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장

검색결과 1,991건 처리시간 0.039초

원료콩의 증자조건을 달리한 검정콩 간장의 질소화합물 및 유리아미노산 (Nitrogen Compounds and Free Amino Acids of Black Bean Ka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Cooking Conditions of Whole Black Bean)

  • 고영란;권선화;최재훈;손미예;박석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5-79
    • /
    • 2003
  • 검정콩을 이용한 기능성 간장을 제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원료 콩의 증자조건에 따른 검정콩 전통간장의 숙성후, 질소화합물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총질소 함량은 308.3∼925.0 mg%로 나타났으며, 상압이나 스팀에 비하여 가압으로 증자한 간장의 총질소 함량이 아주 낮았고, 스팀증자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총질소 함량이 증가하였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133∼451.5 mg%로 나타났으며, 상압(451.5 mg%)이 가장 높았으며, 스팀(178.9∼224 mg%)이 가압으로 증자한 간장(133∼171.5 mg%)에 비하여 약간 높은 편이었다. 암모니아태 질소함량은 23.S∼142.0 mg%로 나타났으며, 상압과 스팀에 비하여 가압으로 증자한 검정콩 간장이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133∼451.5 mg%로 나타났으며, 상압(451.5 mg%)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스팀(178.9∼224 mg%)이 가압으로 증자한 간장(133∼171.5 mg%)에 비하여 약간 높은 편이었다. 색도의 명도(L값)은 45.13∼49.08의 범위로 시험구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대부분 상당히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적색도(a값)와 황색도(b값)은 각각 25.30∼34.43, 52.55∼74.13의 범위로 시험구간에 약간 차이가 있었다.

해양심층수 및 다시마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간장의 생리활성 효과 (Biological Activities of Soybean Sauce (Kanjang) Supplemented with Deep Sea Water and Sea Tangle)

  • 함승시;김수현;유수정;오현택;최현진;정미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74-279
    • /
    • 2008
  • 해양심층수 간장 및 일반간장을 제조하여 항돌연변이원성과 세포독성을 측정하였으며 sarcoma-180 cell을 이용하여 in vivo에서 항암효과를 살펴보았다. S. typhimurium TA98과TA100 균주를 이용한 실험에서 모든 시료에서 돌연변이원성이 없었으며, 항돌연변이원성 실험에서는 직접변이원인 MNNG($0.4{\mu}g$/plate)의 경우 TA100 균주에서 해양심층수간장의 시료농도 $200{\mu}g$/plate에서 90.9%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4NQO($0.15{\mu}g$/plate)에 대해서는 같은 시료농도에서 62.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4NQO의 경우 TA98 균주에 대해서 해양심층수 간장은 61.7%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모든 시료는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독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HeLa, Hep3B, AGS, A549와 MCF-7을 사용하였다. 각 시료 추출물의 암세포 성장효과를 조사한 결과, 해양심층수 간장이 1 mg/mL의 농도에서 각각 69.4%, 70.5%, 55.6%, 82.1% 및 73.2%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해양심층수 간장은 고형암 성장 억제 실험에서 대조군에 비해서 40.9%의 고형암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가열유가 흰쥐 간장내의 지질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Heated Oil on Lipid Metabolism in Rat Liver)

  • 최원경;이순재;박현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05-311
    • /
    • 1988
  • 가열유를 섭취시켰을때 흰쥐 간장내의 지질상태의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신선한 옥수수기름을 투여한 대조군과 산가2.10인 가열유를 투여한군(HA굴) 및 산가4.02인 가열유를 투여한군(HB군)으로 나누어 1일1회 1 g씩 각각 경구투여하여 3주간 및 6주간 사육한후 체중 및 간장의 무게, 간장에서의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phospholipid함량 및 간장에서의 총지질 지방산조성과 phospholipld지방산 조성을 관찰하였다. 체중은 각군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간장무게는 HB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triglyceride와 cholesterol 함량은 사육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HA, HB군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phospholipid함량은 HB군을 6주간 투여한 군에서만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실험에 사용한 식이유의 지방산조성은 $C_{18-2}$지방산이 대조군은 48.27%, HA군은 42.28%, HB군은 36.13% 순으로 감소되었으며 간장에서의 총지질 지방산조성과 phospholipid 지방산조성은 산폐도가 심한 기름을 오래 투여할수록 필수지방산과 고불포화지방산 함량이 공통적으로 감소되였다.

