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치특성

Search Result 3,68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stimating River Spatial Restoration Values Using the Meta-regression Benefit Transfer Method (메타회귀분석 편익이전 기법을 이용한 하천 복원 가치 추정)

  • Lee, Hee-Chan;Yu, Yun-Hee;Noh, Soo H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6-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독립적으로 수행되어진 하천 복원 가치추정 선행연구들을 대상으로 메타회귀분석을 활용한 편익이전을 제시함으로써, 편익이전의 타당성 및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 데 있다. 문헌검색을 통해 '하천 가치평가', '하천 가치', '물 환경 가치추정', '하천 편익'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60편의 연구를 수집했다. 그 중 중복된 연구를 제외하고 가치추정 단위를 '원/년/가구'로 통일함으로써 51편의 연구를 분석에 사용했으며, 90개의 가치 추정치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하천 복원 가치 추정연구를 집대성하여 DB를 구축하고 요약통계량을 중심으로 선행연구 결과를 기술하였으며,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policy site의 특성과 조건에 맞게 함수를 조정하고, 조정된 함수를 사용하여 policy site의 가치를 예측하였다. 종속변수로는 총 가치(원/년/가구, 2015년 불변가격)가, 독립변수로는 하천유형, 위치, 규모, 환경 서비스특성, 그리고 방법론 특성, 지불형태, 대상지 사회경제적 특성 변수들이 포함되었다. 모형의 추정결과 조정된 값은.420으로써 종속변수 총변이의 42.0%를 모형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회귀분석을 통해 본류에서 멀어지는 소규모하천일수록 하천의 경제적 가치를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영향력 크기를 고려해 본다면 하천을 복원할 때 수질정화기능, 서식지기능, 이수기능, 치수기능, 여가 및 수변공간으로의 기능 순으로 고려하는 것이 하천의 가치를 보다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또한 지불방법은 매월, 인당 지불하는 것으로 제시할 때 경제적 가치 추정치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모델추정 결과를 활용한 함수이전에서는 만경강의 특성을 반영하고 조정함으로써 만경강의 가치를 추정하였으며, 모형으로부터 얻은 만경강 가치 예측치는 가구당 매년 41,214원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메타회귀분석은 선행연구를 객관적으로 종합할 수 있는 분석의 틀로서 충분한 활용 타당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보이며, 편익이전 시에 policy site의 자원특성과 조건에 맞춰 함수를 조정하여 예측치를 제시함으로써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의 융통성을 보여주었다. 이에 메타회귀분석을 통한 편익이전은 타당성 및 적용 가능성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판단된다.

  • PDF

The Effects of Experience and Environment Factors in Offline Stores on the Perceived Value and Revisit Intention (오프라인 매장의 체험특성과 환경특성이 지각된 가치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Chen, Yi Tao;Park, Hyun J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5
    • /
    • pp.167-178
    • /
    • 2019
  • This research examined how the experience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experience store impact the perceived value of the brand and whether the perceived value enhance revisit intention. We collected 258 survey responses and form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education experience and esthetics experience had positive impacts on emotional value, while entertainment experience had a positive impact on functional value. Among environment factors, lighting, employee service and layout of the store had positive impacts on functional value, while lighting and employee service had positive impacts on emotional value. Both of the func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enhanced the revisit intention of custo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consumers to the companies managing offline experience stores.

A Study on Clothing Consumption Value: A Qualitative Approach (의복 소비가치에 대한 질적 연구)

  • Kim, Sun-hee;Lim, Sook-J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9
    • /
    • pp.1621-1632
    • /
    • 2001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실제적인 의복 소비 행동을 설명할수 있는 가치 개념을 제시하기 위하여 의복 소비가치의 구체적 유형을 밝히고, 적합하고 신뢰성 있는 의복 소비가치 척도를 구성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heth(1991)의 소비 가치 이론과 의류학 및 소비자 행동분야의 다양한 이론을 토대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하여 소비가치에 대한 탐색적 접근을 시도한 결과를 논의하였다. 의복의 구매와 착용의 선택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가치는 Sheth(1991)의 5가지 소비가치 유형인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감정적 가치, 진귀적 가치, 상황적 가치 및 의복제품의 특성에 따른 자기표현적 가치로 분류되었다. 기능적 가치는 물리적 속성, 물리적 기능, 도구적 성과와 관련되었으며, 사회적 가치는 사회계층, 준거집단, 인구통계 적 특성 집단, 문화-민족적 집단과의 관련성 에 대 한 가치로 구성되었다. 감정적 가치는 긍정적, 부정적 감정 및 심미성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진취적 가치는 다양성추구행동 요인 및 유행성의. 새로움 추구 요인과 관련되었다 또한 상황적 가치는 의복착용상황, 구매상황, 커뮤니케이션 상황으로 구성되었으며, 자기표현적 가치는 성격, 이미지 표현, 개성추구, 유행추구 등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가치에 대한 양적 연구를 실시한다면, 보다 객관적인 구조를 파악하고 신뢰성 있는 측정 문항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Effect of Dynamic Shopping Experience on Experiential Perception of Value : Internet Shopping and TV Shopping (동태적 쇼핑 경험이 경험 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터넷 쇼핑과 TV 홈쇼핑을 중심으로)

