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족 관련 기념일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Study of Family Values on Newspaper Articles in May as 'Family Month' ('가정의 달' 신문 기사에 나타난 가족가치관 연구)

  • Kim, Minjee;Jun, Mikyung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34 no.2
    • /
    • pp.29-50
    • /
    • 2016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endencies of transition of family values in newspapers which were published in May. The study was conducted on content analysis of Chosun and Donga daily newspapers in odd dates of May from 1970 to 2014. Based on preceding research, family values were classified into sub areas such as 'Value of Family,' 'Value of Marriage,' 'Value of Children,' 'Value of Filial Piety' and 'Value of Sex Role.' The collected articles were classified into five sub areas. This study collected 288 articles considering overlap count. According to the study, the newspapers seem to be interested in 'Value of Family' and 'Value of Children', but not 'Value of Marriage'. And academic, social, political efforts to improve family life or raise a necessity to change family values can evoke mass media's interest about family values. Meanwhile, some newspaper articles appear to support an opinion that 'The Healthy Families Act' postulates a claim like 'the traditional family is a normal family'. It seems that newspapers misunderstood about 'The Healthy Families Act.' So we should judge what is more right between two opinions because mass media can reconstruct reality. The tendency of transition of family values is actually slight or the tendency of family values in newspapers cannot show actual family values. Moreover, we have to reconsider that highlighting just 'paternity' can make men overlook other roles in the household like caring for children or cleaning.

Changes in the Ceremonial Dresses for Children's First Birthday Since 1945 (광복이후 첫돌 복식의 변천)

  • Ji, Yoon-Young;Hong, Na-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9
    • /
    • pp.1681-1692
    • /
    • 2001
  • 본 연구는 광복 이후 현재까지 첫돌 복식 변화를 시대적으로 고찰, 그 변화 양상과 영 향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 고찰과 사진 자료를 통한 내용 분석을 주로 하였다. 더불어 자료의 보충을 위해 첫돌 의례와 관련된 주변 인물들-가족, 기성 아동 한복 유통 상인, 상업적 사진사 등-의 면접 조사도 병행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940년대 중반∼50년대 초에는 해방 이후 혼란과 전란으로 인한 물자의 부족으로 첫돌 의례의 명분은 남아있으나 복식 문화는 공백기를 맞는다. 1950년대 중반이후 60년대 전반기는 미국의 경제 원조와 섬유 공업 활성화로 의료의 공급이 원활하여 전기에 비해 의례적 의미를 지닌 첫돌 복식의 착용이 가능해 졌다. 전통 한복을 기본으로 한 위에 서양식 복식 품목들이 섞여서 나타나고 있다 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의 두드러진 양상은 기성복 산업 의 발달로 전문적 인 기성복 시장이 형성되었고 이는 기성복화 된 첫돌 복식의 일습 개념을 등장시키게 하였다. 또한 한복이 예복화 되는 경 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시기로 70년대 후반의 칼라 필름의 보급은 금박과 자수와 같은 다양한 재료와 재단 방법을 사용한 장식화 된 첫돌 복식의 사용을 가속화 시 켰다. 특히 70년대 중반에 소수의 일반에게 입혀졌던 궁중복식의 하나인 당의가 소매없는 당의로 바뀌어 여아의 돌옷으로 입혀지기 시작하였다. 1980년대 전반기는 칼라 TV의 보급, 비디오 촬영의 보편화로 한복이던 양복이던 일습화 된 첫돌 복식이 대중적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후반기에는 국내의 국제적인 행사의 유치와 전통 복식 소개를 위한 전시들을 계기로 왕실 복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이로 인해 여아에게 소매없는 당의를 입히고 남아에게 용포를 입히는 유행이 가속화되었다. 또한 서양식 예복을 입히는 유행이 시작되었다. 90년대에 들어와 아기 전문사진점의 등장은 1 회적인 첫돌 의례에 한복과 서양식 예복, 일상복 등을 다양하게 착용시키는 계기를 가져오게 하였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변화 양상에도 불구하고 첫돌을 기념하기 위해 특별한 옷을 마련하고자 했으며, 그 복식의 구성 이 전통적인 일습 개념을 꾸준히 지향해 온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최근 과열된 아동 산업은 보다 다양한 복식을 입혀서 촬영한 사진으로 특별하게 꾸민 상업적인 기념물들을 남겨주게 하고 있다. 비록 특별한 옷을 준비하여 아동에게 입히는 행위는 유사한 표현 양태이나 지나치게 많은 옷을 갈아 입히는 표현 방식은 지양되어야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Communication Research and Trends i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980-2009 (한국노년학의 커뮤니케이션 연구 동향: 1980-2009)

  • Hong, Myungshin
    • 한국노년학
    • /
    • v.30 no.1
    • /
    • pp.31-4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mmunication topics i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from 1980 to 2009. Out of all published over one thousand articles, 54 articles were selected by content analysis. The published time, the number of authors, the author's institutions, type of communication and media, methodologies, and so on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rticles regarding on communication published only one throughout in 1980's. However, the articles have been gradually published since 1990's. Second, the authors came mainly from universities especially those who are engaged in social welfare field. Third, the types of communication are concentrated on group communication. Interestingly enough, it is found that mass communication such TV, magazine, and internet were analyzing in-depth. Telephone is one of most important mediated human communication media. On the contrary, mobile phone and computer were researched on not for the usage but for the education purposes. Forth, in methodologies, authors are used mainly survey method and selected content analysis in all media research. In conclusion, the scholars of gerontology and communications should co-operate and help each other to promote aging and communication field.

