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중치 부여

Search Result 1,000,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An Information-theoretic Approach for Value-Based Weighting in Naive Bayesian Learning (나이브 베이시안 학습에서 정보이론 기반의 속성값 가중치 계산방법)

  • Lee, Chang-Hwan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7 no.6
    • /
    • pp.285-291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paradigm of weighting methods for naive Bayesian learning. We propose more fine-grained weighting methods, called value weighting method, in the context of naive Bayesian learning. While the current weighting methods assign a weight to an attribute, we assign a weight to an attribute value. We develop new methods, using Kullback-Leibler function, for both value weighting and feature weighting in the context of naive Bayesian.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s has been compared with the attribute weighting method and general naive bayesian. The proposed method shows better performance in most of the cases.

Object Categorization Using PLSA Based on Weighting Distinctions (특이점 가중치 기반 PLSA를 이용한 객체 범주화)

  • Song, Hyun-Chul;Choi, Kwa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c
    • /
    • pp.460-465
    • /
    • 2007
  • 영상 내 사물들의 카테고리를 인식하는 연구는 시각적 영상처리와 연관된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객체 범주화(Object Categorization)는 가정과 같은 실내에서 책상, 의자, 컵, 주전자 등의 다양한 사물들을 구분하여 인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영상 내 객체들의 카테고리 분석을 위해 연구된 PLSA를 기반으로 특이점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보다 유사한 카테고리 간에 인식 성능을 향상시키는 접근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PLSA는 문서기반의 정보검색 분야로부터 소개된 기법으로, 약한 수준의 비감독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인상적인 인식성능을 보여준다. 그러나 비슷한 특징점 분포를 보이는 유사한 카테고리 간의 객체 카테고리 인식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성능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카테고리간의 비교실험을 통해 각 특징점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한 PLSA를 적용하여 유사한 객체 간의 카테고리 인식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실험에서는 기존의 PLSA 기법과 제안한 가중치를 부여 PLSA 기법을 각각 적용하여 그 성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PLSA 기법에서는 비교적 낮은 인식률을 보인 유사한 카테고리 인식에 대하여 실험 결과를 통해 가중치를 부여한 PLSA 기법이 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PDF

Object Categorization Using PLSA Based on Weighting (특이점 가중치 기반 PLSA를 이용한 객체 범주화)

  • Song, Hyun-Chul;Whoang, In-Teck;Choi, Kwang-Nam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0 no.4
    • /
    • pp.45-54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pproach that recognizes the similar categories by weighting distinctive features. The approach is based on the PLSA that is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for the object categorization. PLSA is introduced from the information retrieval of text domain. PLSA, unsupervised method, shows impressive performance of category recognition. However, it shows relatively low performance for the similar categories which have the analog distribution of the features.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effective object categorization for the similar categories by weighting the mainly distinctive features. We present that the proposed algorithm, weighted PLSA, recognizes similar categories. Our method shows better results than the standard PLSA.

  • PDF

Semantic Indexing Using Concept Space (개념 공간을 이용한 의미 인덱싱)

  • 강보영;김혜정;황선옥;이상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380-382
    • /
    • 2003
  • 본 논문은 문서내의 의미적인 관계에 기반하여, 문서의 내용을 보다 잘 추측할 수 있는 의미 인덱스 추출 및 가중치 부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문서 내의 개념 추출에 있어서는 기존의 어휘 체인(lexical chains)에 관한 연구를 확장하여 적용였다. 또한, 추출된 개념에서 중요 어휘에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해서, 개념 벡터 공간을 이용한 정보성(information quantity)과 정보비(information ratio)를 정의하고, 인덱스의 가중치를 측정할 수 있는 정량화 할 수 있는 척도로 제시하였다.

  • PDF

A Design of Important Sentence Extraction Method for Automatic Text Summarization System (자동 문서요약을 위한 중요문 추출 방법 설계)

  • Shin, Sung-Hyuk;Kim, Tae-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543-54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인터넷상의 정보와 서비스를 검색함에 있어서 기본적인 내용은 유지하면서 정보의 과부하(information overload)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문서요약의 방법으로 통계적 접근 방법에서 Kupiec의 요약문이 가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문서의 방법을 설계하였다. 요약문의 각 문장에 대하여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 한 후, 주어진 임계값에 따라 가중치가 낮은 문장들을 제외한다. 제외 후 가중치 점수를 부여해서 요약문 문장의 개수를 조절하면서 중요문을 추출할 수 있다.

