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등급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2초

요양기관별 한국노인의 기능상태와 장기요양등급 비교 (The Comparison of Functional Status and the Level of Health Care Needs in Elderly Koreans in Health Care Institutions)

  • 김현실;정영미;이홍자;조유향;유인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86-397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functional status and the level of health care needs in elderly Koreans in health care institution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521 elderly patients admitted in 50 health care institutions (hospitals, oriental hospitals, geriatric hospitals, and health care facilities) selected through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in 2008. We used a long-term care (LTC) assessment tool developed by the government, which consists of 52 items with 5 subscales.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functional status and the level of health care needs among the subjects in different health care institutions. Of the sample population in geriatric hospitals, 48.9% were eligible for LTC Category 1, 20.9% for Category 2, and 17.2% for Category 3, and 13.1% of the subjects were not eligible for any of the categories. Of the sample population in health care facilities, 29.9% were eligible for LTC Category 1, 20.5% for Category 2, and 21.8% for Category 3, and 27.0% of the subjects were not eligible for any of the categorie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system that helps determine whether a subject is eligible for LTC.

장애인의 운동실태와 영향요인 (State and factors influencing on exercise in the disabled)

  • 임재란;김현리;최영숙;김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335-1341
    • /
    • 2013
  • 본 연구는 장애인 운동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기 위하여 장애인의 운동실태를 확인하고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서술적 연구로서 한국에 거주하는 장애인 369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장애인의 84.5%가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운동은 장애원인(p<.001), 장애유형(p<.001), 장애등급(p<.01), 교육정도(p<.01), 경제상태(p<.05), 재활체육 의도(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장애인의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재활체육 의도로 나타났으며, 재활체육에 대한 의도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가 의도를 갖고 있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운동을 실천할 승산은 16.18배(95% CI = 7.45~37.14)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 장애인들이 꾸준히 규칙적으로 운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병원 퇴원 후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인 간호중재와 장애인 대상 운동 유지 증진을 위한 간호전략 및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서울특별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통합돌봄 요구 (Needs for Integrated Care for Older Adults in Seoul)

  • 김형수;고영;손미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77-187
    • /
    • 2020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돌봄요구군을 분류하고, 군간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한국보건사 회연구원이 진행한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의 자료를 이용한 이차자료 분석연구로, 분석대상은 2017년 노인실태 조사 참여자 중 서울시 노인 999명, 가중치 부여 1,295,491명이다. 돌봄요구군의 분류를 위하여, 의료요구, 일상생활수행 지원요구, 사회적 활동 지원요구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지원요구가 하나도 없는 일반군이 50.4%, 의료요구군이 17.9%, 일상생활수행 지원요구 또는 사회적 활동 지원요구가 있는 복지요구군이 14.2%, 의료요구와 복지요구가 모두 있는 복합요구군이 17.5%이었다. 성별, 흡연, 치매검진, 지난 1년간 외래이용, 일상생활수행 도움 여부, 비동거 자녀 또는 손녀 여부를 제외한 일반적 특성, 장기요양등급 및 장애등급 현황, 경제적 부담 및 일상생활 도움 정도, 건강행태와 건강상태, 삶의 만족도에서 돌봄요구군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1). 복합요구군에게 의료와 복지의 통합돌봄 서비스를 우선 제공해야 한다. 특히 복합요구군은 의료, 복지, 운동, 영양, 정신건강, 간호의 요구를 모두 가지고 있는 대상자로 다학제적 팀 접근이 필요하다.

장기요양 인정자의 사망 전 의료 및 요양서비스 이용 양상 분석 (Utilization and Expenditure of Health Care and Long-term Care at the End of Life: Evidence from Korea)

