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족사회

Search Result 2,949,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Family in Social Workers and Clients.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가족인식 연구)

  • Kim, In-Sook;Yoo, Young-Joo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6 no.1
    • /
    • pp.283-307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ception on family of social workers and clients. Perception of family concept, family function is changing as times passes. But social worker is facing a dilemma because of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 on family. In order to compare between social worker and client concepts on family, this study compare family concept, familism, gender egalitarianism.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131 social workers and 134 clients who were purposive sampled. Social worker's recognition of family concept is more acceptable than client's family typology, functional family concept. Analysis shows that client group more higher familism and clients have a low opinion of gender egalitarianism. Thus, social worker may have conflicted with client's family while social worker practices case management or prograss family welfare services.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n family perception, the defined factors were self-efficacy, family of orgin perception. Controlling for sex, old, marriage on family perception were examined.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 of old, family-orgin perception to the client's family concept, familism, gender egalitarianism. On the contrary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 of sex, self-efficacy to the social worker's familism, gender egalitarianism.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difference of family perceptions between social worker and client. Bu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family social work procession or intervention will be investigated concretely.

  • PDF

A Study on the Family Discourses in Social Workers (사회복지사의 "가족" 담론 연구)

  • Kim, In-Soo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6 no.2
    • /
    • pp.53-70
    • /
    • 2004
  • This study is about family discourses of social worker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suggestions of relatedness between discourse and practice by grasping the contents and meaning of discourses in social workers. 10 social workers in various fields were interview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are followed: First, social workers understand family as a private space which have a meaning of shelter and refuge. Second, there are gaps between consciousness and practice of division of gender role in family. But social workers generally are inclined toward receiving division of gender role in family and applied to their family practice. Third, monolithic family image have a tendency of versatility in family structure, is inclined toward the division of gender role and myth of motherhood. Fourth, social workers perceived emotional tie as important nature of family solidarity and family as natural institution. Also these discourses of social workers were applied to their family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s possibility that social work practice can be discoursive practice or interpretive practice.

  • PDF

A Structural -Functional Approach of the Theory of the Korean Family (구조적-기능적면을 중심으로 본 한구가족의 이론적 고찰)

  • 김양순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17 no.3
    • /
    • pp.61-69
    • /
    • 1979
  • 사회의 가장 기초적인 단위인 가족은 핵가족에서부터 시작된다. Hill(1957)에 의하면 가족에 대한 연구는 일곱가지 면으로 나누어 연구되어 질수 있으며 그 중 하나인 구조적- 기능적 면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을 이론적으로 분석해 보려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가족에 대한 구조적 기능적인 면의 분석은 사회학에서 중심적인 연구분야이다. 사회가 변화, 발전함에 따라 가족의 구조와 그 고유한 기능도 변화되어 간다. 사회학적으로 사망, 이혼, 별거, 결혼, 출산에 의해 가족의 구조와 그 기능은 변화되어간다. 한국가족의 구조는 부계직계 확대가족에서 점차 핵가족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그 기능도 따라서 변화되어 가고 있다.

  • PDF

한국의 가족 및 친족간의 접촉빈도와 사회적 지원의 양상: 국제간 비교의 맥락에서

  • Jeong, Jae-Gi
    • Proceedings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Conference
    • /
    • 2007.11a
    • /
    • pp.155-170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가족 및 친족관계의 특성을 국제 비교적 맥락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ISSP(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의 모듈인 '사회관계와 지원체계'를 조사한 2004년 한국일반종합조사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의 친족 간 접촉빈도와 사회적 지원에서 친족이 차지하는 위치를 비교적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한국의 대면적 친족접촉빈도가 조사대상 국 중 최하위 권에 있으며, 한국의 가족 및 친족이 정서적 지원보다는 도구적 지원의 대상으로 작동하는 성격이 보다 강함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의 낮은 친족접촉빈도는 한국의 경제발전 수준이나, 강한 가족주의의 전통으로는 쉽게 설명되기 어렵다는 점에 주목하여, 유교적 전통 중 위계적 집합주의가 섬소한 대면적 접촉빈도를 설명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사회적 지원과 관련하여서는 한국의 가족주의가 도구적 가족주의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는 한편, 친족집단의 낮은 정서적 지원정도와 위계적 집합주의와의 관련이 논의되었다. 또, 이러한 낮은 정서적 지원의 양상이 반드시 한국의 가족관계가 비정서적인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지적되었다.

