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 지방산 성분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38초

우리나라 콩의 지방산 조성 및 단백질의 전기영동 패턴 (Fatty Acid Composition and Electrophoretic Patterns of Proteins of Korean Soybeans)

  • 김종군;김성곤;이준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63-271
    • /
    • 1988
  • 우리나라 콩중 장려품종 1품종(봉의) 및 재래종 3품종(KW-12, KLS-77005-1 및 102-B)을 대상으로 일반성분, 지방질의 지방산조성 및 단백질의 전기영동 패턴을 비교하였다. 콩의 단백질 함량은 102-B가 33.7%로서 가장 낮았고, KLS-77005-1이 38.5로서 가장 높았으나 지방질함량은 반대로 전자가 24.2%로서 가장 높았고, 후자가 21.3로서 가장 낮았다. 콩의 지방질은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의 순서로 함량이 낮았으며, 102-B는 다른 콩에 비하여 중성지방질의 함량이 높았고 당지질의 함량이 낮았다. 중성지방질은 트리글리세리드가 주성분이었고 다음이 스테롤이었다. 총지방질의 지방산은 레놀레산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올레산 및 팔미트산으로서 이들 세 지방산이 85%이상을 차지하였다.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의 지방산조성은 모두 리놀레산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콩단백질은 전기영동상 7개의 분리대를 보였으며 KW-12는 IIS글로부린의 함량이 낮았고 102-B는 이의 함량이 높았다. 콩단백질을 구성하는 subunit의 조성은 시료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녹용의 성장 기간에 따른 아미노산, 지방산, 지질성분의 변화 (Changes of Amino Acid, Fatty Acid and Lipid Composition by the Growth Period in Velvet Antler)

  • 전병태;문상호;이상락;김명화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89-996
    • /
    • 2010
  • 엘크 녹용의 부위별, 성장일수별 성분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3년생 엘크 6두에서 각각 녹용성장일수 80일과 90일된 녹용을 채취하여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칼슘, 마그네슘, 아미노산, 지질성분 및 지방산을 분석하였다. 조 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성장일수 80일된 녹용이 조회분 함량은 90일된 녹용에 많았으며, 성장일수간 유의차는 중대의 조단백질에서만 인정되었다(p<0.05). 칼슘과 마그네슘의 함량은 부위별 유의차가 나타났으며(p<0.05) 모든 부위에서 90일에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성장일수 간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녹용의 성장일수간 아미노산 함량은 aspartic acid, threonine, valine, leucine, phenylalanine 및 lysine에서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p<0.05),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모든 부위에서80일된 녹용이 많게 나타났다. 총지질, 중성지질, 인지질 등 지질성분은 성장일수 80일의 녹용의 함량이 많았고, sphingo-phospholipid의 함량이 glycerophospholipid의 함량보다 많았으며 성장일수 80일이 90일보다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Lecithin 함량이 cephaline 함량보다 많았다. 총지방산,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성장일수 80일인 녹용이 많았으나 성장일수간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필수지방산의 함량은 성장일수가 길어질수록 적어지고 하대쪽보다 상대쪽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장근 부탄올 분획의 비만 예방 및 치료 효과

  • 김진숙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0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7-7
    • /
    • 2010
  •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비만은 만병의 근원이다. 동시에 대사성질환의 발병을 증가시키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능이 우수한 약의 개발이 매우 시급하다. 시판되는 약들은 예견할 수 없는 지방변으로 실제생활을 매우 불편하게 하는 부작용과 우울증 및 자살충동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시키고 있다. 특히 생명을 위협하는 약은 시판이 금지되었다. 200여종의 한약재들을 In vitro screening (pancreatic lipase inhibition, PDE inhibition, c-AMP activity), ex vivo screening (lipolytic action on fat pad), short term animal screening(혈중 TG 함량 분석)을 토대로 long term animal model에서비만 예방 및 치료 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호장근 부탄올 분획을 선정하였다. 고지방 사료로 비만을 유도한 rat (Diet induced obesty (DIO) rat)에서 비만 치료 효능이, 고지방 사료로 비만을 유도한 ICR-mice에서 비만 예방 효능이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체중감소, 지방세포의 크기억제, 지방간 예방/치료(간무게, TG함량, 간 색상, 고지혈증 증상억제), 혈중 TNF-a, IL-6, leptin, adponectin 등, 간 조직에서의 pAMPK, SOCS, NF-${\kappa}B$ DNA biding activity, ACC level, FAS expression, CPT-1 activity의 정상화). 호장근 부탄올 분획의 이러한 효능은 AMPK 작용과 CPT-1 작용을 활성화하고 동시에 지방산 합성 억제와 지방산 산화를 촉진함으로 인함임을 규명하였다. 동시에 비만으로 인한 pancreatic beta cell의 파괴를 예방함으로 인슐린 내성을 예방(치료)함을 입증하였다. 이는 AMPK 활성화와 SOCS-3 단백질 억제와 NF-${\kappa}B$-DNA 결합 억제로 인함임을 증명하였다. 3T3-L1 지방 세포주에서 lipogenesis 예방(치료) 및 lipolytic effect에 관여하는 인자들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는 Multi-compounds-multi-targets에 의한 시너지 효과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3배체잉어 근육의 식품성분에 관한 연구 2. 3배체잉어 근육의 지방질 성분 (Studies on the Food Components of Triploid Carp Muscle 2. Lipid Components of Triploid Carp Muscle)

