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기록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39초

차세대 전자간호기록 시스템 유스케이스 개발: 업무흐름 분석과 전문가 델파이 기법 적용 (Use Case Development for Next Generation Electronic Nursing Record Systems Utilizing Clinical Workflow Analysis and a Delphi Survey)

  • 조인숙;최완희;현미숙;박연옥;이유나;이수연;황옥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21권3호
    • /
    • pp.377-388
    • /
    • 2015
  • Purpose: To identify user requirements for electronic nursing record (ENR) systems so as to ensure system usability. Methods: A mixed methods approach were applied in three steps : (i) task and workflow analysis with literature review of nursing documentation, (ii) literature reviews of system usability, and (iii) Use Case idenfication and consensus-based validation. We analyzed the nursing activity logs collected from a time-motion investigation of six hospitals. The Use Cases were validated by eight clinical experts from different hospitals and two experts from academia in a sequential Delphi survey. Consensus was achieved for the significance score and agreement among the panel. Results: Eight task groups and patterns of task flow were observed, which were translated into nine Use Cases. The specification of Use Cases was derived from principles, 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on nursing documentation and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s, which was organized into three requirements of each Use Case: functionality, information, and design characteristics. Each Use Case achieved an agreement of 50~70%, and significance scores of 4 or 5 on a 5-point Likert scale. Conclusion: The nine Use Case identified we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and adequate in terms of both clinical and informatics contexts.

간호일지 상의 간호중재와 지각된 간호중재의 수행빈도 비교 -말기 암환자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Cancer Nursing. Interventions Recorded in Nursing Notes with Nursing Interventions Perceived by Nurses of an Oncology Unit -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

  • 최윤자;장금성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41-450
    • /
    • 2005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core nursing interventions in nursing notes and the practice which was perceived by nurses of an oncology unit with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Also, comparing interventions in nursing notes with interventions in perceived practice was done. Method: Subjects were 44 nursing records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who had died from Jan. to Dec. 2002 at C University Hospital and 83 nurses who were working on an oncology unit for more than one year. Data was collected using a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and analyzed by means of mean and t-test. Results: The most frequent nursing intervention was 'nausea management' in the nursing note and was 'medication administration: oral' in perceived practice. The frequency of nursing interventions in the nursing record was lower than in perceived practice. Conclusion: This study finds that nurses actually practice nursing care, but they may omit records. To correct for omitted nursing records, development of a systematic nursing record system, continuous education and feedback is recommended.

간호중재분류 (NIC)에 근거한 부인과 간호단위의 간호중재 분석 (Analysis of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Gynecological Nursing Unit Nurses Using the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 홍성정;이성희;김화선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5-284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ursing intervention performed by nurses on gynecological nursing units. Methods: The instrument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fifth edition of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 (2008). Data was collected by Electronic Medical record from August, 2010 to October, 2010 at one hospital and analyzed by using frequencies in the Microsoft Excel 2010 program. Results: Of a total of 82 NIC, domains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showed higher percentages for physiological: basic (36.3%) and physiological: complex (34.5%). The classes of nursing interventions showed higher percentage for health system medication (12.1%), perioperative care (10.0%), and drug management (8.6%). The most frequently used top interventions were Discharge Planning. The thirty least used interventions was environmental management. Top thirty most frequently used interventions belonged to the domain of physiological: basic (37.9%), physiological: complex (31.1%), and behavioral (5.4%). Conclusion: These findings will help in the establishment of a standardized language for gynecological nursing units and enhanc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만성 심폐질환을 가진 말기 노인환자의 연명의료결정 전후 완화간호의 제공 (Palliative Care Provided for Older Patients with Terminal Stage of Cardiopulmonary Disease Before and After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 최정자;김수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45-53
    • /
    • 2021
  • 본 연구는 만성 심폐질환을 가진 말기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연명의료결정 전후에 제공된 완화간호의 빈도와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 연구이다. 일개 대학병원 내과계 병동에 입원한 말기 심폐질환 노인환자 124명의 전자 의무기록을 조사한 결과, 연명의료결정 이후에 경구진통제 투여, 통증 경감을 위한 냉온요법과 마사지요법, 요로감염 시 약물투여와 소변 배양검사, 구강간호, 세발간호, 부분목욕의 제공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증 경감을 위한 기도 및 이완요법, 호흡곤란 시 구·비강간호, 정서적 간호 제공은 연명의료결정 전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영적 간호는 전체적으로 가장 적게 제공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심폐질환을 가진 말기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연명의료결정 이후에 비약물적 통증관리와 안위간호의 개선이 필요하겠다.

