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흡충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32초

간흡충증 진단을 위한 피내반응검사의 의의 (Diagnostic Value of the Intradermal Test for the Infection with Clonorchis sinensis)

  • 김종호;윤봉영;이헌주;이현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5권2호
    • /
    • pp.47-52
    • /
    • 1988
  • 1988년 8월초부터 9월말동안 영남의료원 내과를 내원한 사람중 1304명에서 대변도말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중 443명에서는 간흡충증 피내반응검사를 하였고, 간흡충증이 의심되는 79명에 대해서는 집란법을 동시에 시행하여 간흡충증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간흡충 감염율은 3.8%였다. 2) 간흡충증 피내반응검사의 감수성은 82.1%(32/39명)이었고, 특이성은 64.6%(261/404명)이었다. 3) 도말검사상 음성이었으나 피내반응검사가 양성이면서 간흡충증이 의심되거나, 양 검사 모두 음성이나 말초 호산구성 세포의 증가로 간흡충증이 의심되는 사람 79명을 집란법으로 조사한 결과 79명중 16명에서 간흡충란이 발견되었다. 4) 도말검사상 음성이었으나 집란법으로 충란이 발견된 16명중 13명은 경감염이었고 3명은 중등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간흡충증이 의심되는 환자에게는 반드시 대변도말검사와 함께 피내반응검사를 실시하고 필요시 집란법으로 EPG와 EPD을 조사한 후 확진하여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된다.

  • PDF

간흡충 만연 일 지역에서 투약 후 유병률 및 재감염율 조사 (An Evaluation on the Prevalence and Reinfection after Medication of Patients with Clonorchis sinensis in an Endemic Locality)

  • 김석일;박종;김기순;양애향;김영락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4권2호
    • /
    • pp.225-232
    • /
    • 1999
  • 간흡충 및 요코가와흡충 만연 일 지역에서 주민 전체를 대변검사하여 간흡충 감염자를 찾아내고, 이들을 전원 디스토시드로 치료해 주고 2년 후에 유병률과 재감염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흡충 유병률은 투약 전 35.8%에서 투약 후 10.9%로 감소하였다(P<0.01). 같은 시기에 요코가와흡충도 17.0%에서 6.3%로 감소하였다. 2. 간흡충 감염자의 성비는 투약전후 차이가 없었고, 평균연령은 남녀 각각 투약 전 50, 40대에서 투약 후 남녀 공히 60대로 상승하였다. 연령별 분포에서 투약 전 10대에서 관찰되었던 감염자가 투약 후에는 관찰되지 않았고, 투약 전 40, 50, 60, 70대에서 감염자가 관찰되었으나 투약 후에는 50, 60대에서만 관찰되었다. 3. 간흡충 및 요코가와흡충 감염자를 치료하고 2년 후에 관찰한 재감염율은 각각 15.8%, 25.0%이었다. 4. 간흡충 감염자 중 재감염자와 신환감염자의 분율은 각각 50.0%, 50.0%이었다. 요코가와 흡충의 경우는 재감염자만 100.0%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섬진강 상류에 위치한 강변지역인 곡성군 오곡면 송정리에서 마을전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간흡충 및 요코가와흡충의 관리는 비록 유병률이 투약 후에 감소하였지만 성공적으로 관리 또는 박멸되었다고 할 수 없다고 판단되며, 그 원인으로서 재 감염을 들 수 있으며 이 질환의 퇴치를 위해서는 특히 재감염의 관리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경북지역에 있어서 간흡충 감염상의 변화 (Changing patterns of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s in Kyongbuk, Korea)