  • 한은정;황라일;이정석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1호
    • /
    • pp.99-123
    • /
    • 2018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자 중에서 사망한 자의 임종 관련 의료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임종 관련 의료비의 효율적 관리방안과 양질의 임종관리 제공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자료는 건강보험 및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이용자료,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자료이며, 2008년 7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 장기요양 인정등급을 받고 같은 기간 내 사망한 자 총 271,474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는 여성(60.6%), 75세 이상(74.7%)이 다수를 차지했고, 대부분이 2개 이상의 질환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특히 고혈압(44.3%), 치매(42.3%), 뇌졸중(29.9%) 등 비율이 높았다. 사망원인은 순환기계질환(29.8%), 암(15.3%), 선천성 기형, 변형 및 염색체 이상(14.7%) 등의 순이었고, 사망장소로는 의료기관(64.4%), 자택(22.0%), 사회복지시설(9.2%) 순이었다. 대상자의 등급인정 이후 사망까지 소요시간은 평균 516.2일이었고, 대상자 중 99.3%는 사망 전 1년간 건강보험 또는 장기요양보험 급여를 이용하였다. 특히, 1인당 평균 총 급여비는 사망한 달에 가까워질수록 규모가 커져, 사망 전 12개월 보다 사망 전 1개월에 3배 이상 높아졌다. 또한, 사망 전 1개월간 대상자의 31.8%는 연명치료 범위에 해당하는 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장기요양 인정자의 임종 관련 불필요한 의료이용 감소 및 효율적 의료관리를 위해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 급여의 통합적 임종관리 전달체계 확립과 호스피스 등 임종케어의 적극적 도입을 제안한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 분류 틀 개발 및 타당도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lassification of Home-based Long-term Care Activities)

  • 송미숙;송현종
    • 한국노년학
    • /
    • 제34권2호
    • /
    • pp.369-38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 대상자의 요양문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관리함에 있어서 수요자, 공급자, 제3지불자간의 소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 분류 틀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분류 틀을 구성함에 있어서 7개의 재가서비스 영역을 종축으로, 요양문제 목록화, 요양목표 설정, 서비스 제공이라는 재가서비스 과정을 횡축으로 설정하였다. 분류 틀을 고안하기 위하여 두 종류의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였고, 제1전문가 집단이 재가서비스 분류 틀을 설계한 후 제2전문가 집단이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여 재가서비스 분류 틀 초안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재가 서비스 분류 틀의 구성타당도와 기준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국에서 152명의 재가서비스 수요자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분류 틀 내의 재가서비스 항목별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21개의 요양목표에 따라 114개 재가서비스 행위를 분류할 수 있었으며 행위분류 틀의 내적신뢰도 cronbach α가 0.9 이상으로 내적신뢰도가 확보되었다. 장기요양등급을 준거로 하여 기준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21개 요양목표 중 12개 요양목표의 요구도가 장기요양등급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재가서비스 분류 틀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의 간호등급 상승 요인 분석 (Study on Factors Associated with the Rise in Grade of Nursing Management Fee among Korean Hospitals)

  • 최현민;한남경;이상규;김한성;최성경;정우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0-52
    • /
    • 2015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crease in Grade of Nursing Management Fee of medical institutions and establish a reasonable government policy by examining which factors affect the increase of nurse staffing. Methods: Analyzing data collected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resource management department with targets of 1,104 medical institutions. The study period was 5 years from June 30, 2008 to June 30, 2013. SAS ver. 9.2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by a chi-square test and also conducted mui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for variables of basic characteristics, human resource characteristics, and material resources. Results: Adjusted odds ratio (AOR) of the rise in Grade of Nursing Management Fee among other hospitals compared to hospitals owned by government or universities was 0.264. The AOR in hospitals established after November 2006 compared to those before June 1995 was 2.383. The AOR in Gangwon, Chungcheng South, and Jeolla South Provinces compared to Seoul was 0.084, 0.036, and 0.194, respectively. The AOR in hospitals with more than 6.75 specialists per 100 beds compared to those with less than 6.75 specialists per 100 beds was 7.514. The AOR in hospitals with more than 17.48 nurse per 100 beds compared to those with less than 17.48 nurse per 100 beds was 3.300. The AOR in hospitals with 50% to 75% bed utilization, 75% to 90% bed utilization and more than 90% bed utilization compared to those with less than 50% bed utilization was 5.428, 9.884, and 10.699, respectively. The AOR in hospitals with on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more than two MRI compared to those with no MRI was 2.018 and 2.942,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result has showed policies to induce the rise in Grade of Nursing Management Fee among old hospitals and the incentive system for local medical institutions are needed. Also we need to develop a governmental policy for medium-small hospitals with low operation rate of beds and insufficient medical personnel and number of equipment in hospitals.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여부가 의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ng-term Care Utilization on Health Care Utilization of the Medicaid Elderly)