  • PDF

간장 및 모델시스템에서 간장 갈색물질과 숯이 Aflatoxin $B_1$의 파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owning Products and Charcoal on the Degradation of Aflatoxin B, in Korean Soy Sauce (Kanjang) and its Model System)

  • 박건영;이은숙;문숙희;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19-424
    • /
    • 1989
  • 간장에서 분리한 갈색물질과 숯이 간장 및 그의 model system에서 aflatoxin $B_1(AFB_1)$의 파괴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간장 갈색물질(0.05%)과 $AFB_1$을 pH7의 완충용액에서 2일 동안 $30^{\circ}C$에서 반응시킨 결과 60% 이상의 $AFB_1$ 이 파괴되었으며 이 반응물질을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으로 mutagenicity test를 했을 때 돌연변이성 역시 각각 50%, 70%로 감소되었다.(p<0.05). 숯이 $AFB_1$ 파괴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재래간장과 증류수 그리고 20% NaCl용액에 각각 숯을 첨가하고 $30^{\circ}C$에서 5일 동안 $AFB_1$ 의 파괴 효과를 보았는데 재래간장에서는 $AFB_1$은 안정하였으나 20% NaCl 용액과 증류수에서는 2일 후 80% 이상의 $AFB_1$ (여액)의 파괴가 일어났다. 비교실험으로, 숯 대신에 활성탄 처리를 한 경우에는 모든 시료에서 100%의 $AFB_1$이 파괴 또는 제거되었다.

  • PDF

낱알형 개량메주의 품질수명에 관하여 (Studies on the Shelf-life of the Grain Shape Improved Meju)

  • 박충균;남주현;송형익;박학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76-883
    • /
    • 1989
  • 품질평가의 지표가 되는 메주의 성분 및 그 기준과 낱알형 개량메주의 품질수명을 측정할 목적으로 낱알형 개량메주를 제조하고 포장상태와 비포장상태로 저장하면서 저장기간 중 메주의 성분변화를 측정하였으며 또한 저장기간을 달리하여 간장담금을 한 후 90일간 숙성시키면서 숙성기간 중 간장덧액의 성분변화와 관능시험을 통하여 개량메주의 저장기간이 간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개량메주의 저장 중 총 질소함량은 변화가 없었으며 수분함량, amylase 역가 및 protease 역가는 감소하였고 $NH_2-N$ 함량과 $NH_3-N$ 함량은 증가하였다. 이들 중 저장기간 중에 변화가 큰 성분은 $NH_2-N$ 함량과 protease 역가였으나 간장발효의 가장 중요한 효소인 protease가 보다 좋은 지표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메주의 pretense 역가와 그 메주로 담근 간장의 품질은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메주의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간장의 품질이 저하되었다. 낱알형 개량매주의 품질은 protease역가로 평가하였을 때 저장 15일된 메주가 가장 좋았으며 그 이후에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메주의 품질이 저하되어 저장 90일 이후에는 비포장과 포장상태의 상대역가가 저장초기에 비하여 50%, 49%, 180일 이후에는 48%, 41%로 각각 감소함으로써, 메주의 품질수명 한계를 상대역가 50%(200O.D. at 660nm/g)로 정할 경우 낱알형 개량메주의 품질수명은 90일 정도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본 실험조건하에서는 메주의 품질 및 간장덧액의 기호도 측면에서 포장상태 저장이 개량메주의 품질향상에 별다른 효과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간장 및 이를 활용한 식품의 레불린산 분석방법 검증 및 모니터링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and monitoring of levulinic acid in soy sauce and their application to food)