  • 주종윤;정명숙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3호
    • /
    • pp.155-164
    • /
    • 1997
  • 경북지역에 있어서 간흡충 감염상의 변화를 1993년 5월부터 1995년 4월가지 주민을 대상으로 간흡충 항윈피내반응과 충란검사를 할과 아울러 제2중간숙주인 담수어에서의 본 충 피낭유충 기생 상을 조사하였다. 주민들에 있어서 간흡충 감염률은 7 .7%로 비교적 높았으며. 남성에서 11.3% 여성에서 4.1%로 유의적 차를 인정할 수 있었다. Catalytic model의 특이형을 적용하였던 바. 관측치로부터 얻어진 이론곡선은 남성에서 y = 0.4776($1{\;}-{\;}e^{-0.0375t}$). 여성에서 y = 0.2085($1{\;}-{\;}e^{-0.0138t}$)이었다. Muench의 two-stage catalytic model로 연령별 감염률을 추정하여 y = 0.025($1{\;}-{\;}e^{-0.047t}{\;}-{\;}e^{-0.0235t}$). 즉, 매년 간흡충 감염자는 주민 1.000명에 대괘 4.7명의 비율로 산출되며 감염자 1,000명 중 23.5명의 비율로 음성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간흡충 감염자에 있어서 EPG의 cumulative percentage와 Bliss의 probittable를 이용하여 회귀방정식을 계산하였던 바. 남자에서 y : 0.929 + 1.506 logx. 여자에서 y : 0.473 + 1.767 logx이었다. 채집된 9과 25종의 어류 중 7종에서 간흡충 피낭유충을 검출할 수 있었으며. 평균 감염량이 참붕어에서는 58.1개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10.2개인 몰개였으며 납지리 및 두우쟁이에서는 각각 3.6 및 7.0개이었다. 이상의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경북 지역의 간흡충증은 수십년전에 비해 적게 유행되고 있으며 계속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섬진강 유역 곡성군, 순창군 지역 주민의 간흡충증 관리 (Control of Human Clonorchiasis at Gokseong-gun and Sunchang-gun near the Sumjin River in Korea)

  • 김석일;윤우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9권1호
    • /
    • pp.163-175
    • /
    • 2004
  • 섬진강 유역 곡성군 및 순창군 지역은 주민의 간흡충증 유병률이 약 10~40%이다. 이 지역의 간흡충 질환의 퇴치를 위해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간흡충 간염자를 진단 및 치료하고 예방교육을 통해 이 질환의 관리효과를 관찰 하였다. 간흡충 집중관리 이전의 제1차 간흡충증 유병률 조사를 실시하였다. 비확률 표본추출의 방법에 따랐다. 전남 곡성군 주민 1,243명에 대하여 대변을 받아 Formalin-ether 집란법으로, 전북 순창군 주민 1,004명에 대해서는 혈청을 받아 ELISA 검사로 간흡충증을 진단함으로써 두 지역의 간흡충증 유병률을 파악하였다. 간흡충 감염자 전원을 디스토시드 약물로 치료해 주고 재감염 방지를 위한 예방교육을 실시하였다. 간흡충 집중관리 이후의 제2차 간흡충증 유병률 조사를 1차 조사 후 9개월 뒤에 곡성군 주민 616명, 순창군 주민 2,637명을 대상으로 1차 조사 때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얼마나 유의하게 유병률이 감소하였는지를 판정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곡성군 및 순창군의 집중관리 이전의 제1차 간흡충 유병 각각 평균 39.0%, 30.1% 이었고 두 군을 통 털어 면 단위별로는 61.5%에서 8.9% 범위이었다. 두 군 모두 섬진강변에 위치한 면에서 강으로부터 먼 면보다 유병률이 높았다. 또한 대변검사와 ELISA의 Field survey 상의 진단적 신뢰도에 큰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2. 간흡충 감염자 전원을 약물 치료 및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9개윌 후에 실시한 제2차 조사 결과, 곡성군 및 순창군의 간흡충 유병률은 22.4%, 16.3%로 집중관리 이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두 군 공히 유의하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01). 이상의 결과에서, 섬진강 유역의 곡성군, 순창군 지역은 간흡충 감염이 고도로 유행하고 있었고, 집중관리에 의해 유병률이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섬진강 유역의 다른 지역도 간흡충증의 집중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본 연구의 간흡충증 관리 모형을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 PDF

근교계 nude 및 DS 마우스 폐강삼출세포와 혈청의 간흡충 감염에 대한 면역이입의 시도 (Attempts to Transfer Immunity against Clonorchis in Nude and DS Mice)