  • PDF

Query Expansion Using Term Reweighting for Vector Model (벡터모델에서 용어 가중치 재부여를 이용한 질의 확장)

  • 김영천;이재훈;문유미;박병권;이성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1.12a
    • /
    • pp.23-26
    • /
    • 2001
  • 순수한 부울 검색 시스템은 문서와 질의 사이의 유사도를 나타내는 문서값을 계산할 수 없기 때문에, 검색된 문서들을 질의를 만족하는 정보에 따라 정렬할 수 없다. 부울 검색 시스템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MMM 모델, Paice 모델, p-norm 모델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높은 검색 효과를 제공하는 벡터모델에서 용어 가중치 재부여를 이용한 정보검색 모델을 제안한다. 벡터모델에서 용어 가중치 재부여를 이용한 질의 확장 모델의 연산 특성이 MMM, Paice, p-norm 모델보다 우수함을 설명하고, 또한 성능 비교를 통하여 이를 입증한다.

  • PDF

Depth Map Up-sampling Using Maximum Gradient of Color Image (색상 영상의 최대 변화도를 이용한 깊이맵 업샘플링 기법)

  • Jung, Jae-Il;Ho, Yo-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11a
    • /
    • pp.29-30
    • /
    • 2012
  • 본 논문은 고해상도의 깊이맵을 얻기 위해서 대응되는 색상 영상의 최대 변화도를 이용한 깊이맵 업샘플링 기술을 제안한다. 기존 알고리즘들이 인접한 화소의 깊이 값을 참조할 때 거리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과 달리, 제안한 방법은 현재 화소와 참조 화소 사이의 최대 색차 변화도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부여한다. 이런 접근 방법은 비슷한 색상의 물체가 서로 붙어 있거나 큰 크기의 객체가 존재할 경우에도 모두 올바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먼저, 색상 영상의 색차 성분에 대한 변화도 영상을 계산하고, 업샘플링하고자 하는 화소와 참조 화소 사이의 최단 경로 위에서 가장 큰 변화도를 취한다. 변화도가 클수록 다른 객체에 존재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변화도가 큰 참조 화소에는 작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이들의 가중합을 통해 최종 깊이 값을 계산한다.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깊이맵을 업샘플링한 결과가 기존 알고리즘들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PDF

A Study on Optimization of 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er for Word Sense Disambiguation (단어 중의성 해소를 위한 SVM 분류기 최적화에 관한 연구)

  • Lee, Yong-Gu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42 no.2
    • /
    • pp.193-210
    • /
    • 2011
  • The study was applied to context window sizes and weighting method to obtain the best performance of word sense disambiguation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The context window sizes were used to a 3-word, sentence, 50-bytes, and document window around the targeted word. The weighting methods were used to Binary, Term Frequency(TF), TF ${\times}$ Inverse Document Frequency(IDF), and Log TF ${\times}$ IDF. As a result, the performance of 50-bytes in the context window size was best. The Binary weighting method showed the best performance.

Multi-sensor Data Fusion Using Weighting Method based on Event Frequency (다중센서 데이터 융합에서 이벤트 발생 빈도기반 가중치 부여)

  • Suh, Dong-Hyok;Ryu, Chang-K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6 no.4
    • /
    • pp.581-587
    • /
    • 2011
  • A wireless sensor network needs to consist of multi-sensors in order to infer a high level of information on circumstances. Data fusion, in turn, is required to utilize the data collected from multi-sensors for the inference of information on circumstances. The current paper, based on Dempster-Shafter's evidence theory, proposes data fusion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with different weights assigned to different sensors. The frequency of events per sensor is the crucial element in calculating different weights of the data of circumstances that each sensor collects. Data fusion utilizing these different weights turns out to show remarkable difference in reliability, which makes it much easier to infer information on circumstances.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in Cognitive Radio Systems with Weight Value Applied (인지무선 시스템에서 부사용자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가 적용된 협력 스펙트럼 센싱)

  • Yun, Heesuk;Yun, Jaesoon;Bae, Insan;Jang, Sunjeen;Kim, Jaemoung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9 no.3
    • /
    • pp.91-97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weighted detection probability with distance between primary user and secondary users by using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based on energy detection. And we analysis and simulate the result. We suggest different distance between primary user and secondary users and the wireless channel between primary user and secondary users is modeled as Gaussian channel. From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with weighted method make coverage bigger compared with non-weight, and We show higher sensing efficiency when we put weight detection probability than before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