  • 김단비;김선영;이상희;유미영
    • 분석과학
    • /
    • 제30권5호
    • /
    • pp.295-302
    • /
    • 2017
  • 본 연구는 High liquid chromatograph-photodiode array detector (HPLC-PDA)를 사용하여 간장 및 이를 활용한 식품에서의 레불린산을 측정하기 위하여 신속 정확한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시료 중 레불린산은 증류수로 추출한 후 C18 Sep-Pak 카트리지로 정제하여 기기분석을 수행하였다. 직선성은 비교적 넓은 농도 범위 ($2.5-400{\mu}g/mL$)에서 우수한 선형성 (R > 0.999)을 나타내었으며, 간장 시료에 대하여 레불린산의 회수율을 확인한 결과, 6 가지 농도범위($2.5-400{\mu}g/mL$)에서 87.58-97.26 %로 확인되었으며, 모두 15 % 미만의 표준오차를 나타내었다.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는 각각 0.64와 $1.64{\mu}g/mL$이었다. 간장 및 이를 활용한 식품에서의 레불린산 함량을 조사한 결과 59 개의 샘플 중 43 개의 샘플에서 검출되었다. 검출 수준은 간장의 경우 0.44-1.23 mg/mL, 간장 소스의 경우 0.03-0.83 mg/mL, 양념육의 경우 8.43-38.94 mg/mL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석법은 신속하고 정확하게 레불린산을 정량하고 간장 및 이를 활용한 상품의 적절한 품질 관리 방법으로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전통 양념을 이용한 소스의 냉장저장 중 pH, 산도,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도 및 미생물 변화 (Changes of pH, Acidity, Pretense Activity and Microorganism on Sauces Using a Korean Traditional Seasonings during Cold Storage)

  • 진상근;김일석;하경희;박기훈;김인진;이제룡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9-165
    • /
    • 2006
  • 본 연구는 간장(T1), 고추장(T2) 및 된장(T3) 소스를 제조한 후 $1{\pm}1^{\circ}C$에서 21일간 저장하는 동안 pH, 산도,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도 및 미생물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수행하였다. pH는 된장 소스가 간장과 고추장 소스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산도는 고추장 소스가 간장과 된장 소스에 비해 저장14일까지 현저하게 높았다.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도는 된장소스가 간장과 고추장 소스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총 균수는 간장 소스가 고추장과 된장 소스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고,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대장균은 간장 소스가 저장 1일에 검출되었으나 저장 7일부터는 검출되지 않았고, 고추장과 된장 소스는 저장 1일부터 검출되지 않았다. 유산균수는 간장 소스가 고추장과 된장 소스에 비해 현저히 낮았고, 모든 양념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천마가 함유된 간장의 발효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s containing Gastrodia elata during Fermentation)

  • 박신영;장연정;김은주;최윤희;최혜선;최지호;송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75-88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부가가치 간장을 개발하고자 천마 첨가량에 따른 숙성기간별 간장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간장 식염 변화에서 실험군 모두 기간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숙성기간이 지남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H 변화는 실험군 모두 숙성기간에 따른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으며,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pH가 GK 5%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당도는 숙성기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5개월 때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갈색도 변화는 숙성이 진행될수록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GK 10% 첨가 시 4개월 이후 갈변현상이 진행되지 않고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GK 5%가 증가되었으며, 4개월 이후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결과, GK 5%의 5개월 때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 GK 10%의 2~4개월의 기호도가 우수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보아 GK 5% 즉, 천마 5% 첨가 간장이 GK 0% 간장에 비해 염도가 낮고, 조단백질 및 항산화 성분 함량 등이 높으며, 기호도는 GK 10%가 좋음을 알 수 있었으며, 기능성 간장으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오이장아찌 제조중 경도, 칼슘 함량, Polygalacturonase 및 Pectinesterase 활성 변화에 관한 연구 (The Changes in Firmness, Ca Content and Polygalacturonase and Pectinesterase Activities during Oyijangachi Preparation)