  • 최동익;정동일;강덕희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4호
    • /
    • pp.371-380
    • /
    • 1991
  • 간흡충 피낭유충의 경구감염 또는 간흡충 성충의 대사산물의 피내주사로 감작한 근교계 nude 및 DS 마우스의 복강삼출세포와 혈청이 간흡충 감염에 대한 면역을 동승(syngeneic) 마우스에 이입하는지 여부를 구명하기 위해 대조군 마우스에서의 EpG, 부하충체수 및 모장당 plaque 형성세포수를 기준으로 감작군에서의 그 성적과 비교하였다. Challenge 감염후 EpG의 변동은 감작군과 비감작 대조군 마우스와 nude 및 DS 마우스와의 사이에 유의한 차를 인정할 수 없었다. 간흡충 성충의 회수률에서는 감작군과 비감작 대조군 사이에 유의적 차를 인정할 수 없었으나 nude 마우스는 DS 마우스에 비하여 다소 높은 회수률을 나타내었다. 비장에서 plaque 형성세포는 복강 삼출세포 $5{\times}10^5$와 Group II DS 마우스의 혈청 0.1 ml를 복강에 감작한 제4군에서만 소수 검출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세포성 면역계에 결손이 있다고 알려진 근교계 nude 및 DS의 복강삼출세포와 혈청에 의해서는 간흡충에 대한 면역이 이전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PDF

간흡충감염예방(肝吸蟲感染豫防)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I보(報) 한국산축견(韓國産畜犬)의 간흡충(肝吸蟲) 및 묘흡충(猫吸蟲) 감염율조사(感染率調査) (Studies on the Prevention of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I. Observation on the Infection Rate of Clonorchis sinensis and Opithorchis felineus in Korean Dogs)

  • 이재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7-19
    • /
    • 1965
  • 이리지방(裡里地方)의 축견내장(畜犬內臟) 150두분(頭分)을 부검(剖檢)한 결과(結果) 15예(例)(10%)에 있어서 간흡충(肝吸蟲)의 감염(感染)을 그리고 2예(例)(1.3%)에 있어서 묘흡충(猫吸蟲)의 감염(感染)을 보았다. 이 사실(事實)로 미루어보아 우리나라에 있어서 감염견(感染犬)으로 부터 간접적(間接的)으로 사람에게 감염(感染)이 성립(成立)되는 것이 명확(明確)함으로 축견(畜犬)의 감염예방(感染豫防)이나 감염견(感染犬)의 박멸(撲滅)은 예방의학적(豫防醫學的) 견지(見地)에서 중대(重大)한 의의(意義)가 있다.

  • PDF

간흡충 : 충체 및 대사성 항원의 특성분석 (II) 간흡충 감염 가토에서 간흡충, 분비배설액 및 담즙 항원의 분획 양상 (Clonorchis sinensis: Analysis Characterization of Somatic and Metabolic Antigen (II) Profile of the Worm, Excretory-secretory and Billis Antigen in C. sinensis Infected Rabbit)

  • Yong-Suk Ryang;Yoon-Kyung Cho;Ji-Sook Le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9-94
    • /
    • 1997
  • 가토에게 간흡충을 감염시키고 3개월 후 거살한 다음 간흡충의 충체, 간흡충의 분비배설액 그리고 간토의 담즙을 조항원으로 제조한 후 이에 대한 항원단백질의 구성물질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cysteine계 면역억제제인 E-64와 serine계 면역억제제인 PMSF를 첨가하였을 때 단백질 구성물질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였다. 실험적으로 가토에서 얻은 간흡충 성충의 조항원은 200-9 kDa의 범위에서 26개의 분획 을 관찰하였으며, 간흡충 성충 조항원에 cysteine계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인 E-64를 첨거하였을 때 잘 보존하여 200-9 kDa의 범위에서 29개의 분획을 관찰하였다. 간흡충 성충의 분비배설액 조항원은 200-9 kDa범위에서 27개의 분획이 관찰되었으며, cysteine계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인 E-64를 첨거하였을 때 잘 보존하여 200-9 kDa의 범위에서 29개의 분획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간흡충을 감염시킨 가토의 담즙 조항원은 200-9 kDa의 범위에서 19개의 분획이 관찰되었으며, serine 계 단백질분해효소인 PMSF를 첨거하였을 때 200-10 kDa의 범위에서 22개의 분획이 관찰되었으나, cysteine계 단백질분해효소인 E-64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대조군인 건강 가토의 담즙 조항원은 200-10 kDa의 범위에서 22개의 분획이 관찰되었으며, serine계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인 PMSF를 첨가하였을 때 잘 보존하여 200-12 kDa의 범위에서 23개의 분획이 관찰되었다. 앞으로 각 항원에 대한 면역학적 특징 및 단세포군 항체에 대한 구체적인 규명이 계속되어야겠다.

  • PDF

뉴스페이지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9권3호통권76호
    • /
    • pp.10-14
    • /
    • 198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