  • 정운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746-6755
    • /
    • 2014
  • 본 논문은 기초생활보장수급자를 대상으로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여부가 의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장기요양 1등급 판정을 받은 기초생활보장수급자 5,8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의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2007-2009년 총 진료비 변화량을 설명하는 $R^2$은 22.6%이었으며,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자에 비해 미이용자는 8,297,329원 증가하였다(${\beta}=.29$, p< .001). 입원일 변화량의 $R^2$은 22.4%이었으며, 서비스 이용자에 비해 미이용자는 119.013일 증가하였다(${\beta}=.33$, p< .001). 총 진료비와 입원일 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여부, 수발자 여부, 2009년 일상생활수행능력, 간호처치, 재활기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요양 서비스 미이용자의 의료 이용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미이용자에 대한 적정 의료와 요양서비스 이용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로 된다.

간호관리료차등제 등급별 입원 환자의 건강 결과 (Inpatient Outcomes by Nurse Staffing Grade in Korea)

  • 조수진;이한주;오주연;김진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5-212
    • /
    • 2011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 staffing levels and differences in patient outcomes in terms of average length of stay, in-hospital mortality rate and 30-day death rate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policy that differentiates fees for inpatients on the basis of nurse-to-bed ratios. Methods: We obtained information on inpatients from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published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HIRA) in 2008, organizational factors(type of hospital, ownership) from the records of the hospital report system in 2008, and nurse staffing levels, which were graded on a scale of 1 to 7, from data compiled between December 15, 2007, and September 20, 2008. The data were segregated according to type of hospital and quarter and finally 3,517 records of 1,182 hospitals were analyzed using multi-level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length of stay in grade 1~6 hospitals was lower than that in grade 7 ones, but the difference was much below one da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different grades in tertiary hospitals. Further, variations in staffing levels did not result in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hospital mortality rate and 30-day death rate. Conclusions: High nurse staffing levels did not result in better patient outcomes compared with low staffing levels. We therefore recommend modifying the above nurse staffing policy so as to make it more effective in improving patient outcomes.

일개 지역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in a Long Term Care Hospital Caregivers)

  • 홍나경;강경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187-19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지역 요양병원 간병인의 일반적 특성, 감염관리 특성, 감염예방지식과 감염관리환경을 확인하고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지역 8개 요양병원의 간병인 197명이며, 자료수집은 자가기입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2018년 8월에 진행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in 20.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multiple stepwise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감염 예방지식은 감염관리수행도와 유의한 상관관계(p<.001)가 있었다.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영향요인은 70세 이상(t=2.50, p=.013), 8시간 근무(t=-2.62, p=.010), 1등급(t=2.48, p=.014), 감염예방지식(t=2.96 p=.003)이었으며, 제 변수들은 요양병원 간병인 감염관리수행도의 12.9%를 설명(F=6.70, p<.001)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추후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요양병원의 감염관리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원직복귀 산업재해 근로자의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 Care Utilization of Disabled Workers Who Returned to Their Original Workplace after Occupational Accident)

  • 이현주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0호
    • /
    • pp.167-180
    • /
    • 2023
  • 본 연구는 산업재해로 인해 신체장해가 남은 원직복귀 산업재해 근로자의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의료이용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21년 근로복지공단 패널조사 자료에서 장해등급을 받고 원직복귀한 산업재해근로자 457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6.0를 이용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일용직, 하위층 경제상태, 육체적 활동 제약,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이 외래이용 횟수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일상생활 지원자, 화상, 육체적 활동 제약이 의료비 지출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원직복귀 산업재해 근로자 의료이용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사업장 내 보건관리자의 역할 확대와 사업주가 직장복귀 계획 수립시 의료이용 계획을 포함해야 하며, 아프면 쉴 수 있는 유급병가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화상치료 및 재활급여 범위의 확대 방안을 마련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