한국 농촌 지역의 가정간호 요구에 관한 연구 (HOME NURSING CARE NEEDS IN RURAL KOREA)

  • KIM, SUNG SILL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4-69
    • /
    • 1988
  • 보건의료기술이 고도로 발달되었다 하더라도 의료의 혜택이 필요할 때 누구에게나 언제든지 제공될 수 없는한 전체 국민의 건강요구를 포괄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제도나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는 사회 집단의 최소 단위인 가정을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는 지역사회 가정간호의 합리적 수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가정간호 요구의 사정 및 가정간호 수행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가정 간호(Home Nursing Care, Home Health Care)는 추후관리를 받아야 할 대상자, 고령자, 만성질환자에게 규격화되어 있는 병원간호를 가정이라는 친숙한 분위기에서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가정 중심의 심리적 안정은 물론 시간과 경비를 절감하는 효과적 간호수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우리나라 농촌가정의 가정간호의 요구는 무엇이며 그 요구의 원인은 무엇인가\ulcorner 둘째, 농촌가정에서 가지고 있는 상병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행하여 지고 있는 가정간호의 내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ulcorner 셋째, 가정간호 수행자는 누구이며 이에 대한 수혜자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가\ulcorner 본 연구의 방법은 1985년 6월 18일 부터 8월 7일 까지 C군에 거주하는 주민중 11개소 보건진료소가 소재한 반의 주민 전체 1,027명 중 상병자 159명과 30세 이상의 인구 440명, 가구주 239명을 대상으로 가정방문을 통한 면접으로 질문지를 기록케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첫째 간호요구의 측정을 위한 도구로 Virginia Henderson의 기본간호활동 14가지를 기초로 지역주민 50명과 현직 간호원 50명에게 개방질문으로 얻은 내용을 중심으로 제작하였으며 둘째, 가정간호수행에 대한 도구로 Orem의 간호이론 중 간호방법 5가지를 근거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보건진료원에 의하여 사정된 간호요구와 그 원인들을 인간의 기본요구 영역별로 분류하여 가정간호진단을 위한 지역사회 가정간호사정 및 진단도구로 쓸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며, 상병자에 대한 가정간호 수행은 수행빈도와 수행내용에 따른 수행자와 수행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1. 가정간호요구에 대하여 1) 가정간호요구 측정은 신체영역 중 몸을 청결히 하고 몸차림을 단정히 하여 피부를 보호하기 내용에서 더위나 추위에 대하여 옷을 맞추어 조절하기의 요구, 적절한 식사와 수분섭취하기 내용에서 배변의 요구, 또한 몸을 움직이고 바람직한 체위를 유지하기 내용에서 한가지 자세를 계속하기의 요구가 높았고 정상호흡하기 내용에는 일상활동시 호흡에 대한 요구가 높은 편이었다. 사회, 심리, 영적 간호요구 영역에서는 자신이 신앙에 따라 예배하기 내용에서 신앙으로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요구가 높았으며 여러가지 오락의 형태를 취하여 이에 참여하기 내용에서는 취미생활의 요구가 높았다. 2) 가정간호요구는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고 성별로는 여자의 가정간호요구가 남자보다 높았으나 내용별 요구의 차이는 없었다. 2. 가정간호수행에 대하여 1) 가정에서 수행되는 가정간호내용으로는 직접간호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내용으로는 구강청결, 옷 갈아 입기, 투약, 음식투여, 대ㆍ소변보기의 빈도가 많았다. 건강한 환경제공의 간호수행내용에서는 적당한 실내온도 유지하기의 빈도가 많았으며 안내와 지도내용에서는 투약요령 알기의 빈도가 많았으며, 보호와 지지내용과 교육의 간호수행내용에서는 현 상태 인정하기와 투약 방법에 대한 교육하기의 간호수행빈도가 가장 많았다. 2) 간호수행자에 있어서 직접간호 수행은 본인 스스로 하는 빈도가 가장 많았으며 안내와 지도 및 교육의 간호수행은 전문가가 많았고 보호와 지지간호는 가족이 많았고 건강한 환경제공간호는 배우자에서 더 많았다. 3) 간호수행자에 대한 만족도는 직접간호 방법에서는 가족이, 안내와 지도는 배우자가, 보호지지, 건강한 환경제공 및 교육에서는 전문가에 의한 간호수행 만족도가 높았다. 4) 상병상태에 따른 주 증상은 관절통 요통이 가장 많았고 상병자는 남자가 많았고 주 중상에 대한 성별간의 큰 차이는 없었다. 이상 가정간호요구와 정도 및 가정간호 수행의 내용을 기반으로 가정간호사업의 시행이 시급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으며 가정간호사업의 시행을 위한 제도적 보완개선책이 요구된다고 결론을 지을 수 있다.

