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정생활관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7초

교육콘텐츠 개발을 위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가정생활관(家庭生活觀)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on The Family Life Consciousness of Dasan Jeong Yak-yong for Educational Contents Development)

  • 주영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29-544
    • /
    • 2018
  • 본 연구는 다산 정약용의 가정생활관을 고찰하여 그 의의를 찾고, 실천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산의 가정생활관은 다산시문집, 편지글, 선행연구 등을 참고하여 가족관, 의식주생활관, 가정경제관으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다산의 가정생활관은 자기관리와 절제, 근검절약과 분수 지키기, 순리적인 나눔과 베품으로 정리할 수 있었으며, 일상에서 실천적인 노력이 강조되었다. 첫째 자기관리와 절제는 말과 행동을 조심하기, 효를 실천하기, 가족 간에 화목하기, 독서하기, 선함을 잃지 않기, 심신을 수양하기 포기하기 말고 독립적이고 당당하기, 용모와 안색을 바르게 하기 등이다. 둘째로 근검절약과 분수는 항상 부지런 하고, 검소한 생활을 실천하며, 사치를 금하고 자신의 일을 열심히 하며, 과음을 경계한 것이다. 셋째는 순리적인 나눔과 베품의 실천은 환경을 탓하지 말고 분수에 맞게 지내고, 곤궁함에 대처하며, 사욕을 막고 나누고 베풀어 주라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다산의 가정생활관은 오늘날 공유가치, 공동체사회, 복지사회를 구현해 가기 위한 규범과 가치를 담고 있다고 사료된다. 앞으로 다산의 가정생활관에 대한 교육콘텐츠의 개발을 위해 본고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며, 이를 통해서 시대를 초월한 다산 정신이 계승되고 실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취업주부의 객관적 주관적 자원, 가정관리능력 및 가정생활만족 (The Employed Wives' Objective and Subjective Resources, Home Management Ability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 이정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3권1호
    • /
    • pp.1-11
    • /
    • 1995
  • 본 연구는 취업주부의 객관적 및 주관적 자원 가정관리 능력 가정생활만족간의 관 계를 체계론적 관점에 따라 분석하고 각 변인들간의 인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 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원적정인지도 생활정보활용도 및 의사소통도는 비교적 높고 스트레스인지도는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가정관리능력과 가정생활만족은 비교 적 높은 편이었다 2) 취업주부의 연령과 생활정보활용도 의사소통도가 높을 때 가정관리능 력이 높았다 3) 취업주부의 연령이 낮고 자원적정인지도와 의사소통도가 높고 스트레스인지 도가 낮을 때 가정생활만족도가 높았다 4) 취업주부의 가정관리능력이 높을 때 가정생활만족 도가 높았다. 5) 각 변인들 사이에 인과관계가 성립되었다.

  • PDF

가정관리유형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Home Management Pattern & its Related Influential Variables)

  • 이정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2권1호
    • /
    • pp.72-82
    • /
    • 1994
  • 본 연구는 가정관리자의 관리유형과 가정생활 정보활용 수준 및 가족결속도간의 관 계규명을 위한 시도이며 서울시에 거주하는 자녀를 1명이상둔 주부를 대상으로 하였고 가정 생활주기별로 층화표집을 하였다. 배포한 설문지 중 기재미비로 제외된 나머지 704부를 연 구의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ronbach-{\alpha}$ 계수 요인분석, 빈도, 백분율, Anova, $x^2-test$,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과 판별분석의 통계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SAS/PC program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은 부분적으로 긍정되었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관리 유형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변인은 주부의 학력, 남편의 학려그 자녀수, 결혼지속년수, 가정생활주기 및 시간지향이었다 이중에서 가정관리 유형을 판별해 낼 수 있는 변인은 주부학력과 시간지향변인이었다. 둘째 가정관리 유형별 qorudqusd니의 가족결속도에 대한 직.간접적인 영향력은 과업중심적 관리유형의 가정의 겨우 과거지향적인 주부일수록 남편학력이 높을수록 가정생활주기가 축소기에 가까우수록 전체 정보활용도는 높고 더불어 가족결속도도 높았다. 반변에 인간중심적 관리유형 가정의 경우 미래지향적인 주부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전체생활 정보활용도가 높고 더불어 가족결속도의 증대에 기여도가 높았다.

