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등급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3초

응급실 간호사의 임상 등급(clinical ladder)에 따른 간호역량 및 행동지표 개발 (Nursing Competency And Indicator Development By Emergency Nurse's Clinical Ladder)

  • 육신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481-494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nursing competencies, sub-competencies and behavior indicators according to the clinical ladder of emergency nurses. Method: index of content validation was used by 21 clinical experts. Results: This study had three phases to develop nursing competencies, sub-competencies and behavior indicators. In first phase: 12 nursing competencies and 33 sub-competencies were develop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on nursing competency and emergency nurses' job description. The content of 12 competencies and 33 sub-competencies were reviewed by 3 nursing professors. The 12 competencies and 33 sub-competencies were followed: clinical judgement and measures(6 sub-competencies), processing ability of ward works(2 sub-competencies), flexibility(2 sub-competencies), resources management(2 sub-competencies), confidence(3 sub-competencies), cooperation(2 sub-competencies), professional development power(2 sub-competencies), patient service orientation(3 sub-competencies), inclination toward ethical value(5 sub-competencies), influence power(2 sub-competencies), developing others(2 sub-competencies), self control(2 sub-competencies). In second phase, 132 behavior indicator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nurse clinical ladder: novice, advanced novice, competent, proficient. In Third phase, content validity was examined on 132 behavior indicators by 21 clinical experts. 126 among 132 indicators had over 70% agreement among experts and 6 indicators under 70% were revised. Conclusion: nursing competencies, sub competencies and behavior indicators can be used nurses' clinical performance as well as establishing proper directions for professional growth related to reward system.

  • PDF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등급 (clinical ladder)별 간호역량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Nursing Competency Scale according to a Clinical Ladder System for Intensive Care Nurses)

  • 박지은;김소선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01-512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nursing competency scale according to a clinical ladder system for intensive care nurses. Methods: Index of content validation was done by 20 clinical experts and 80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ICU). Results: The process and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12 nursing competencies were us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clinical ladder system (Jang, 2000). Second, the first draft of the competency lists was developed. It was based on the clinical nurses' behavioral indicators of nursing competency by Jang (2000), and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various literature reviews including competency standards for specialist intensive care nurses in Australia and consultation with 2 clinical nurses with over 10 years experience in the ICU. Third, the draft was examined by 20 clinical experts for content validity. Finally, the final draft was analysed using clinical validity where 20 nurses in each ladder participated. The final number of items was fixed at 309. Conclusion: The tool represents expected nursing competency of nurses working in ICU. Intensive care nurses can recognize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identify directions for their professional growth by analysing results of their competency evaluation using this tool.

간호수가 누락률 감소활동 (Activity to reduce the record missing for nursing care charge)

  • 김난자;이용교;김혜진;정옥주;송남경;전미순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3-78
    • /
    • 2009
  • 문제: 오늘날 간호사는 과거와 달리 현대적 보건의료 요구를 해결할 수 있는 체계적인 이론과 기술을 습득하도록 훈련된 고급 전문 인력이고, 간호행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생산원가 뿐만 아니라 전문 인력으로서의 훈련 및 유지비용 등도 투입되어야만 가능하게 함으로서 2008년 7월부터 시행한 중환자실 간호등급에 따른 간호수가 책정으로 인해 중환자실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많은 간호행위 중 수가를 받을 수 있는 부분이 생기게 되었고 간호행위의 중요성과 더불어 간호를 시행 후 받을 수 있는 수가에 대한 간호사들의 입력에 대한 의무도 늘어나게 되었다. 이에 빈번히 누락되고 있는 간호수가 관리를 통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해야 할 필요성을 느껴 개선활동을 하고자 한다. 목적: 2008년 7월부터 시행한 중환자실 간호등급에 따른 간호수가 책정으로 인해 중환자실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간호 행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구체적인 문제 분석과 간호 현장에서의 개선안을 도출함으로써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간호수가 누락률을 감소시키고자 함이다. 의료기관: 대구파티마병원 내과 중환자실. 질 향상 활동: 업무개선의 방법으로 환자 개인별 간호수가 입력 누락 방지 체크 리스트 사용 및 처방 전달 시스템의 간호수가 재입력 화면을 이용하여 입력의 용이성 도모하였고 입력된 간호수가를 처방 전달 시스템 간호수가 조회 프로그램을 이용해 익일 누락여부를 매일 모니터링 하였다. 교육 및 홍보활동으로는 간호수가 입력누락 방지를 위한 간호수가 입력 지침을 제작하여 전체간호사는 년 2회, 신규간호사는 개별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월별 간호수가 누락통계를 실명 공고 하여 간호수가 다 빈도 누락 간호사는 추가 개별교육을 실시하였다. 개선효과: 간호수가 입력 프로세스 개선을 통해 간호수가 평균 누락률이 개선 전 6.5%, 개선 후 1.2%로 5.3%의 누락 감소율을 보였으며 역치 5%를 달성하였고 간호수가 누락금액은 개선 전 2,992,752원, 개선 후 590,787원으로 2,401,965원의 누락 효과 비용을 구할 수 있었다. 본 QA활동으로 중환자실 간호수가 전산입력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부재와 신규간호사들의 잦은 전산누락이 있어왔으나 표준화 된 체크리스트 지침과 입력확인 작업으로 전산입력 누락률이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추후 심평원 청구 작업을 하는 부서와 연계되어 실제 청구 누락률에 대한 비교와 간호사 근무연수와 간호수가 입력 누락률에 대한 상관관계 조사를 제언 해 본다.