사회문제(社會問題) 분석(分析)에 있어서 한국사회사업가(韓國社會事業家)들의 이념관(理念觀) 연구(硏究)

  • Choe, Il-Seop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1
    • /
    • pp.1-8
    • /
    • 1979
  • 본 연구(硏究) 보고서(報告書)는 중앙대학교(中央大學校) 부설(附設) 사회복지관(社會福祉館) 운영(運營)의 합리성(合理性)과 그 기능(機能)의 고찰(考察)을 중심(中心)으로 하여 저소득층(低所得層)에 있어서 사회복지관(社會福祉館)의 역할(役割)과 그 봉사활동(奉仕活動)의 내용(內容)이 어떠해야만 한다는 가설(假說)과 합리성(合理性)을 개최(開催)하는 동시(同時)에 금반(今般) 이스라엘, 예루살렘에서 1978년 8월 14일부터 8월 18일까지 개최(開催)하는 국제사회사업(國際社會事業) 대학협의회(大學協議會) 설립(設立) 50주년(周年) 기념학술대회(記念學術大會)에서 본(本) 연구보고서(硏究報告書)를 발표(發表)하도록 의뢰함으로써 그에 준(準)하여 작성(作成)하였으며 동시(同時)에 영문(英文)으로 기재하였다. 본 부설(附設) 사회복지관(社會福祉館)의 운영(運營)의 월지(越旨)와 목적(目的)은 아래와 같이 요약(要約)하고자 한다. 복지사회(福祉社會) 건설(建設)이라는 시대적(時代的)이며 전국적(全國的)인 여망(與望)에 부응(副應)하여 대학(大學)은 그 선도적(先導的) 역할(役割)을 담당하고 인간(人間)의 존엄성(尊嚴性)과 생존(生存)의 교리(?利)를 주장할 뿐만 아니라 국가부흥(國家復興)의 80년대(年代)를 향한 복지시책(福祉施策)의 기를 공고(鞏固)히 하고 사회사업(社會事業)의 토착화(土着化) 내지(內至) 자주성(自主性)을 확립(確立)해야 한다는 철학적(哲學的) 사명(使命)을 다하여야 하기에 본(本) 중앙대학교(中央大學校) 사회사업학과(社會事業學科)에서는 그러한 시범사업(示範事業)의 일환(一環)으로 본(本) 대학교(大學校)가 위치(位置)하고 있는 인근지역(隣近地域)에 사회복지관(社會福祉館)을 설립(設立)하고 다음의 세가지 목적(目的)을 달성하고저 광범(廣範)한 사업(事業)을 계획(計劃), 전개(展開)하고 있다. 1. 사회사업학(社會事業學)은 이론(理論)과 실제(實際)의 긴밀한 연계(連繫)가 강조되는 학문(學問)으로서 학생(學生)들의 실습(實習)을 교수(敎授)가 직접적으로 지도(指導), 감독(監督)함으로써 사회사업(社會事業)의 전문생(專門生)을 개발(開發)내지 발전(發展)시켜 나가야 한다. 2. 직접봉사(直接奉仕)와 학구적(學究的) 실험(實驗)을 통하여 새로운 봉사기술(奉仕技術)과 사업계획(事業計劃)을 개발(開發)하고 정립(定立)시킴으로써 국가적(國家的) 차원(次元)에서 실제분야(實際分野)에 직접 응용(應用)되도록 하여야 한다. 3. 대학(大學)이 위치(位置)하고 있는 인근지역(隣近地域), 특히 영세주민((零)細住民)들의 욕구(慾求)에 따라서 적절(適切)한 봉사(奉仕)를 직접 제공(提供)하여 줌으로써 지역사회문제(地域社會問題) 해결(解決) 참여(參與)하여야 한다. 4. 사업내용(事業內容) 위의 목적(目的)을 달성(達成)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업(事業)을 한다. (1) 청소년(靑少年) 집단지도사업(集團指導事業) (2) 가정복지사업(家庭福祉事業) (3) 아동상담사업(兒童相談事業) (4) 의료진료사업(醫療診療事業) (5) 야간교육(夜間敎育事業) (6) 독서실운영사업(讀書室運營事業) (7) 직업훈련사업(職業訓練事業) (8) 가족계획사업(家族計劃事業) (9) 법률상담사업(法律相談事業) (10) 탁아시설사업(託兒施設事業) (11) 기타(其他) 위와 관련(關聯)된 사업(事業)

  • PDF

Infantile risk factors for obesity in preschool children (학령전기 소아비만에 영향을 주는 영유아기 인자)

  • Park, Sun Ju;Moon, Jae Won;Kim, Hyun Ji;Cho, Min J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51 no.8
    • /
    • pp.804-811
    • /
    • 2008
  • Purpose : Childhood obesity is a problem that places a child at great risk for becoming an obese adult. To prevent obesity, it is important to focus on early life risk factors that may contribute to childhood obes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besity-causing infantile risk factors in preschool children. Methods : A total of 223 children aged 3 to 5 years old from Busan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 calculated their body mass index (BMI) and classified them into two groups (normal weight and overweight/obese children). Information regarding parental weight and height,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employment status, birth weight, feeding patterns, start time of weaning, duration of night feeding, and fosterer was obtained by using questionnaires. Results : There were 68 (30.5%) overweight/obese children and 155 (69.5%) normal weight children. Overweight/obese childre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ormula milk feeding, rapid weight gain during the first 6 months, and maternal obesity (P<0.05).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paternal obesity,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employment status, birth weight, start time of weaning, duration of night feeding, and fosterer between the normal and overweight/obese children. Conclusion : Although healthy diet and regular exercise will remain the cornerstones of weight management in obese children, our data supports the view that education about maintaining a normal weight could be introduced much earlier in families with high-risk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