  • PDF

"성학집요"에 나타난 자녀교육관 (Hildrearing Philosophy in "The Anthology of the Essentials Sagely Learning")

  • 홍달아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2권1호
    • /
    • pp.200-208
    • /
    • 1994
  • 본 연구는 한국전통사회의 자녀교육관을 율곡이 저술한 $\ulcorner$성학집요$\lrcorner$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ulcorner$성학집요$\lrcorner$ 정가편 교자음에서는 인간의 본성은 선한 것이라고 믿고 누구 든지 노력하면 성인에 도달할수 있다고 보아 특히 교육시킬수 것을 강조했다 즉 애태시켜야 하며 일상생활을 통한 반복학습에 의한 습득형성을 강조했다 또한 유모를 정할때도 인성형 성의 막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신중히 고를 것을 말 했다 셋째 교육하는 순서와 학문하는 자 세를 강조하였다 넷째 생활교육을 강조했다 가족에서의 자녀교육이란 일상생활을 통한 교육 이 중요함을 말했다 다섯째 학문을 할 때는 몸가짐과 마음가짐이 성패를 좌우한다고 했다. 이와 같은 자녀교육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사상은 성실함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생애학습 이나 자아실현이란 것도 입지를 돈독히 하여 꾸준히 성실한 자세를 갖는 것이 인간의 계속 적인 성장을 가능케 하는 동인이 된다는 것이다.

  • PDF

교정조직문화와 여성교도관들의 성차별적 스트레스요인에 대한 분석연구 (The impact of mal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work-job conflict on female correctional officers' stress)

  • 김은영;박웅섭
    • 시큐리티연구
    • /
    • 제49호
    • /
    • pp.11-36
    • /
    • 2016
  • 이 연구는 국내의 여성교도관들의 다양한 스트레스 관련요인과 그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한 경험적 연구이다. 가장 중요한 연구의 검증주제는 어떠한 직업과 가정의 갈등요인들이 여성교도관들의 스트레스에 미치는지 그리고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일반적으로 교도관들의 스트레스와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는 개인적 단위의 요인들과 조직적 단위의 요인들의 영향력과 유의미성 역시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을 위해서 국내의 12개의 교도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여성교도관들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여성교정공무원들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보안과 근무여부, 생활만족도, 상관의 조직운영에 대한 인식, 그리고 육아와 가사를 근무와 병행하는 어려움, 남성중심조직문화의 어려움의 5가지 변수들이었다. 주목할 만한 것은 보안과 근무여부, 생활만족도, 상관의 조직운영에 대한 인식 그리고 육아와 가사와 근무병행의 어려움의 네 가지 요인들은 모두 여성교도관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요인들이었다. 그러나 남성중심조직문화의 어려움은 여성교도관들의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육아와 가사와 근무병행의 어려움과 남성중심조직문화의 어려움은 여성교도관들의 직업-가정갈등요인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여성교도관들이 남성들에 비해 특별히 다른 스트레스 요인을 가지고 있지는 않으며 심지어 육아와 가정생활과 관련된 업무의 부담까지도 스트레스 요인으로 인식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남성중심적인 업무환경은 여전히 여성교도관들의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가장 심각한 위험요인이라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발견에 근거한 논의가 결과와 논의에서 해석되고 논의되었다.

  • PDF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결혼관 및 자녀관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n view of marriage and children in university students)

  • 문희;선춘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47-456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결혼관과 자녀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남녀평등의식, 결혼관, 자녀관에 대한 인식 수준을 파악하였다. 연구를 위한 조사는 S시의 대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 수준은 평균 4.23점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은 결혼관, 자녀관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양성평등의식의 하위영역 중 가정생활 영역에서 결혼관과 자녀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정생활 영역의 양성평등의식이 높을수록 결혼관에 대하여 개방적이었으며 자녀가 필요하다는 인식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학생의 긍정적인 결혼관 및 자녀관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남녀간의 균형잡힌 양성평등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회원작품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1호통권226호
    • /
    • pp.15-31
    • /
    • 1988
  • PDF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족가치관과 세 행동체계별 가족생활 영역 목표 요구도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Family Value and Needs on Learning Objectives of Family Life Area according to the Three Systems of Action)

