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간 질환

Search Result 1,80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노인의 사망요인 분석: 치매와 타 원인간의 비교

  • Kim, Han-Gon;Poston Jr., Dudley L.;Min, Hosik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0 no.1
    • /
    • pp.49-66
    • /
    • 2007
  • 본 연구는 2001년 한국에서 사망한 60세 이상 노인들 62,000명의 사망기록 자료를 이용하여 사망원인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한편 치매에 의한 사망원인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변수를 경험적으로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의 주요 사망원인에 해당하는 악성종양, 뇌혈관 질환, 심장병, 당뇨, 만성 호흡기 질환, 치매, 고혈압, 간 질환, 사고, 결핵 및 기타 질병 등 11개 사망원인에 대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60세 이상 사망자들 가운데 치매에 의한 사망원인과 나머지 19개의 사망원인을 비교하여 치매에 의한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노인인구 가운데 연령이 높을수록 치매로 인하여 사망할 가능성(우도비)이 높으며 여성이 남성에 비해 치매에 의하여 사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치매에 의하여 사망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주지역은 치매에 의한 사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으나 일관성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결혼지위는 치매에 의한 사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 Study on the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Vulnerable People of Thermal Diseases (폭염재난 인명피해 대응을 위한 실시간 온열 질환 플랫폼 고도화 연구)

  • Jung, Kang-Hee;Kwock, Chan-Hyuk;Lee, Su-Hyeon;Kim, Jeong-Eun;Han, Hye-Won;Jung, B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144-147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해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으며, 이중 국내에서는 지난 2018년 폭염을 자연 재난으로 개정했다. 대구시는 매년 지역 현안의 해결과제로 폭염 재난을 언급하고 있다. 이전 연구를 통해 대구시를 대상으로 온열 질환 취약 계층을 고려한 폭염 대응 관제 플랫폼을 개발했다. 본 연구는 온열 질환 의심 환자 판별알고리즘 및 실시간 모바일 앱 알림 서비스를 추가 적용 등 플랫폼 고도화 작업을 진행했다.

간경변

  • 김경희
    • 간의등불
    • /
    • s.8
    • /
    • pp.14-19
    • /
    • 1999
  • 지난호에 간경변에 대한 장문(長文)의 글을 썼습니다만 이번에도 이 테마를 택하게 된 것은 우리나라 간장질환 중 간경변이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나 급속하게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 시점에서 이 질환에 특효약은 없지만 철저한 생활관리만 계속한다면 천수를 다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아주 확실하고 간단한 이 이치를 환자들이 터득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불행을 자초한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습니다. 따라서 우선 생활의 방식을 알아야겠습니다. 그

  • PDF

행복+건강한 마음 - 모든 병의 타깃, 만성질환 - '당신의 간은 안녕하십니까?' 바르게 알아야 만성 간질환도 다스릴 수 있다

  • Lee, Hyeon-Ung
    • 건강소식
    • /
    • v.35 no.1
    • /
    • pp.16-17
    • /
    • 2011
  • 최근에 국내에서 사회적인 문제가 되었던 급성 A형 간염은 염증이 생긴지 1~6개월 이내에 회복되는 질환이다. 그러나 A형 간염과는 달리 염증이 6개월 이상 낫지 않고 지속되는 경우를 만성간염이라 정의한다. 만성간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 PDF

Study on Real-Time Monitoring Platform for Countermeasures for Heatwave (폭염재난 대응 실시간 관제 플랫폼에 관한 연구)

  • Jung, Kang Hee;Kwak, Chang Hyeok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11 no.4
    • /
    • pp.113-118
    • /
    • 2022
  • Global warming has also increased the number of casualties caused by heat-related diseases caused by heat waves along with an increase in global temperature. The vulnerable groups from heat wave damage are outdoor workers and the elderly in particular, and it is necessary to respond the increasing heat wave damage. We propose a real-time control platform in order to reduce casualties of the vulnerable group from heatwaves, this research collects and analyzes user's vital signs data from wearable devices that generates alarms out of the suspected victims who are expected to be affected by heat-related illness and to respond quickly.

Effective Analysis Of SNP Related Gastric Cancer Using SNP (SVM을 이용한 효율적인 위암관련 SNP 정보분석)

  • Kim Dong-Hoi;Kim Yu-Seop;Cheon Se-Hak;Cheon Se-Cheol;Ham Ki-Baek;Kim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435-438
    • /
    • 2006
  •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NP)는 인간 유전자 서열의 0.1%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이는 각 개인의 체질 및 각종 유전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 SNP 정보를 이용 각종 질환의 유전적 원인규명에 대한 많은 생물학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SNP를 이용한 효율적인 분석방법에 대한 전산학적 연구는 많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패턴인식기 중 하나인 Support Vector Machine(SVM)을 이용 한국인의 대표적인 유전질환으로 알려진 위암에 대한 예측율을 실험하였다. 실험 데이터는 간 및 소화기 질환 유전체 센터에서 얻어진 위 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 결과 예측율은 67.3%로 이는 Case Based Reasoning(CBR)방법의 55% 보다 더 좋은 예측 결과를 보였다.

