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철성 의치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7초

다수 치아를 상실한 한국 성인에서 가철성 의치의 장착 여부와 우울증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자료를 활용한 단면 연구 (Relationship between usage of removable denture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with loss of multiple teeth: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심재승;이영후;홍성진;노관태;배아란;김형섭;권긍록;백장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1-10
    • /
    • 2021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가철성 의치 장착 여부와 우울증의 연관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가철성 의치를 장착한 군과 가철성 의치의 장착이 필요하나 사용하지 않은 군으로 구분하여 각 군과 우울증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제 7기 원시자료를 활용하였다. 가철성 의치의 장착에 관한 자료로는 구강검진자료 중 보철물 상태, 보철물 필요 여부에 관한 변수를 이용하여 가철성 의치를 사용하고 있는 군, 가철성 의치가 필요한 군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우울증에 관한 변수로는 PHQ-9의 값을 활용하여 정상(0-4), 경증 우울증(5-9), 중등도 우울증(10-19), 중증 우울증(20-27)로 구분하였다. 통계 분석은 SAS 9.4를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가철성 의치 장착 필요군에서, 가철성 의치를 장착하고 있는 군과 비교하여 중증 우울증의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가철성 의치를 이용한 치료는 다수의 치아를 상실한 환자에게 중증 우울증 발병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수의 임플란트 크라운을 지대치로 이용한 하악 가철성 국소 의치 수복 증례 (Mandibular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a small number of implant crowns: two case reports)

  • 김유라;이수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2호
    • /
    • pp.110-119
    • /
    • 2022
  • 부분 무치악 환자의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시 지대치가 항상 유리한 위치에 존재하지는 않는다. 이로 인하여 잘 맞게 제작된 가철성 국소의치임에도 불구하고 환자는 가철성 국소의치의 안정과 지지에 대하여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소수의 임플란트 크라운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가 부분 무치악 환자에게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소수의 임플란트를 위치시키고 지대치로 이용하여 가철성 국소의치의 안정과 지지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증례는 하악 편측에 잔존치를 갖는 환자에서 두개의 임플란트를 전략적으로 위치시켜 지대치를 양측으로 분포시켰다. 최종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이후 환자는 저작 기능에 만족감을 보였으며 국소의치 사용시 편안함을 나타내었다.

소아에서 다수치아 상실 시 탄성의치 사용의 치험례 (REMOVABLE FLEXIBLE DENTURE FOR CHILD WITH LOSS OF MULTIPLE TEETH : A CASE REPORT)

  • 정양석;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13-518
    • /
    • 2007
  • 소아에서 외상, 다발성 치아 우식증, 전신 질환 등에 의한 다수 치아 상실시 저작력 저하, 영양의 불균형, 부정교합, 심미성의 저하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철성 의치의 장착으로 저작력 회복, 치열 공간 유지, 심미성 증진 및 정확한 발음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Wire와 아크릴릭 레진을 이용한 가철성 장치는 낮은 유지력으로 인해 저작력의 회복에 한계가 있고, wire의 노출로 인해 비심미적이다. 또한 구강내 많은 면적을 피개하는 아크릴릭 레진으로 인해 정확한 발음이 어렵고 저작력이 주로 지대치에만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소아에게 주조 금속 가철성 의치를 적용할 경우 유치에서 undercut을 얻기가 어렵고, 무게로 인해 적응하기가 어렵다. 또한 악골의 횡적인 성장에 방해가 될 수 있고 초기 영구치의 삭제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탄성 의치상재가 1950년도에 개발되었다. 의치상과 유지장치가 일체형으로 연조직의 undercut까지 이용 가능하고 재료 자체의 색조와 투명성으로 심미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얇게 제작 가능하기 때문에 발음의 불편함도 줄일 수 있고, 지대치 이외의 조직으로 저작력의 분산이 가능하여 잔존골의 흡수를 지연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본 증례에서는 여러 증례에서 기존의 가철성 의치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탄성 가철성 의치를 이용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가철성 국소의치의 장착 (Initial Placement of Removable Partial Dentures)

  • 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3호
    • /
    • pp.299-307
    • /
    • 2013
  • 가철성 국소의치의 장착시 조정의 목적은 가장 좋은 보철물을 환자에게 제공하여 환자로 하여금 새 의치에 잘 적응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1) 완성된 보철물의 검사, (2) 국소의치의 구강내 안착, (3) 의치상 적합도의 평가, (4) 의치상 변연의 평가, (5) 교합조정, (6) 진료실 재부착, (7) 환자교육.

가철성 국소의치의 조정 (Postinsertion Adjustment Procedures of Removable Partial Dentures)

  • 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4호
    • /
    • pp.384-390
    • /
    • 2013
  • 가철성 국소의치의 장착 과정을 적절하게 시행하였다면 장착 후의 문제들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능, 심미, 발음상의 문제나 불편감 등의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가철성 국소의치 장착 후 1주일 이내에 점검을 위한 약속이 이루어져야 한다. 환자들에게 의치를 사용하는 동안 겪었던 문제들에 대해 질문하고 구강조직과 의치를 철저히 검사해야 하며, 검사 과정 동안에 조직 손상 등을 발견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 원인을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여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도록 해야 한다.

