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족문제

Search Result 1,08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 Analysis of Issue Shift in German Family Welfare Policy (독일 가족복지정책의 쟁점변화 분석)

  • Lee Jin-Sook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7 no.1
    • /
    • pp.91-119
    • /
    • 2004
  • 독일에서 가족은 전후의 산업화과정 속에서 다면적인 사회변동을 경험하면서 형태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 다양화와 탈제도화 그리고 개인화의 경향이 강해지는 현상을 보이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과정 속에서 가족은 저출산문제, 보육문제, 역할분담을 둘러싼 갈등, 빈곤과 실업, 노인부양문제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와 직접적으로 당면하게 되었다. 특히 1980년대 후반부터는 통일을 전후로 하여 약 10년간에 걸쳐 저출산문제가 심화되면서 가족문제는 중요한 사회정책이 슈로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근대적 가족주의에 기반한 가족의 복지정책의 개선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증대시켰고 그로 인해 독일 가족복지정책은 인구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가족의 복지욕구를 수용해야 한다는 과제를 떠안게 되었다. 본 연구는 1950년대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독일에서 시대별로 각 집권정당들은 다양한 가족쟁점들을 어떠한 관점에서 수용하여 정책의제화하고, 이에 대한 대응전략으로써 어떠한 정책방안들을 발전시켜 왔는가 하는 과정적 전개양상을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통해 획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독일의 가족복지정책은 가족쟁점의 변화에 따라 1인 부양자모델의 확립기, 취업모 지원과 가족의 다양성에 대한 정책적 수용기, 보육정책의 확대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체계화된 정책 프로그램은 소득지원, 양육 및 교육지원 그리고 노인부양가족지원 프로그램이 핵심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의 발전은 정책이 1인 부양자모델에서 2인 부양자모델로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양상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족문제의 해결책을 모색 중인 우리나라에도 시사하는 바가 많다.

가족정책의 성 통합적 재구조화: 노동 주체의 관점에 근거한 일과 가족의 양립을 중심으로

  • Yun, Hong-Sik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4a
    • /
    • pp.469-492
    • /
    • 2005
  • 본 논문은 성 통합적 관점에서 가족정책의 재구조화에 대한 논의를 전개함으로써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는 가족정책의 관점이 노동하는 주체의 관점에 섰을 때 일과 가족 양립의 문제가 특정성의 문제가 아닌 보편적 시민의 문제가 된다는 점이다. 즉 허구적 믿음에 근거한 공 사적영역의 분리를 (성별구분 없이) 노동하는 주체의 관점에서 통합시킬 때 공적가치인 정의의 문제와 사적가치인 보살핌의 대림이 해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노동주체로서 남성과 여성의 통합성과 현실적 문제로써 여성과 남성의 차이에 근거한 '이해'의 상이함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가족정책의 틀은 가족 구성원이 노동하는 장소에 따라 구분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는 가족정책의 틀에 따라 가족정책을 가족영역과 시장영역으로 나누었을 때 가족정책의 내용은 가족구성원이 노동권과 부모권(모성권+부성권)을 실현하는데 장애가 되는 요인들을 완화 제거하는 정책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족정책의 방향은 여성과 남성이 생계부양과 보살핌의 책무를 함께 나누게 하는 것이다. 이는 노동하는 주체의 관점에서 허구적인 공 사적영역의 분리를 통합시켜 내는 것으로, 궁극적인 가족정책의 지향점이라고 할 수 있는 보편적 일과 가족 양립을 실현하는 길이라는 것이다.

  • PDF

Analysis of Differences in Family Problem Solving,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문제해결, 가족관계만족도, 가족생활만족도의 차이 분석)

  • Moon, Kyung-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377-381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KOWEPS) 15차 연도(2020년)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에 따라 가족문제해결, 가족관계만족도, 가족생활만족도에 대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고, 이를 장애인 복지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한국복지패널 15차 년도 전체패널 27,447명에서 2021년 현재 장애인으로 등록된 1,281명중 80세(1942년생) 이상 422명을 제외한 859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성별, 연령, 교육수준에 따른 가족문제해결, 가족관계만족도, 가족생활만족도의 평균값이 대부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양상으로 나타났으나 가족문제해결, 가족관계만족도, 가족생활만족도의 3개변인 모두에서 결혼 상태에 따른 평균의 차이는 각각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배우자의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결혼 상태에 비해 가족관계가 원만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장애인들의 경우 가족 간의 순기능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Comparisons of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the Roles of Grandparents in Nuclear and Extended families (가족구조에 따른 아동의 문제행동과 조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 비교)

  • Hyejung Jin Hwang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1 no.12
    • /
    • pp.27-3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핵가족과 확대가족의 구조가 한국 초등학교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서울과 인천에 거주하는 417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문제행동을 Children's Behaviour Questionnaire(CBQ:Rotter, 1967)에 의해서 교사가 평가하였으며, 아동은 그들 조부모의 역할을 Grandmother's Role Questionnaire(GRQ:Suh, 1991)에 의해서 평가하였다. 그 결과, 확대가족의 아동은 핵가족의 아동보다 문제행동을 덜 보였으며, 확대가족의 조부모가 손자녀를 정서적으로 지지하고 돌보아주며 생활에 간섭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에 핵가족의 조부모는 손자녀를 훈계하는 역할을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확대가족에서의 조부모는 손자녀의 정서적인 안정을 뒷받침하고 또한 부모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며 가족의 화목한 분위기를 증진시키는 등의 역할을 통해서 손자녀에게 직접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조부모의 역할은 아동의 문제행동에 근간이 되는 가족의 역동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Restructuring the Family Policy from the Gender-integrating Perspective: Reconciling Work and Family life (가족정책의 성 통합적 재구조화: 노동 주체의 관점에 근거한 일과 가족의 양립을 중심으로)

