이용정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복지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 경제적 어려움의 증가는 가족갈등을 경험할 확률을 증가시켰다. 셋째, 경제적 어려움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가족갈등을 완화시키는 복지서비스의 영향력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1) 가족갈등을 완화시키기 위해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하는 가구에게 복지서비스가 집중되어야 하고 2) 가족관계 증진 프로그램을 통해 저소득 가구의 경제적·신체적·심리적 부담을 줄여주는 통합적인 복지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유아교사의 관점에서 본 교사와 학부모의 갈등과정 : 근거이론적 접근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the Process of Conflict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 and Parent on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 김영주;이경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237-260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학부모 간에 발생하는 갈등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갈등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7개 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100명으로부터 학부모와의 갈등 사례를 수집하였으며, Strauss와 Corbin(2001)이 제시한 절차에 따라 수집한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개방코딩을 통해 75개 개념과 15개 하위범주, 그리고 '갈등의 원인', '갈등의 조건', '갈등 사태', '갈등의 증폭', '갈등의 해결전략', '갈등의 종료'의 6개 범주를 도출하였으며, 축코딩을 통해서 패러다임에 따라 범주를 통합하고 '갈등의 주 원인제공자'와 같은 범주의 속성과 차원을 도출하였다. 선택코딩 단계에서는 '조율되지 않은 악기들의 전주', '불협화음과 협화음의 이중주', '아름다운 피날레 대 기약 없는 인터미션'의 3가지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이야기의 윤곽을 기술하였으며, 연구결과 전체를 통합하는 상황모형을 제시하였다. 교사들이 실제 경험한 사례들에 근거하여 구축된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갈등과정 이론의 특징을 기술하는 한편, 갈등의 사회적 배경으로 신자유주의적 교육패러다임에 대해 비판적 논의를 제기하였다.

대인 갈등 조정의 서사적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Conflict Mediation in Interpersonal Conflict Situations)

  • 김인영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1권
    • /
    • pp.87-116
    • /
    • 2010
  • 본 연구는 대인 갈등의 특징을 분석하고, 갈등 조정의 서사가 어떠한 특징을 지니고 구성되며, 조정 과정을 거치면서 어떠한 해체 과정을 통해 대안적 이야기로 변화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정에서 갈등조정가가 동원하는 커뮤니케이션 기법을 중심으로 수행하는 역할을 밝히려는 것도 또 다른 연구의 목적이 된다. 본 연구를 통해서 포스트모던 이론의 하나인 사회구성주의 관점의 서사적 갈등 조정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야기 구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서사적 갈등 조정은 과거의 경험에 대해서 심리 중심으로 접근하는 갈등에 대한 치료적 방식과 함께 미래에 대한 대안을 행위 중심으로 접근한다. 특히 갈등의 문제를 대화로 연결하고, 갈등과 문제의 의미를 공동으로 창조하여 발전시켜 나가는 체계로서의 서사 조정은 인간의 주체성과 갈등의 고유성을 전제하면서 새로운 변화를 추구한다. 이러한 지점이 갈등을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주장에 정당성을 부여한다. 특히 이 과정에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기법들이 갈등 조정에 결정적인 효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것은 갈등 현장에서의 조정 전문 분야 중의 하나로 커뮤니케이션학을 정립할 수 있는 핵심적 근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지역주의의 변화: 1988년, 2003년 및 2016년 조사결과 비교 (Change and Continuity in Regionalism: A Comparison of 1988, 2003, and 2016 Survey Results)

  • 윤광일
    • 의정연구
    • /
    • 제23권1호
    • /
    • pp.113-149
    • /
    • 2017
  • 이 글은 지역주의의 미시적, 사회심리적 기반을 파악하기 위해 이의 이론적 작업으로 지역주의의 개념적 위상을 제시하고 편견과 사회정체성이론을 소개했다. 경험적 분석에서는 지역주의의 정서적, 행동적, 인지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1988년, 2003년, 그리고 2016년에 수집한 전국단위의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영 호남 출신에 대한 편견, 차별경험, 지역갈등에 대한 귀인 등의 변화양상을 출신지역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첫째, 호남 출신에 대한 편견이 전국적으로 또한 출신지역 별로 하락하는 추세이다. 다만, 대구/경북 지역 출신의 호남출신에 대한부정적 인식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연령이 낮을수록 호남편견은 낮아지는 것으로 보이나 지지하는 지역정당에 따라 호남편견이 갈리는, 지역갈등과 이념갈등이 중첩되는 양상도 나타나고 있다. 셋째, 대부분의 응답자가 출신지역에 따른 명시적 차별은 경험하지 못했지만 상대적으로 호남 지역출신 응답자의 차별 경험 비율이 다른 지역 출신 사람들에 비해 높게 나왔고, 정체성과 자존감과 관련된 차별 경험 비율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넷째, 호남출신은 지역갈등의 원인을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로 지역주민의 의식과 같은 내적 요인에서 찾고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정부의 경제발전 정책이라는 외적, 구조적 요인에 귀인해 왔다. 이는 편견 대상 집단의 일반적 행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글을 요약하며 편견감소 방안에 대해 논의하며 글을 맺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