  • 정순택;이홍열;박현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96-802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오이장아찌 담금 방법을 고찰하여 오이를 5종류의 침지액에 침지 후 고추장, 된장, 간장오이장아찌를 제조하면서 저장 숙성 중 오이장아찌의 경도와 칼슘 함량의 변화 및 효소활성(pectin esterase, polygalacturonase)변화를 측정하였다. 고추장오이장아찌의 경우 경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 10일째 심화된 중공현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 경도가 증가흐는 것으로 나타났다. 된장 및 간장오이장아찌의 경우 모든 처리구에서 경도는 저장 숙성기간 중 약간씩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이를 5종류 침지액 48시간 침지한 후 오이헤 흡착된 Ca 이온의 농도는 소금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Ca의 흡착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침지 처리가 끝난 5종류의 처리구를 담금원(고추장, 된장, 간장)에 담금하여 숙성하면서 측정한 Ca 이온의 농도는 저장 숙성기간 중 모든 처리구에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그 이후는 3ㄷ가지 담금원의 Ca 농도가 70~120mg/100g으로 높았기 때문에 Ca 농도차에 의하여 담금원으로 부터 오이장아찌로 Ca이 이동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PG 활성의 고추장, 된장, 간장오이장아찌의 숙성 중 일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추장, 된장, 간장오이장아찌의 경우 PG 활성은 담금 5일째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그 후 대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또한 고추장, 된장, 간장오이장아찌의 경우 PG의 효소활성은 12% 식염수에 처리한 오이(처리구 4~6)가 6% 식염수에 처리한 오이(처리구 2, 3) 보다 일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E의 활성은 고추장, 된장 오이장아찌의 경우 일반적으로 저장 숙성 기간 중 점차 증가되었으나, 간장오이장아찌는 15일 까지 효소 활성도가 점차 증가되었으나 그 이후 PE의 활성도는 약간 감소된 후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 PDF

제품(製品)간장에서 분리(分離)한 산막효모(産膜酵母)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ilm forming Yeasts Isolated from Commercial Soy Sauce)

  • 주영하;유태종;유주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1-68
    • /
    • 1975
  • 산막효모(産膜酵母)가 형성(形成)된 제품(製品)간장에서 산막생성(産膜生成)과 발효력(醱酵力)이 강(强)한 효모(酵母)를 분리(分離)하고 Lodder 들의 효모분류법(酵母分類法)에 따라 Saccharomyces rouxii (film forming yeast)로 동정(同定)하였으며 이효모(酵母)들의 발효현상(發酵現象) 및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은 다음과 같았다. 1. 간장발효실험(發酵實驗)에서 간장중(中)에 함유(含有)된 당분(糖分)을 모두 발효(醱酵)시켜 고형분(固形分)은 감소(減少)되고 총질소(總窒素), 색도(色度)를 감소(減少)시켰다. 2. 방부력실험(防腐力實驗)에서 butylparaben 은 60 ppm, sodium benzoate 800 ppm, sodium propionate 2,400 ppm, menadione 165 ppm, potassium sorbate 500 ppm, sorbic acid 300 ppm 이상(以上)의 농도(濃度)에서 이들균(菌)의 생육(生育)이 억제(抑制)되었고 에칠알콜 첨가구(添加區)에서는 3%에서도 방부력(防腐力)이 없었다. 3. 2%(w/v) glucose yeast extract peptone 배지(培地)에서 이들균(菌)의 최적식고농도(最適食?濃度)는 5%, 최적배양온도(最適培養溫度)는 $30^{\circ}C$, 사멸온도(死滅溫度)는 NO-1, 3균(菌)이 $62^{\circ}C$ (10분간(分間) 살균처리(殺菌處理)), NO-2, 4균(菌)이 $65^{\circ}C$ 이었으며 최적(最適) pH 는 5. 0이었다. 4. Gas chromatography 에 의(依)한 피막(皮膜)간장의 향기성분(香氣成分)은 표준(標準)간장에 비(比)해 저비점(低沸點)의 물질(物質)이 많으며 이 성분(成分)들이 간장의 풍미열화(風味劣化)에 기여(寄與)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