  • PDF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가족배경, 사회자본 및 문화자본의 영향

  • Kim, Hyeon-Ju;Lee, Byeong-Hu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0 no.1
    • /
    • pp.125-14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학업성취를 통해 재생산되도록 만드는 변수들의 영향을 밝히려고 하였다. 가족의 사회경제적 변수, 극히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이 독립적으로 또는 가족배경을 맥락으로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중고등학생 총 2771명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중학생에 비해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변수의 영향력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영향력은 증가하였다. 성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변수와 가족의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영향력이 동시에 존재하나 여학생의 경우에는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영향이 거의 없고, 부모의 사회경제적 변수 중에서 아버지의 직업과 자산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영향력은 상당부분 부모의 사회경제적 자원에 흡수되는 경향이 있으나 가족의 자녀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학업성취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자본임을 발견하였다.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경제적 지원만으로는 자녀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어려우며 사회자본이나 문화자본과 함께 결합된 사회경제적 지원이 자녀의 학업성취에 기여함을 발견하였다.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 - 가족구조와 가족소득, 빈곤의 영향을 중심으로 -

  • Gu, In-Hoe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0a
    • /
    • pp.473-497
    • /
    • 2003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1998-2001 자료를 이용하여 성장기에 경험한 가족구조와 저소득, 빈곤 등의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족구조와 가족소득, 빈곤의 영향을 각각 분석한 결과 각 변수는 청소년의 학력연수와 대학입학확률, 진학고교유형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19세의 학력연수와 대학진학확률의 경우 이혼 별거가족의 청소년과 한부모가족을 장기적으로 경험한 청소년, 빈곤가족의 청소년은 특히 낮은 수준의 성취도를 보였다. 가족구조가 19세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소득수준이나 빈곤을 통제한 후에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빈곤의 영향력 또한 가족구조가 모형에 포함된 후에도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16세의 진학고교유형에 대해서는 가족구조와 가족소득을 같이 모형에 포함하는 경우 가족구조의 영향은 일관되지 않고 빈곤의 영향 또한 사라진다. 가족구조와 빈곤의 상대적 영향력을 두 변수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대학진학모형에서 비교한 결과 가족구조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발견은 한부모가족과 빈곤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원 대책이 청소년 교육성취 수준을 향상하는 데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Familialism And Typology of Family Policies (가족주의와 가족정책 재유형화를 위한 이론적 논의)

  • Yoon, Hong Si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4 no.4
    • /
    • pp.261-284
    • /
    • 2012
  • This article attempts to discuss the childcare regime through examining the way familialism is expressed in society. First of all, this study reconceptualizes familialism and familism. From this conceptualization, this paper argues that although familialism is partly related with the level of development in a welfare state, familialism determines the way of welfare provision. Especially, family policy models are classified into 6 different typologies based on four concepts: defamilialization, familialization, public, and private. According to this discussion, familialism in child care is not simply the result of underdeveloped welfare in Korea. Rather the familialism is deeply rooted in the current socioeconomic circumstance and traditional culture in Korea. This implies that despite of expanding the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of public childcare,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childcare regime would not be the same as the Nordic childcare regime.

  • PDF

An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Children's Depression (사회자본이 아동 우울에 미치는 영향)

  • Kim, Yeun-hee;Kim, Sun-su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no.36
    • /
    • pp.103-127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chanism and the degree of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children's depression by using the Korean National Child and Adolescent Panel data Yr. 1. We predicted that the human capital of a child's family such as education and income would influence children's depression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family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We further predicted that the influence of the community social capital would be exerted on the depressive symptoms more so through the family social capital. The findings suggest that both the human capital and the community social capital influence children's depression through family social capital more so than directly. Th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the qualities of family relationship for a child's mental health and suggested family policie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strengthen families.

Analysis of Differences in Family Problem Solving,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문제해결, 가족관계만족도, 가족생활만족도의 차이 분석)

  • Moon, Kyung-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377-381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KOWEPS) 15차 연도(2020년)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에 따라 가족문제해결, 가족관계만족도, 가족생활만족도에 대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고, 이를 장애인 복지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한국복지패널 15차 년도 전체패널 27,447명에서 2021년 현재 장애인으로 등록된 1,281명중 80세(1942년생) 이상 422명을 제외한 859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성별, 연령, 교육수준에 따른 가족문제해결, 가족관계만족도, 가족생활만족도의 평균값이 대부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양상으로 나타났으나 가족문제해결, 가족관계만족도, 가족생활만족도의 3개변인 모두에서 결혼 상태에 따른 평균의 차이는 각각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배우자의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결혼 상태에 비해 가족관계가 원만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장애인들의 경우 가족 간의 순기능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sychosocial aging and age integration awareness :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ism and Family solidarity (심리사회적 노화와 연령통합 인식: 가족주의 및 가족결속의 조절효과 분석)

  • Chung, Soon-Dool;Kim, Min-Kyoung;Kim, Eun-Joo;Kim, Ju-Hyun
    •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 /
    • no.54
    • /
    • pp.187-224
    • /
    • 2016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sychosocial aging on age integr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ism and Family solidarity. In particula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establishing a basis of practical and political intervention in family level for improving age integration. We employed data from the 'Ageing Society Awareness Investigation' funded by Korea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in 2014. Our analysis sample consisted of 702 adults who were from 40 to 90 years old. Also,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TATA13. First of all, the lower psychosocial aging awareness is the higher age integration awareness. Familism and family solidarity were not a significant predictor for age integration.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familism as well as family solidarity and psychosocial aging ware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age integration. That is to say that as psychosocial aging is negative, when decrease age integration, the net moderating effects of familism and family solidarity were found between age integration and psychosocial aging.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that reinforcing family value and promoting interaction and solidarity with family members are positively contributed to age integration awareness at this point of negative psychosocial a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