  • 이응호;정부길;김진수;안창범;주동식;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1-168
    • /
    • 1989
  • 3배체잉어의 식품학적 품질평가라는 관점에서 3 배체잉어, 비산란기 및 산란기 2배체잉어의 지방질 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비산란기 2배체잉어 및 3배체잉어의 지방질함량은 $2.4\~3.1\%$로 유사하였으나 산란기 2배체잉어는 이보다 약간 낮은 $1.9\~1.4\%$이었고, 중성지방질함량은 비산란기 2배체잉어 및 3배체잉어가 많았고 반면,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함량은 산란기 2배체잉어가 많았다. 중성지방질은 트리글리세리드($66.9\~86.1\%$)가 주성분이었고, 인지방질은 포스파티딜콜린이 주성분이었다. 시료어간에는 트리글리세리드,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에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근육의 종류간에는 트리글리세리드의 경우 등쪽육이, 포스파티딜콜린의 경우 배쪽육이 함량이 많았다. 총지방질의 지방산조성은 세 시료어 모두 모노엔산의 조성비($39.8\~44.5\%$)가 가장 높았으나, 비산란기 및 산란기 2배체잉어의 경우 다음으로 폴리엔산, 포화산의 순이었고 반면 3배체잉어의 경우 모노엔산, 다음으로 포화산, 폴리엔산의 순이었다. 이들 세 시료어의 주요구성 지방산으로는 18:1, 16:0, 18:2, 18:3 및 16:1등이었고, 3배체잉어는 16:0 및 18:1의 비율이 높았고, 산란기 2배체잉어는 16:0 및 16:1의 조성비가 낮은 반면 20:0, 18:2 및 22:6 등의 조성비가 높았다. 또한 등쪽육과 배쪽육간의 지방산조성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중성지방질의 지방산조성은 총지방질의 지방산조성과 유사하였고, 당지방질의 지방산조성은 중성지방질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시료어 및 근육의 종류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지만, 3배체잉어의 18:0의 조성이 다른 시료어에 비하여 상당히 높다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인지방질도 역시 중성지방질 및 당지방질의 조성과 차이가 있었으나 시료어 및 근육의 종류간에는 조성이 거의 비슷하였다.

  • PDF

양식 및 천연산 어류의 화학성분에 관한 연구 1) 양식 및 천연산 뱀장어의 지질성분 (Comparision of Chemical Compositions between Cultured and Wild Fishes (1) Comparision between Cultured and Wild Eel Lipids)

  • 김경삼;오광수;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06-510
    • /
    • 1984
  • 양식어의 품질평가라는 관점에서 천연산 및 양식산뱀장어의 지질을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로 중성지질, 인지질 및 당지질로 분획하고 GLC로써 이들의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였으며, 중성지질의 트리글리세리드의 HPLC 패턴을 분석하여 양식산과 천연산을 비교검토하였다. 천연 및 양식산뱀장어의 지질함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당지질의 함량은 천연산이 총지질의 $2.6\%$로서 양식산의 $0.6\%$에 비해 4배정도 높았다. 천연 및 양식산 모두 총지질, 중성지질, 당지질의 지방산조성은 $C_{18:1},\;C_{16:0},\;C_{16:1}$의 조성비가 높았으며 그 중에서 $C_{18:1}$의 조성비가 가장 높았다. 양자간의 이들 지방산조성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C_{16:1}$의 조성비는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높은 반면, $C_{18:1}$$C_{22:6}$의 조성비는 양식산이 천연산보다 높았다. 인지질의 경우는 양자 모두 $C_{22:6},\;C_{18:1},\;C_{16:0}$의 조성비가 높았으며 그중에서 $C_{22:6}$의 조성비가 가장 높았다. 천연산 및 양식산뱀장어 중성지질의 트리글리세리드의 HPLC 패턴은 양자간에 약간 차이가 있었다.