  • PDF

간호등급별 병원 간호사 직무만족 조사 (A Study of the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Related to Nurse Staffing)

  • 김종경;박성애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29-539
    • /
    • 2003
  • Purpose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by the rank of nurse staffing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management for nurses. Method :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ree hundred twenty nurses working at tertiary eight hospitals which were from 2nd rank of nurse staffing to 5th. rank of nurse staffing in Seoul, from August 1 to September 30 of 2003, through survey. For the experimental tools, used Park-Yoon's job satisfaction for nurses(1992) which was modified Stamp's job satisfaction test(1978). The acquir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program using descriptive method, $x^2$-test, ANCOVA, and LSD. Results : Overall job satisfaction of nurses showed fairly high level of 3.17; in the order of high score, 3.84 for interaction, 3.00 for autonomy, 2.63 for administration. Analysis based of the rank of nurse staffing showed that hospitals of 2nd rank and 3rd. rank of nurse staffing which were higher ratio of patient vs nurse were more satisfied with nurses' job satisfaction than other nurses who were 4th. rank and 5th. rank of nurse staffing.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hospital which was higher the rank of nurse staffing was more influenced of nurses' job satisfaction and especially interaction, administration and autonomy which were sub-category of job satisfaction were different among the ranks of nurse staffing.

  • PDF

병동 간호사의 임상등급 간호역량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Nursing Competence Measurement Scale according to Nurse's Clinical Ladder in General Wards)

  • 박미란;김남초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57-271
    • /
    • 2014
  • Purpose: This methodological study was done to develop a Nursing Competency Measurement Scale based on the clinical ladders of nurses working in wards. Methods: Thirty clinical experts and 501 ward nurses evaluat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cale. A survey using the Nursing Competency Measurement Scale was conducted with 114 nurses to evaluate relia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instru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1.0. Resul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identified 13 components of nursing competencies and 30 core nursing competencies based on each of the 4 grade clinical ladders. Cronbach's ${\alpha}$ coefficient for the total was .92. Cronbach's ${\alpha}$ reliabilities of each clinical ladder grade were .83 for Grade I, .84 for Grade II, .81 for Grade III, and .84 for Grade IV. The Content Validity Index (CVI) of the scale with 120 individual items was 0.976~1.000 for Grade I scale, 0.986~1.000 for Grade II scale, 0.984~1.000 for Grade III scale, and 0.992~1.000 for Grade IV scale. The expert group nurses' average degree of nursing competence measured using the scale was 3.38~3.75 out of 4.0. Conclusion: Through this process, 120 final questions were confirmed to represent items of the Nursing Competency Measurement Scale based on clinical grade.

간호사의 업무 부담에 따른 정서적 소진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Burnout on Hospital Nursing Workload)

  • 김유진;김철웅;임효빈;이상이;강정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93-102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정서적 소진의 정도와 영향요인을 알아보고 간호사의 업무 부담과 정서적 소진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010년 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에서 실시한 교육에 참여하고 설문에 응답한 간호사 중 65개병원의 3,083명이다. 연구 결과는 첫째, 간호사의 71.6%가 정서적 소진을 경험하였으며 정서적 소진의 평균점수는 33.54점이었다. 둘째, 비간호 업무 경험은 정서적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충분한 간호인력'변수는 정서적 소진을 높였다. 넷째, '간호등급'은 간호사당 4병상 이상에 비해 3.5-3.9 병상만이 정서적 소진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다섯째, 내과병동에서 근무하는 경우(OR=2.05)와 임상경력이 짧을수록 정서적 소진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간호 업무 부담을 나타내는 '비간호 업무 경험', '충분한 간호인력', '간호등급'의 3가지 변수 모두 정서적 소진을 간호사 수준과 병원 수준에서 설명력 있는 유의한 변수였다. 또한 '근무부서', '임상경력'도 정서적 소진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임이 나타났다. 즉, 비간호 업무 경험이 많을수록, 간호 인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할수록, 간호사당 침상수가 많을수록, 내과부서에 근무하는 경우, 임상경력이 짧을수록, 정서적 소진을 나타내었다.