  • PD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국내외 직업성 근골격계질환에 관한 연구)

  • Kim, Chol-H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30 no.2
    • /
    • pp.106-112
    • /
    • 2007
  • 국내외의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현황과 자료를 검토하였다. 국내의 자료는 지난 수년간 대학 연구소에서 수행한 유해요인조사 및 예방사업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들이다.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에 이르는 다양한 업종의 현황을 비교하였다. 외국의 자료와 비교할 때 가장 큰 특징은 국내의 근골격계질환 자료는 발생건수에서도 실제 생산형장에서의 현황보다 축소되어져 있지만, 전체 산업재해나 직업병에서의 비율로 볼 때도 매년 그 발생 비율이 불안정하게 등락함으로서 아직도 국내의 근골격계질환의 발생비율은 여전히 정확한 현황 파악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국내외 자료를 비교 분석한 결과 국내의 근골격계질환 현황은 외국의 평균치와 비교하여 10배 이상 저평가 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업종별로 평균 유병율은 적게는 5%에서 많게는 10% 이상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The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 and Cardiovascular Disease and Periodontitis (건강행태 및 심혈관질환과 치주질환의 융합적 관련성)

  • Kang, Hyun-Jo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11
    • /
    • pp.233-23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behaviors and Cardiovascular Disease and their effects on periodontitis by using data from the 6th KNHANES(2013~2015). The subjects were 19 years older who had Periodontitis and Cardiovascular Disease(hypertension, angina, myocardial infarction, stroke) The final 14,940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SPSS 23.0 Windows). Chi-quare test and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s, and Cardiovascular Disease and presence or absence of periodontitis. Results were related to hypertension, angina,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was 0.684 times lower in the absence of hypertension. Men, age, education, pre-sleep brushing, floss and interdental toothbrush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improve health behavior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both diseases, and to help develop preventive education programs between diseases in the future.

Use of Dietary Supplement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Prescription Drugs in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in a Community Pharmacy (지역약국 방문 만성질환 노인환자의 건강보조식품 복용실태와 처방의약품과의 상호작용 연구)

  • Lee, Su Jung;Lee, Yu Jeung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 /
    • v.22 no.4
    • /
    • pp.347-35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약국을 방문하는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 환자의 건강보조식품 복용여부와 그 종류 및 복용 양상을 알아보고 개별 환자의 처방의약품 목록과 함께 분석하여 발생 가능한 건강보조식품과 처방의약품의 상호작용을 평가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지역 약국을 방문한 만 65세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만성질환 노인환자의 건강보조식품 복용실태 파악을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처방의약품과 건강보조식품 간의 상호작용 여부 및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문헌검색은 2011년 4월까지 출간된 논문을 대상으로 PubMed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설문에 응답한 환자의 처방의약품 목록을 검토하여, 현재 동시 복용중인 건강보조식품과 처방의약품이 상호작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지 파악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만성질환 노인환자 65명(45.5%)이 건강보조식품을 최근 6개월간 꾸준히 복용하고 있었으며 그 중 홍삼이 가장 많은 비율로 34명(31.8%)이 복용 중 이었다. 설문에 응답한 환자의 처방의약품 목록과 복용 중인 건강보조식품 목록을 분석한 결과, 건강보조식품을 복용 중이라고 응답한 65명 중 13명(20.0%)의 환자가 현재 복용하는 처방의약품과 잠재적 (potential) 또는 가능한 (possible) 상호작용이 있는 건강 보조식품을 동시에 복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조식품과 처방의약품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적극적인 복약지도와 실태 조사를 통해 만성질환 노인 환자에서의 상호작용 발생을 예방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의약품 사용이 가능해 질 것으로 사료된다.

Study on Simple Repetitive Work and the Risks of Musculoskeletal Injuries (단순반복 작업유형별 근골격계 질환 발생특성과 예방 대책에 관한 연구)

  • 임완희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9 no.1
    • /
    • pp.24-35
    • /
    • 2004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that most of the workers studied suffered from some sort of musculoskeletal injury, but did not obtain hospital treatment, which shows that although their work was the source of injury, they did not realize the significance of their injury. In addition, there were some subjects that did not even know what musculoskeletal injuries were and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companies need to educate their workers about musculoskeletal injuries and show the significance of the injuries. Also, there was a difference in rates of musculoskeletal injuries in different occupations, with higher rates of injury in esthetics, driving and packaging positions. This calls for the use of automated machinery and alteration of the working environment to make it more ergonomic according to the recommended improvement plan, and continuous effort and support on the part of the company 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musculoskeletal injur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