  • PDF

한국의 간호 (Nursing in Korea)

  • 홍신영
    • 대한간호
    • /
    • 제23권3호통권126호
    • /
    • pp.7-21
    • /
    • 1984
  • 한국간호 I. 간호행정제도 및 법규의 변천 1. 간호행정기구 한국의 의료행정은 현대의학의 도입과 더불어 1894년 6월 내부에 위생국을 둔다는 규정이 발표됨으로서 시작되었고 1901년 관제개편에 따라 위생국에 보건과와 의무과가 설치되었다. 그 후 1945년 12월 보건후생부 간호사업국내에 보건간호과 기관간호과 조산 간호과가 설치되었고 각 도에는 간호 사업계가 설치되었다. 1948년부터는 보건사회부 의정국내의 조산간호과가 간호 사업과로 개편되었다. 그후 1970년 간호사업과가 간호사업담당관제로 개편되었으며 1981년부터는 간호사업담당관제도 폐지되어 보건국의 가족보건과나 의정국 지역의료과에서 한 명의 간호원이 참여하는 정도로 간호행정기구가 점차 축소되었다. 2. 간호법규 1)면허 1962년 개정된 의료법에 의하여 간호원의 면허는 문교부장관이 인가한 간호교육기관 졸업자중 간호원 국가시험 합격자로 규정하였다. 조산원의 경우는 1914년 처음으로 조산원 면허등록을 시작하였으며 현재는 간호원 면허를 받은 자로서 보건사회부장관이 지정하는 교육병원에서 1년의 정규 교육과정을 필한자로 그 자격을 명시하고 있다. 2) 자격시험 자격시험은 1916년부터 실시되었으며 1920년 이후는 각 도에서 관할 실시하였다. 그 후 1962년부터는 보건사회부장관의 주도하에 국가시험을 시행하였으며 현재는 국립 보건원에서 간호원을 포함한 의료업자의 국가 시험을 주관하고 있다. 3)간호수가 간호원 조산원에 관한 간호수가 관계 규칙은 1911년에 발표된 것으로 간호원의 경우 출장 시에 출장비와 간호료를 환자가 지불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1925년 5월까지는 각 지역별로 간호수가에 차이가 있었으나 동년 6월부터 수가규정이 전국적으로 통일되었다. 그 후 1953년부터는 국공립병원 간호원들에게도 다른 일반 공직자와 같이 직급을 보함으로서 간호직에 대한 보수가 통일되었으며 1971년부터는 간호직 수당이 제정되었다. II. 간호사업의 분야별 발전 1. 임상간호제도의 발전 1)초기의 임상간호 한국에 서양의학을 기초로 설립된 최초의 병원은 1885년 의사 Allen에 의한 왕립병원이다. 그 후 정부에 의하여 1894년 군부병원이 설립되었고, 1899년 내부병원이 1904년에 적십자 병원이 설립되었다. 당시에 이루어진 현대간호는 일본인 간호원들에 의해 전해진 일본식 간호와 선교사 간호원들에 의해 전해진 서구식 간호방식이 있었는데 이 두 간호방법은 문화적 배경이나 사회적 인습에 의한 많은 차이점을 볼 수 있었다. 2) 일제하의 임상간호 이 당시에 이루어진 일본식 간호방법을 보면 간호원들의 주업무가 환자를 위한 간호보다도 의사 보조에 더 치중한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선교계 병원에서는 입원환자에 대해서는 간호원들이 전인간호를 실시하였으며 병원당국과 의사들의 협조로 많은 간호사업의 발전을 가져올수 있었다. 3) 광복 이후의 임상간호 6.25 동란 후 한국에는 병원이 계속 늘어나 현재 20Bed 이상의 전국의 병원수가 431개소이고 이중 80Bed 이상의 종합병원이 148개소나 된다. 각 병원의 간호사업은 간호사업과 또는 간호사업부의 행정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간호과정(Nursing Process)의 개념을 도입하여 문제중심 간호기록인 POMR(Problem Oriented Medical Record)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면허간호원은 매년 중앙회에서 실시하는 보수교육을 10시간 이상 받고 있다.