  • PDF

국내산 및 수입산 송이버섯과 능이버섯의 일반성분 및 아미노산 함량 비교 (Comparison of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amino acid content of domestic and imported Tricholoma matsutake and Sarcodon aspratus)

  • 김경제;임승빈;김소망;박준기;이서현;김중범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8-21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산과 중국산 능이버섯과 송이버섯의 일반성분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여 채취지역에 따른 능이버섯과 송이버섯의 식품학적 품질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송이버섯의 조회분 함량은 중국 티벳산이 5.52%, 운남 5.40%, 연길 6.95%, 한국 양양 6.40%로 시료 간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조지방 함량은 한국 양양산이 1.19%로 가장 낮았고, 조단백질 함량은 중국 티벳산이 16.83%로 가장 낮아 시료 간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송이버섯의 총아미노산 함량은 중국 연길 $11,490.14{\pm}892.07mg%$, 중국 운남 $8,000.03{\pm}2072.65mg%$, 티벳 $6,815.48{\pm}771.82mg%$, 한국 양양 $6,074.74{\pm}814.86mg%$ 순으로 나타났다. 능이버섯의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총아미노산 함량은 한국산과 중국산 시료 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실험결과 조회분 함량을 중국 남방지역(티벳, 운남) 송이버섯과 한국 양양 및 중국 북방(연길) 송이버섯의 구분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무기질 성분에 대한 추가 실험을 통해 지표 무기질 도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김의 가공 및 저장중의 품질변화 1. 산지별 등급별 품질평가 및 저장중의 변화 (Quality Changes of Dried Laver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1. Quality Evaluation of Different Grades of Dried Lavers and Its Changes during Storage)

  • 이강호;송승호;정인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08-418
    • /
    • 1987
  • 마른김의 산지별 특급과 일반성분, 색소, 아미노산조성, 지방산조성 등 성분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또한 수분활성을 달리한 저장조건하에서의 김의 품질요인이 되는 색소, 지방산, 유리아미노산 및 ascorbic acid등의 면화를 실험하여 품질의 안정성을 고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마른김의 품질은 산지별, 등급별로 차이가 있었다. 등급이 높을수록 단백질 및 chlorophyll a, carotenoid, biliprotein 등 색소함량이 높았다. 지방산조성의 경우 고도불포화산의 함량이 높았고 그 중 $20_{20:5}$산이 $50\%$에 달하였고, $C_{20:5}$산이 $50\%$에 달하였고 $C_{20:5}$산과 $C_{16:0}$산의 함량이 전지질의 약 $70\%$를 차지하였다. 산지별 지방산조성에는 큰 차가 없었고, 등급이 높을수록 $C_{20:5}$산의 함량비가 높았다. 아미노산조성에 있어서는 각 시료간에 큰 차가 없었고 구성아미노산중에서는 Asp, Glu, Ala 등의 함량이 높았다. 2. 마른김의 저장중 성분의 변화에 있어서는 chlorophyll a, carotenoid, biliprotein, ascorbic acid는 저수분활성 즉 $\alpha_w0.1\~0.3$에서 변화가 적었으며 그 중 biliprotein이 가장 안정하였고 carotenoid의 변화가 심했다. ascorbic acid의 경우 고수분활성에서 저장할수록 저장초기부터 급격히 변화되었으며, 갈변도 저수분활성에서 제어되었다. 저장중 지방산조직성분의 변화는 $\alpha_w0.2에서 가장 안정하였고, $\alpha_w0.1에서는 오히려 산화가 촉진되는 결과를 얻었다. 유리아미노산의 경우에는 대조시료에서 Glu, Pro, Ala 등이 전체의 $62.4\%$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감미성분인 Pro, Gly, Ala이 전체의 $47.4\%$ 차지하였다. 저장중에 유리아미노산의 변화를 살펴보면 $\alpha_w0.2에서 저장한 경우 100일후 Ser, Ala, Val, Lys 등이 $80\%$ 이상으로 잔존한 반면 Glu는 불과 $25\%$만이 잔존하였다. $\alpha_w0.6저장에서는 Ala만이 $80\%$ 이상으로 잔존하였고 Met이 가장 변화가 커 $13.8\%$의 잔존율에 불가하였다.