가철성 국소의치의 임상적 상태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clinical status of removable partial dentures)

  • 양동석;조욱;정창모;전영찬;윤미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20-327
    • /
    • 2009
  • 연구목적: 가철성 국소의치의 장기적 예후를 보증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부적절한 제작 및 유지관리로 인해 가철성 국소의치와 연관된 합병증은 여전히 관측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철성 국소의치의 임상적 상태를 조사하여 보철 진료의 임상적 참고자료와 후학연구의 기초자료로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008년 1월에서 8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치과 보철과에 내원한 환자 중 가철성 국소의치를 사용 중인 성인을 대상으로 가철성 국소의치와 지대치에 연관된 임상적 상태를 조사 평가하였다. 결과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전체 가철성 국소의치의 추정수명은 4.0년이었고, 평균 장착 기간은 5.3년이었다. 2. 가철성 국소의치 성공, 실패 평가에서 45개의 보철물이 실패했으며. 전체 369개의 지대치 중 18개 (4.9%)의 지대치가 상실되었다. 3. 가철성 국소의치의 상, 하악 위치, Kennedy 분류, 대합치의 조건에 따른 추정 수명은 차이가 없었으며, 성공률과 실패율도 차이가 없었다 (P > .05). 4. 가철성 국소의치의 주연결장치는 상악에서 palatal plate 주연결장치 (55%)가 가장 많이 설계되었으며, 하악에서는 linguoplate 주연결장치 (52%), lingual bar 주연결장치 (45.3%) 순으로 조사되었다. 5. 가철성 국소의치의 직접유지장치는 circumferential type (74%), bar type (15%), 기타 (11%) 순으로 조사되었다. 6. 전체 140개의 I급과 II급 가철성 국소의치 중 63%의 보철물에 간접유지장치가 설계되어 있었다. 7. 보철물의 주된 결함은 과도한 구치부 인공치 마모 (27.9%), 보철물의 손상 (23.2%), 안정성의 부족 (22.6%) 순으로 발생하였으며, 전체 보철물의 81%가 최소한 1개의 결함을 가지고 있었다.

CAD-CAM을 이용한 RPD 지대치의 retrofit crown 제작 증례 (Fabricating retrofit crowns to an existing removable partial denture by CAD-CAM: a case report)

  • 이혁순;김성아;방주혁;김성용;장희원;이근우;이용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40-145
    • /
    • 2024
  • 가철성 국소의치를 사용하는 환자의 잔존 치아가 우식, 마모, 부식, 파절 등의 이유로 보철 수복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가철성 국소의치의 구조물과 접촉하는 부분이 많은 지대치의 보철 수복이 필요한 경우, 서베이드 크라운을 제작 후 가철성 국소의치를 새로 제작하는 것이 통상적인 방법이다. 이럴 경우, 환자가 적응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고,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발생한다. 한편, 손상된 치아 외에 구강 내 다른 부분에서 가철성 국소의치의 지지, 유지 및 안정을 일부분 제공하는 경우 기존 국소의치의 사용은 임상적으로 양호하다. 이 때 기존 국소의치를 유지하면서 해당 치아를 보철 수복한다면, 환자는 불편과 비용을 줄이면서 기존 가철성 국소의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국소의치에 맞추어 보철을 제작하는 retrofit crown 제작과정에서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CAD-CAM)의 발전과 지르코니아의 물리적 성질이 개선되면서 디지털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본 증례는 하악에서 가철성 국소의치를 사용하는 환자의 지대치가 심하게 마모되어 국소의치에 맞추어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제작한 케이스로,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하는 결과를 얻었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고립된 소수 잔존치 환자에서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의 임상증례 (A clinical case of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using friction pin with an isolated few remaining teeth)

  • 손상혁;조진현;조성암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1호
    • /
    • pp.80-86
    • /
    • 2016
  • 잔존 지대치의 수가 적은 경우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를 사용한 여러 보고에서 우수한 결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치주 상태가 양호하지 않고 고립된 소수 잔존치를 지대치로 이용하여 국소의치로 수복해야 하는 경우에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은 적절한 적응증이 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심한 치주염으로 다수 치아 발치 후 상악은 전치부 고정성 보철 수복과 Kennedy class I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하고 하악은 양측성 고립 지대치만 남아있어 클래스프 국소의치로 수복하기에 예후가 불분명하여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를 이용하였다.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의 특성과 효용성을 고찰해 보고자 본 증례를 보고한다.

가철성 의치장착 노인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The Convergence factors on Dentur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with Removable denture)

  • 유상희;강은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511-516
    • /
    • 2019
  • 본 연구는 전주시에 거주하는 가철성 의치장착 노인의 의치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157명). 의치만족도 전체 평균은 3.62로 나타났다. 의치만족도의 세부요인별 만족도는 저작 만족도(3.81), 의치고정 만족도(3.66), 일반적 만족도(3.46) 순이었다. 의치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여가활동 여부, 한 달 용돈, 의치관련 정기적 치과방문이었다. 결과적으로 의치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치와 관련된 특징보다는 의치장착자의 일반적 특성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의치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의치장착자의 사회적 요인(여가생활, 경제적 수준 등) 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가철성 국소의치 제작을 위한 인상채득 (Impression procedures for removable partial dentures)

  • 허유리;손미경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2호
    • /
    • pp.152-158
    • /
    • 2014
  • 저작기능의 회복과 더불어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며 잔존치아와 치조점막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가철성 국소의치 제작을 위해서는 구강내의 형태적, 기능적 상태를 재현하는 모형제작이 필수적이다. 국소의치 제작을 위해서는 진단모형과 주모형의 제작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예비인상과 최종인상 채득 과정을 거치게 된다. 국소의치의 인상채득은 고정성이나 총의치 인상과 다르게 치아부위와 조직부위 모두가 잘 인기되어야 하고 치아 결손 부위에 따라 교합을 지지하는 부위가 달라지므로 증례에 따른 적절한 인상재와 인상채득 방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확한 임상적 적용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