  • PDF

HL7 임상문서구조의 기반 한 간호과정을 위한 간호기록지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Nursing Records for the Nursing Process for Use Within the Health Level 7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 김화선;트란퉁;김형회;이은주;조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054-1066
    • /
    • 2006
  • 본 연구는 의료기관 간 정보공유를 위해 간호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임상문서구조(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CDA)의 생성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병원정보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간호정보 CDA는 간호진단, 간호중재 및 수행과 관련된 코딩시스템을 포함하였고 표준문서의 생성을 위해 CDA생성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는 개인의 필요한 간호정보를 간호전문가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적정 간호를 제공하며 건강 증진을 도와 생산적인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이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첫째, 국제 표준인 HL7 임상문서구조를 사용하기 위한 확장과 정제과정의 연구를 했으며, 둘째, 임상문서구조를 사용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차세대 병원정보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임상문서구조에 대한 본 연구로 말미암아 평생전자의무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과 임상데이터저장소(Clinical Data Repository)를 포함하여 다양한 보건의료기관 간 간호정보 공유의 기반이 될 것이다.

  • PDF

전자의무기록(EMR) 자료를 활용한 수술부위감염 관련요인 (Risk Factors for Surgical Site Infections According to Electronic Medical Records Data)

  • 김영희;염영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1-161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that influence surgical site infections after surgery.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research utiliz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Data collection targeted 4,510 adult patients who had 8 different kinds of surgery (gastric surgery, colon surgery,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hip & knee replacement, hysterectomy, cesarean section, cardiac surgery) in 4 medical care departments, at one general hospital between January 2006 and December 2011.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ffecting surgical site infections after surgery. Results: Risk factors for increased surgical site infection following surgery were confirmed to be age (OR=1.59, p<.001), BMI (Body Mass Index)(OR=1.25, p=.034), year of operation (OR=2.45, p<.001), length of operation (OR=3.06, p<.001), ASA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y) score (OR=1.36, p=.025), classification of antibiotic used (OR=2.77, p<.001), duration of the prophylactic antibiotics use (OR=1.85, p<.001), and interaction between classification of antibiotic used and duration of the prophylactic antibiotics use (OR=1.90, p=.016). Conclusions: Results suggest that risk factors affecting surgical site infections should be monitored before surge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contribute to establishing effective infection management measures and implementing surveillance systems for patients who have actual risk factors.

신경과 병동에 입원한 노졸중환자의 간호일지에 나타난 급성기와 아급성기의 간호중재 비교 (A Comparison of Interventions Recorded in Nursing Notes between Actue and Subacute Stage after a Cerebrovascular Accident)

  • 최자윤;박순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27-235
    • /
    • 200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1) determine the core nursing interventions, and 2) compare acute interventions with subacute interventions recorded in the nursing notes of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accidents (CVA). Methods: The nursing records covering the first 10 days of 30 patients with a CVA who were admitt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04 at C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were examined.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 from January to April 2005. Finally,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mean, SD, and paired t-test according to domains, classes, and interventions. Results: The most frequent nursing intervention at both stage was 'Neurologic monitoring'. There were differences in interventions belonging to the 'Physiological: complex,' 'Behavioral,' 'Safety,' and 'Health system' domains between the acute and subacute stages. The frequency of interventions belonging to the 'Immobility management,' 'Neurological management,' 'Tissue perfusion management,' 'Patient education,' 'Risk management,' 'Health system media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classes at the acute stage was higher compared to the subacute stage.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out that nurses relatively recorded more nursing interventions during the acute stage hence the unsuccessful documentation of the subacute stage particularly in describing the specific nursing interventions at this stage.

간호사의 전자의무기록(EMR) 인식도와 만족도에 따른 자율성 및 간호업무성과 (The Autonomy, Nursing Performance based on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EMR System for Nurses)

  • 강지숙;김순자;김원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061-6070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EMR) 인식도, 만족도에 따른 간호사 자율성과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3년 8월 종합병원 간호사 194명을 임의표집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cy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EMR에 대한 인식도는 3.68, 만족도는 3.47로 중간이상이었고, 대상자의 자율성은 3.25로 중간수준, 간호업무성과는 3.55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다. EMR 인식도에서는 특수부서간호사가 일반병동간호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컴퓨터자격증 소지자가 미소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EMR 만족도는 컴퓨터자격증 소지자가 미소지자에 비해 높았고, 간호업무성과는 수간호사이상이 일반간호사나 주임간호사에 비해 높았다. 또한 대상자의 EMR에 대한 인식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았고, 만족도가 높을수록 간호사자율성 및 간호업무성과가 높았다. 따라서 간호사의 자율성과 간호업무성과를 높이기 위해 간호사의 EMR 인식도 및 만족도를 높이고 이를 위한 컴퓨터 자격증에 대한 활용 등의 방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