  • PDF

유색미 화학성분의 품종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 of Chemical Composition in Pigmented Rice Varieties)

  • 이호훈;김홍열;고희종;류수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113-118
    • /
    • 2006
  • 유색미의 이화학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현미 색깔이 서로 다른 품종을 재배하여 색도, 일반성분, 지방산, 무기질, 비타민, 식이섬유 등 주요 화학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미의 색도 L값은 흰색 > 녹색 > 적갈색 > 흑자색의 순으로 낮았고, a값은 적갈색 > 흑자색 > 흰색 > 녹색의 순이었다. 단백질함량은 $7.01{\sim}10.74%$의 범위를 나타내어 현미색에 따른 차이가 컸고 그 중 흑자색인 C3GHi계통이 가장 높았다. 지방함량은 $2.6{\sim}3.3%$의 범위로 큰 차이가 없었다. 비타민 $B_1,\;B_2$ 함량과 식이섬유함량은 흰색에 비하여 녹색에서 현저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지방산조성을 분석한 결과 흰색은 올레산과 레놀레산의 지방산 조성비율이 비슷하였으나 흑자색은 올레산보다는 리놀레산의 비율이 높았고, 적갈색은 반대로 리놀레산 보다 올레산의 조성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Fe, Zn, Mn을 제외한 대부분의 무기질 함량은 유색미가 흰색 보다 높은 값을 보였고 그 중에서도 녹색이 가장 높았다.

참기름과 혼합유의 성분 및 NIR Spectrum 분석을 통한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same Oil and Blend Oil by Using Component Analysis and NIR Spectroscopy)

  • 주재영;여용헌;이남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39-743
    • /
    • 2017
  • 참기름에 옥수수기름과 콩기름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나타나는 품질특성을 연구하였다. 차이식별검사, 색도, 산가, 요오드가, 지방산 조성 및 NIR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해 보았다. 색도검사 결과 혼합률이 높아짐에 따라 L, a, b 값이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혼합된 기름의 종류에 따른 특이적인 변화는 확인할 수 없었다. 혼합률이 증가함에 따라 산가는 감소하였지만 혼합유 종류에 따른 차이는 확인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요오드가의 경우 혼합률에 따른 요오드가 변화 및 혼합유 종류에 따른 요오드가 변화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혼합률의 변화와 혼합유의 종류에 따라 linolenic acid 및 특정 지방산 값이 확연히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NIR 분석은 다른 분석방법들에 비해 빠른 시간 안에 분석이 완료되었고, 옥수수 기름의 혼합률 변화에 따른 스펙트럼에는 시료 간 차이가 확인되었으나, 콩기름 혼합유 시료에 대해서는 시료 간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참기름의 품질특성을 확인해 소비자의 먹거리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분석방법을 이용한 데이터의 축적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마 유전자원의 지방산 조성과 감마리놀렌산 함량변이 (Variation on Fatty Acid Profile Including ${\gamma}-Linolenic$ acid among Hemp (Cannabis sativa L.) Accessions)

  • 문윤호;송연상;정병춘;방진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90-193
    • /
    • 2005
  • 종실의 유분함량이 많아 유료작물로 전용이 가능한 대표적인 섬유작물인 대마 종실의 지방산조성의 분석을 통하여 감마리놀렌산 함유여부 및 함량과와 품종간 차이를 조사하였다. 45 수집종의 대마 종실에는 감마리놀렌산의 경우 평균 2.1%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중 IH4 등 7 품종이 $3.1%{\sim}3.8%$로 높으면서 경장이 $31{\sim}122\;cm$로 작아 종실용 품종 육성재료로 유망시 되었다. 도입된 대마의 지방산 조성 변이에서 감마리놀렌산 비율 범위 및 변이계수는 각각 $0.8%{\sim}3.8%$, 42.9%로 품종간 변이가 가장 컸으나 리놀레산은 각각 $51.4%{\sim}61.8%$, 4.2%로 가장 적었다 개화일수와 경장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이었고, 개화일수와 알파리놀렌산 비율 및 경장과 감마리놀렌산 비율간에는 부의 상관이었으며 환각성분인 THC와 다른 형질들 간에는 유의적인 상관이 없었다. 팔미트산과 감마리놀렌산 비율간에는 부의상관, 올렌산과 알파리놀렌산 그리고 리놀레산과 알파리놀렌산은 고도의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감마리놀렌산 함량이 높은 도입종들은 대체로 수집지가 중앙러시아 등 유럽이었고 개화일수가 $29{\sim}44$일로 짧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