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정용 침대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고령자용 저상 요양침대의 설계 및 평가 (Design and Evaluation of a Low-floor Care-bed for Elderly People)

  • 배주환;문인혁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9-35
    • /
    • 2017
  • 기존의 가정용 요양침대는 매트리스 지지판(mattress support platform) 하부에 설치된 복잡한 기구부로 인해 저상화 실현이 어려웠다. 본 논문에서는 등판과 다리판의 각도를 조절하면서도 저상화가 가능한 요양침대의 구동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등판과 다리판의 메커니즘은 듀얼 모터(dual motor)를 적용하고, 최적화 기법으로 설계변수를 결정하였다. 승강 메커니즘은 풀리(pulley)구조를 적용하여 제한된 구동기의 가동범위를 최대 두 배까지 높일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건강한 5명의 피험자($24.4{\pm}0.5$세)가 방바닥에서 240mm의 저상 프로토타입 요양침대와, 600mm의 일반적인 높이의 침대에 올라갈 때의 그 이동 거리를 측정하여 저상화 침대에 대한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저상 요양침대를 사용할 때의 이동 거리는 기존 높이의 침대에 비해 평균 38% 작았다. 이것은 저상요양침대가 고령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여주며, 일반침대보다 일상생활 지원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Effectiveness of chest compression by bystander on the home bed mattress

  • Hee-Jeong Ahn;Uk-Jin Choi;Gyu-Sik Sh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173-180
    • /
    • 2024
  • 본 연구는 가정용 침대 위에서 발생한 심정지 환자에게 가슴압박을 수행할 경우 환자의 체중과 구조자의 체중에 따른 가슴압박 정확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2023년 01월 07일부터 01월 19일까지 대한심폐소생협회의 KBLS 교육과정을 이수한 N대학교와 S대학교의 응급구조(학)과 학생 36명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무릎 위치에서 매트리스가 눌리는 깊이, 마네킹의 무게에 의해 매트리스가 눌리는 깊이를 측정하였고, 2분간 연속된 가슴압박을 수행하는 동안 가슴압박 깊이, 속도, 압박 위치 불량, 가슴압박 깊이 50 mm 미만 횟수, 모든 변수를 고려한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가정에서 소아 심정지를 발견한 경우 환자를 바닥으로 이동시켜 가슴압박을 진행하고, 성인 심정지를 발견한 최초목격자는 환자를 무리하게 침대 밑으로 내려 가슴압박을 진행하기보다는 침대 위에서 진행하는 것을 권장한다.

가정 요양용 전동침대의 사용성평가 지표 개발 (Development of Usability Assessment Indicator of Adjustable Electric Beds for Home Care)

  • 유재성;김봉선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5-55
    • /
    • 2016
  • In this study we carry out usability evaluation for adjustable electric beds for home care that are used the most by the elderly, and examines dissatisfaction of users. In this sense, we performed an interview with stakeholders including bed users, developers and suppliers to develop usability evaluation contents. In addition, we carried out feasibility and reliability study over evaluation form through usability assessment, and developed usability evaluation indic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