  • Yoon, Hong-Si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7 no.4
    • /
    • pp.291-319
    • /
    • 2005
  •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discuss the restructuring of the family policy from a gender-integrating perspective. Several meaningful conclusions were reached. First, examining family policy from the laborer's perspective, the issue of work and family becomes not a gender-related issue but rather an issue for universal people. Second, in order to include the difference in interest among men and women in the labor market, and to view the issue from a gender-integrating perspective, the framework for family policy should consider the place of labor. Third, if family policy is divided into family and labor arena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framework, the core content of the policy should gear toward loosening and/or eliminating barriers to fulfill the right to work for pay and the right to care for family. Lastly, family policy should aim at men and women sharing the responsibility of supporting and caring for the family. By doing so, we may be closer to maintaining work and family together, the ultimate goal of family policy.

  • PDF

The Influence of Stress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upon Problem-solving Ability - Centering on the Buffer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 (장애아동가족의 스트레스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가족탄력성 조절효과 중심으로 -)

  • Kang, Hyo-Kyung;Yoo, Jang-Soon
    •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 /
    • v.11 no.3
    • /
    • pp.427-44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tress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upon a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a buffer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through life cycl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as 546 parents who have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in special schools. The date for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questionaries and the answer sheet was analyzed by SPSS(VER. 14). A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information and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grou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Higher belief system, higher organization type, higher communication process of the family with disabled children tend to appear more positive influences on buffering effects for stresses of family and solving-problem abilities.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 that the buffer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indicate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and the problem-solving ability in the family with disabled children.

  • PDF

The Influence on College Life Adjustment of Separation Individuation and Family Cohesion (분리 개별화와 가족 응집력이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이희자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187-194
    • /
    • 1994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분리개별화와 가족응집력이 그들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것이 부모로부터의 독립인지 가족의 친밀감과 지지인지 알아보고, 두 요인이 모두 영향을 준다면 각각 대학생활의 어떤 영역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 를 얻었다. 첫째,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에서 갈등적 독립이 높을수록, 태도적 독립이 낮을수록 학업문제의 적응은 높았다. 갈등적 독립이 높을수록 심리적 문제와 진로, 취업문제의 적응은 낮았다. 태도적 독립과 기능적 독립이 높을수록 교수와의 관계에 있어서 적응은 낮게 나타났다. 기능적 독립이 발달한 학생은 교우와의 관계에서 높은 적응을 나타났다. 정서적 독립이 높은 학생은 전반적인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족응집력은 대학생활에서 진로, 취업문제와 교유관계에 있어서 적응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남학생에게 가족응집력은 심리적 문제의 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나타내며, 여학생에게는 가족응집력이 높을수록 교우관계와 진로, 취업문제의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 PDF

Adolescent development in diverse families (다양한 가족에서의 청소년 발달)

  • Chung, Hyunsook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0 no.spc
    • /
    • pp.29-45
    • /
    • 2004
  • To understand changing adolescent developmental environment, this paper critically reviewed a) social factors influencing family structure and function and b) outcomes of these changes. Also based on recent research findings of diverse families, this paper presented how individual, famili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are related each other to adolescent development. Based on literature review, new research directions and research issues are discussed.

  • PDF

Health Policy for The Senile Dementia in Korea (치매노인의 건강한 삶을 위한 노인복지정책 방향)

  • 최용민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8 no.6
    • /
    • pp.729-73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nile dementia in Korea and then provides policy alternatives for the heal-thy life of the aged. The increaase of life expectancy is the hope for all, accordingly unhealthy life will be misfortune for them including their family. The physiological dysfunction of human body causes diverse problems. Among them, the most serious one is the malfunction of brain to include both Alzheimer's disease and senile dementia. When considering the poor analysis for senile dementia and the non-systematic aspect of national health policy for the aged, this paper has concluded that more planne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aged in viewpoint of national criteria.

  • PDF

A Study on the Discourse of Family and Family Policy in the Legislative Process of Strong Family Act (건강가정기본법 제정과정에 나타난 가족 및 가족정책 담론)

  • Kim, In-Soo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9 no.3
    • /
    • pp.253-280
    • /
    • 2007
  • This study explores the discoures of family and family policy in the legislative process of Strong Family Act.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are follows. The Strong Family Act made family issue as a political agenda in spite of much critic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discourse in "strong family camp": 1) The emphasis on the moral principle in family 2) denial of deinstitutionalization of family 3) regarding the family problem as a moral and individual problem 4) regarding the state as managing and controling the fami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discourse in "critical camp": 1) strong family discourse is related to "the family" ideology 2) regarding the family problem as a social, structural problem 3) regarding the state as subsiding, supplementing famil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policy discourse in "strong family camp": 1) casual efficiency as justifying logics 2) family policy as means to recover family values 3) deunifying the family policy. On the one h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policy discourse in "critical camp": 1) social consensus and academic discussion as justifying logics 2) regarding the family policy as a means of gender equality and strategical point of welfare state expansion. The discourse of family and family policy, especially 'Strong Family Discourse" resulted in conjugation of nationalism and neoliberalis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