한국형응급환자분류도구를 적용한 응급실에서 소아 환자의 중증도 분류 정확성 (Triage Accuracy of Pediatric Patients using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in Emergency Departments)

  • 문선희;심재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626-634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형응급환자분류도구(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를 사용한 소아 중증도 분류의 정확성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자료는 2016년 10월부터 2017년 9월까지 1개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센터에 방문한 소아환자의 자료 중 무작위로 추출한 250건의 간호초진기록지와 진료결과였다. 수집된 자료를 검정된 전문가가 분석하여 true-triage를 정하였다. 중증도 분류 정확도는 응급실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결과와 전문가의 true-triage결과와의 일치도로 평가하였다. 전문가 의견에 따라 중증도 분류 오류의 원인이 분석되었고, KTAS 등급과 퇴원, 체류시간, 진료비와의 연관성이 비교되었다. 연구결과 전문가와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등급은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weighted kappa=.77). 중증도 분류 불일치의 원인 중 활력징후 결과를 KTAS 알고리즘 기준에 잘 못 적용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n=13). KTAS 1,2 등급과 같이 중증도가 높을수록 퇴원이 적었다(${\chi}=43.25$, p<.001). 연령을 보정했을 때 KTAS 등급에 따라 체류시간(F=12.39, p<.001)과 진료비(F=11.78, p<.001)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KTAS는 국내 응급실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므로, 새로 개발된 중증도 분류 도구가 국내 응급실에 잘 적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이용이 기능상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the Functional Status Changes of LTC(Long-Term-Care) Services)

  • 현경래;이선미
    • 한국노년학
    • /
    • 제32권2호
    • /
    • pp.593-609
    • /
    • 2012
  • 이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시행 4주년을 맞이하는 현 시점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의 기능상태 변화와 그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8년 8~9월 당시 장기요양 등급(1~3등급)을 받은 수급자 가운데 1년 후인 2009년 8~9월에도 장기요양 인정조사를 받은 17,65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2009년의 기능상태가 2008년과 비교해 전체 항목에서 개선되었으며, 특히 일상생활기능, 행동변화, 재활, 수단적 일상생활기능, 인지기능, 그리고 간호처치 항목 순으로 개선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대상자의 기능상태 변동요인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먼저 시설서비스를 이용한 경우 1등급에서는 재활, 2등급에서는 일상생활기능 항목의 기능상태가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재가서비스 중 방문요양 급여를 이용한 경우 1등급에서는 일상생활기능, 2등급에서는 일상생활기능과 재활, 3등급에서는 일상생활기능, 인지기능, 행동변화 항목에서 기능상태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또한 주·야간보호 급여를 이용한 경우는 1등급에서 일상생활기능, 수단적 일상생활기능, 행동변화, 재활, 2등급에서는 행동변화, 그리고 3등급에서는 인지기능, 행동변화 항목에서 기능상태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끝으로 단기보호 급여를 이용한 경우는 3등급에서만 행동변화 항목의 기능상태가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통해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는 그들의 등급과 이용하는 장기요양 서비스에 따라 기능상태 개선 효과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들의 실질적인 기능상태 개선을 위해서는 수급자의 건강 및 기능상태 등에 대한 객관적이고 포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 맞춤형 서비스제공체계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표준급여모형의 급여종류를 수급자의 종합적인 상황을 반영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은 물론,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에 수급자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작성인력의 전문성 등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수술실 간호사의 경력등급별 간호행위분석 (Nursing Action Analysis of Operation Room Nurse According to Their Career Ladders)

  • 채수정;안준희;김은혜;김효정
    • 임상간호연구
    • /
    • 제18권1호
    • /
    • pp.86-98
    • /
    • 2012
  •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a training manual for operation room nurses through an examination of nursing action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performance, importance, and the levels of difficulty.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five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s according to one's career ladders, resulting in getting 181 OR nurses enrolled. Methods: Researchers developed a questionnaire using a 5-point Likert scale which measuring OR nurses' actions, importance, and the levels of difficulty. The frequencies of performance, importance and the levels of difficulty of nursing action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ir career ladders using one-way ANOVA. Results: The frequencies of perform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26 items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career ladders; the importance in 6 items; and the levels of difficulty in 19 items among the OR nurses' actions. Conclusion: Given the fact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frequencies of performance, importance, and the levels of difficulty in nursing action across differing work experience, continuou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job training based on one's work experience seem crucial in practice.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의 장애요인 및 활성화 방안 (Analysis of Barriers and Activating Factors of Visiting Nursing in Long-term Care Insurance)

  • 임지영;김은주;최경원;이정석;노원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283-299
    • /
    • 2012
  •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의 이용실태, 기관운영 현황 및 제도적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에 근거한 방문간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방문간호 활성화를 위해 기존의 처치 중심의 방문간호 이외에 대상자의 건강사정, 자가관리 교육, 투약관리 및 예방관리를 위한 기본방문간호를 신설하여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 상에 방문간호 이용을 필수사항으로 지정하여야 함을 제안한다. 또한 장기요양 대상자의 등급에 따라 일정 비율의 방문간호를 받는 것을 명시하여야 함을 제안한다. 또한, 방문간호 원가를 보전할 수 있는 수가 책정과 방문간호서비스에 대한 대국민 홍보의 필요성, 방문간호 이용 시 적절한 의료서비스와의 연계체계 마련, 그리고 방문간호지시서 없이 기본방문간호를 받을 수 있도록 발급절차를 개선, 간소화하는 것도 필요하다. 그 밖에 현행 방문간호 서비스 내용 중 방문간호사와 방문간호조무사가 할 수 있는 서비스 내용을 의료법에 근거하여 구분함으로서 방문간호서비스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것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