  • 이승창;유수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a
    • /
    • pp.149-175
    • /
    • 2003
  • 1990년대 이후 인터넷을 비롯한 각종 기술의 발달로 TV 홈쇼핑, 인터넷 쇼핑, 카탈로그 쇼핑, 모바일 쇼핑 등과 같은 새로운 소매업태가 등장함에 따라 각기 다른 소매업태, 즉 각기 다른 쇼핑 환경들이 어떻게 소비자의 가치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지 심리학의 한 이론인 인지 연속성 이론의 동태적 과업시스템을 소비자의 쇼핑 행동에 적용하였다. 즉 소비자의 쇼핑 경험을 소비자와 쇼핑 환경이 상호작용하는 동태적 과업으로 간주하였으며 이에 따른 가치지각을 연구하고자 한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태적 쇼핑 경험의 구성요소로서 내ㆍ외면적 특성인 소비자의 쇼핑성향과 쇼핑 환경을 정의하였으며 소비자의 경험가치에 있어서는 Holbrook의 경험가치 척도를 적용하여 소비자의 동태적 쇼핑경험이 쇼핑가치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경험가치척도는 경제적 가치, 효율성, 내면적 즐거움, 현실도피성과 같은 추구 가치와, 시각적 매력, 엔터테인먼트 가치, 서비스 우수성과 같은 수동적 가치로 구분되며 실증분석 결과 이러한 경험가치들은 각각 동태적 쇼핑 경험의 내ㆍ외면적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영향을 받는 것이 검증되었다.

  • PDF

The Value of Private Information based on Cost-Benefit Analysis Framework: Focusing on Individual Attributes, Dealer Traits, and Circumstantial Properties (비용편익분석 프레임워크를 통한 개인정보가치에 대한 연구: 개인적 특성, 거래 상대방 특성, 상황적 특성을 중심으로)

  • Jaehyun Park;Eunkyung Kweon;Minjung Park;Sangmi Chai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9 no.3
    • /
    • pp.155-17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ose factors that are influenced when a user recognizes his/her private information value as an economic asset.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factors will also be discussed. This research targets Internet users, and the value of their private information will be converted into economic figures. How economic value changes in relation with individual attributes, dealer's traits, and circumstantial properties will also be studied. The changes in the factors of private information value under different situations will be analyzed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By using the cost-benefit analysis framework, this work hypothesizes that the user's private information value can be influenced by individual attributes and situational properties. in the business aspect, this study can help users recognize the true value of their personal information and minimize the cost resulting from private information security incidents. This work also highlights the necessity of estimating the scale of investments for protecting private information. Overall, this research will proceed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users' recognition of their private information value is influenced by the attributes of the individual, dealers, or situations.

Effects of Omni-channel Service Characteristics on Utilitarian/Hedonic Shopping Value and Reuse Intention (옴니채널 서비스 특성이 실용적·쾌락적 쇼핑가치 지각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Shin, Jong-Kuk;Oh, Mi-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10
    • /
    • pp.183-191
    • /
    • 2017
  • This study tries to explain the relationships among omni-channel service characteristics, utilitarian/hedonic shopping value, and reuse intention. We derive instant connectivity, localization, consistency, integration, privacy risk as omni-channel service characteristics from previous studies and collect data from 190 omni-channel service user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localization, consistency, and privacy risk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utilitarian shopping value but no significant effect on hedonic shopping value. Second, instant connectivity and integr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utilitarian and hedonic value. Third, utilitarian and hedonic shopping value have a positive effect on reuse intention. This study extends the scope of omni-channel consumer behaviors by focusing on multi-dimensionality of shopping valu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to build successful strategies on omni-channel service.

