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업무공간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노인 요양원의 의료공간에 관한 이론적 고찰 (A Study on Medical Spaces of the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 김진수;박재승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45-52
    • /
    • 1996
  • This study will perform the theoretical study of totally dependent elderly facilities- nursing home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about nursing units and rehabilitative spaces. It will be started from the perception that the highest priority is to derive the ideal design guidelines on nursing units and rehabilitative spaces of nursing homes in Korea. This study aims to represent architectural idea and the examination of typological differences of nursing units and rehabilitative spaces among nursing home plans.

  • PDF

병동 간호업무의 로봇 시스템화 (Robot Systemization of Ward Nursing Work)

  • 장애리;조용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465-470
    • /
    • 2021
  • 본 연구는 로봇시스템화를 통한 병동 간호업무를 위한 방향에 대해 전망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지금까지 개발된 병동간호업무에 사용가능한 로봇시스템들은 작동의 어려움이나, 공간적 제약, 높은 가격으로 보편화되지 못했다. 병동 간호업무의 로봇시스템화는 가급적 환자와 접촉하는 시간 이외의 업무를 줄여주는데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의 로봇시스템화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2인 인터뷰를 통해 활력징후측정에 대한 로봇시스템화와, 침상교환을 돕는 로봇시스템화에 대한 아이디어는 공학분야와 함께 논의해볼만 하다. 이에 병동내 간호업무의 로봇시스템화를 설계시 제한점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성공적인 간호와 타학제간 융합을 위해 간호업무에 대한 세심한 직무분석이 필요하고, 융합의 시행착오 극복을 위해 간호학과 타학제간 융합학회를 설립할 필요가 있다. 성공적인 병동 간호업무의 로봇시스템화는 병원의 수익 창출 뿐 아니라 간호사의 위상을 높이고, 간호업무의 혁신을 일으키는 발단이 될 것이다.

비정규직 임상연구 간호사의 근무경험 (Work Experience of Irregular Clinical Research Nurses)

  • 김혜옥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23-634
    • /
    • 2015
  • 지방 종합병원 임상 시험센터에서 근무하는 임상연구 간호사로서의 근무경험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함이다. "비정규직 임상연구 간호사로서의 근무경험은 어떠한가?" 임상연구 간호사의 업무 역할 경험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해석하고 그 의미를 밝히기 위해 Spradley의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주제는 다음과 같다. 임상연구 간호사로서의 업무 역할 경험에 있어 기존 간호업무와 관련하여 '임상연구 간호사로서의 사회화 되어 가는 과정', '연구 대상자들을 통한 애환'이었다. 임상연구 업무전문성은 전문교육부재', '연구 총 기획자의 역할'이었다. 근무환경 측면은 '자신만의 공간', '여유와 배려 속에서 주도적인 근무 환경'이었다. 복지 측면은 '비정규직만이 가진 고충'이었다. 비정규직 임상연구 간호사로서 근무경험은 간호사 역할 확대와 더불어 사회화 학습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업무과정을 원활하게 수행하려는 경험을 하고 있었다. 결론은 간호사의 역할 확대에 따른 간호 전문직론에 임상연구 간호사의 직무분석과 역할이 추가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사회적으로 비정규직 임상연구 간호사의 근로조건 개선에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A Study on the Nurse Scheduling Optimization Model for Nurse Needs-Type Scheduling Automation System

  • Song, Mi-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57-64
    • /
    • 2020
  • 오늘날 정보 기술의 발전으로 병원은 의료분야에서 모바일 컴퓨팅 기술을 접목하여 의료 정보의 방대한 데이터를 관리를 위해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병원정보시스템을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여전히 수작업으로 근무 편성표를 작성하는데 많은 노력과 시간을 소요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간호사의 교대 근무를 편성하는 최적화 모델을 연구하고 이를 적용한 간호사 니즈형 근무 편성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실제 S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정보 데이터와 요구조건 및 제약조건들을 구성하였다. 이를 적용하여 최적화된 스케줄링 처리 방법을 제안하였고 웹 서버를 중심으로 실시간 상호 교환 및 공유가 가능하기 위해서 수간호사가 사용하는 웹 기반 플랫폼과 일반 간호사가 사용하는 모바일 앱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따라서 개발된 간호사 니즈형 근무 편성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서 수간호사는 매월 간호사의 근무 편성을 위한 업무 편리성을 증가시켜 주며, 간호사는 개인 일정관리를 통해서 좀 더 정확하게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간호사간의 근무 일정의 공유하여 업무의 효율성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