A Study on the Variables Affecting Public Library's Use Value (공공도서관 이용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Pyo, Soon-Hee;Ko, Young-Man;Shim, Won-Sik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2 no.2
    • /
    • pp.323-341
    • /
    • 2011
  • In this study, the factor that affect use value of domestic public library was analysed. This study try to grasp the effect of various variables such as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 and library through the measurement using CVM that extract the value by the user's statement. For this purpose, effective variables identified in the value measurement study of domestic and foreign public library was grasped and characteristics of the effective variables presented in the study examined. The factor influenced WTP representing library's value ar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income, age and the using pattern such as frequency of use, time to visit. As to user's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the recognition about librarian's satisfaction, place for resident's exchange, degree of financial support, culture-art volunteers are affecting depending on the service such as information, facilities and programs. The study comprehensively analysed the impact on the value measured by all types of public library in the nation and provided the information about property of value assessed by user according to region and scale. This information is expected to help the strategic policy making to enhance the value of library in the future.

The Effects of Mobile Social Commerce Characteristics on the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hopping Values- (모바일 소셜 커머스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쇼핑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Choi, Beet-Na;Han, Kyung-I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8
    • /
    • pp.89-98
    • /
    • 2018
  • The emergence of the mobile commerce market as a new megatrend, mobile shopping is becoming an important distribution channel in the domestic online shopping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shopping values perceived by mobile social commerce users into a utilitarian value and a hedonic value explained and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commerce characteristics on the purchase intention and shopping values in mobile social commerce. conclusion, this implies that site providers and sellers need to try to supply cheaper and more economical products than those offline and provide the most effective and optimum information and service so sellers and consumers can exchange messages with each other and create meaning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Restaurant's Environments, Value, Quality, Overall Satisfaction, and Customer Voluntary Performance (레스토랑의 환경특성, 가치, 품질, 전반적 만족, 그리고 고객의 자발적 행위와의 구조적 관계)

  • Chun, Tae-Yoo;Lee, Dae-Hong;Yoon, Nam-Soo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17 no.1
    • /
    • pp.77-100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staurants' environments and customer voluntary performance, and examines how restaurant value, quality and overall satisfaction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restaurants' environments and customer voluntary performance.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restaurant's value, quality and overall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authors developed a structural model, which consists of several variabl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723 respondents and was analyzed with SPSS!PC+ 12.0 and LISREL 8.5.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enu characteristic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value and quality of restaurants. Second, the employee service characteristic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quality through mediating role of value variables. Third, the facilities/atmosphere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value and quality of restaurants. Fourth, in-restaurant promotion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value and quality of restaurants. Fifth, the customer valu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staurant quality and overall satisfaction, and the restaurant qua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satisfaction. Finally, the overall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ustomer loyalty,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 PDF

An Advanced Methodology of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진보된 경관특성평가 방법론)

  • Kim Keun-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3 no.3 s.110
    • /
    • pp.1-17
    • /
    • 2005
  • 오늘날 지속가능한 발전의 주요 목적으로서 환경의 효과적 보호와 신중한 자연자원의 이용이 강조된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해서 종합적인 경관 정보가 필수적이다. 한국의 경우, 도시화는 전통적인 농촌 경관 변화, 산림 손실과 단편화 등 많은 환경 문제를 야기했다. 특히 산림이 높은 생물 다양성 가치를 갖고 있는 한국으로서는 산림 손실과 단편화는 생태관점에서 보면 아주 치명적이다. 현재 개인 또는 공공 부분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환경 영향 평가의 일부분으로 시각 경관 영향 평가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런 시각 경관 영향 평가는 단지 전체 경관의 일부분의 경관 정보만을 제공하고, 특히 현재 경관 평가에서는 경관의 생물 다양성 가치를 평가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한국 상황에 맞는 지속가능한 경관 계획을 위한 필수적인 종합 경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경관 특성과 생물 다양성 가치 평가를 위한 생태 이질성 지수를 결합한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방법론을 통해 경관 특성 평가에서 12가지 경관 특성 유형(type)을 분류하였고 그것의 분포, 경관 특성적 형태, 경관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개발 압력 등을 분석하고 서술하였다. 분석 결과, 주택과 산업 단지 개발, 농지 형질 패턴 변경, 수변 공간 개발 등이 주요 개발 압력으로 나타났다. 경관 생태 이질성 평가 결과에서는 도시근교 지역과 농촌 경관 특성 유형 지역에서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가 높았다. 산림 지역 경관 특성 유형에서는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가 중간 수치로 나온 반면 도시 경관 특성 유형에서의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는 아주 낮았다. 비록 제한된 데이터와 경관 생태 이질성 지수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들(스케일 종속적, 변화 패턴이 예측하기 힘든 지수, 자의적인 분류시 다른 결과 발생, 더 종합적인 생물 다양성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다른 경관 생태 지수 필요 등)이 제기되었지만, 이 연구에서 제시된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을 통해 얻은 종합적인 경관 정보가 지속가능한 경관계획을 할 때 어떻게 잘 활용되어질 수 있는지 예로써 증명하였다. 그 결과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이 지속가능한 경관 계획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