  • 오윤희;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39-255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족가치관과 가족생활 영역 목표의 요구도를 파악하고 이 둘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 자료는 전국에서 중학교 $\lceil$기술${\cdot}$가정$\rfloor$ 교과의 가족생활 영역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우편을 통한 설문지로 수집되었다. 자료는 SPSS/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t-test, ANOVA와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교사의 가족가치관은 비교적 근대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혼관, 성역할관, 자녀관, 효 및 부양의식, 가족주의 가치관의 모든 하위영역에서도 근대적인 가치관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가정과 교사의 가족생활 영역 목표에 대한 요구도는 해방적 행동체계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기술적 행동체계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나 해석적 행동체계와 비슷하였다. 셋째, 가족가치관과 가족생활 영역 목표의 요구도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기술적, 해석적 행동체계의 목표의 요구도는 가족가치관과 상관이 거의 없었으나, 해방적 행동체계의 목표 요구도는 가족가치관이 근대적일수록 높았다. 넷째, 가정과교사의 가족가치관과 가족생활 영역 목표에 대한 요구도에 있어서 여교사, 가정과목 자격 소지 교사, 젊은 교사, 교직경력이 적은 고사가 각각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근대적 가치관을 가지고 있었고 아울러 해방적 행동체계의 목표를 더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볼 때, 가정교과가 실천 비판적인 교과라는 본질에 대한 합의를 이루어 가족생활 교육 과정에 해방적 행동에 대한 목표를 강조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정과교사 교육과 재교육 과정을 통해서 성숙된 가족가치관과 가족에 대한 해방적 인식관심을 기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lceil$기술${\cdot}$가정$\rfloor$ 교과 지도 시에 기술과 가정 영역을 분리하여 가정과교사가 가족생활 영역을 지도하는 것이 실천 비판적 관점에서의 가정과교육의 실현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 PDF

가족복지실천을 위한 종합사회복지관과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기능 및 관계에 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about the Function and Relationships of Social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Health Family Support Centers for Family Welfare Practice)

  • 임효연;이사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5-95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가족복지실천의 중점 기관인 종합사회복지관과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각 기관이 수행하는 기능과 더불어 양 기관의 관계에 대한 종사자들의 인식을 탐색하였다. 문헌연구와 양 기관의 기관장과 중간관리자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운영현황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고 양 기관의 기능과 관계성을 통해 가족복지를 지역사회에 전개해 나가는 데 있어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연구참가자들은 공통의 목표를 추구하지만 각 기관만의 기능과 사회적 가치에 대한 차별성을 제기하였고, 이를 통해 종합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안의 개인과 가족에 초점을 둔 지역사회통합을 위한 사례관리가 중점적 기능으로 앞으로의 발전방향임을 확인하였다. 건강가정지원센터는 일반가정의 가족생활주기에 맞춘 보편적 가족복지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예방활동과 지역주민의 심리적 접근성을 최대한 가깝게 유지하면서 건강가정을 구축해나가는 데 있어서의 토대역할이 기대가 되었다.

장애인복지관을 위한 그룹웨어시스템 (A Groupware System For Rehabilitation Welfare Center)

  • 장성모;서정민;이상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1권1호
    • /
    • pp.209-212
    • /
    • 2013
  • 최신 IT정보기술 발전에 따라 일반 사용자 이외에도 신체적 결함을 가지고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의사소통과 정보획득을 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기술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현대사회의 정보화는 산업현장에서부터 가정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에서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삼품과 서비스를 구입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의 여유를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등 사람들의 생활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이와 같이 빠르고 다양해지는 서비스의 다변화 속에서 자신의 신체적 결함을 극복하고 보완하기 위한 서비스 활용을 가능케 해주는 IT 정보통신 기기 및 제품들은 이들에게 필수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장애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히 정보화가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에 장애인 복지관에는 정부의 정보화 촉진 계획에 따라 2001년부터 업무표준화를 시작으로 개발된 전산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스템이 일반 기업이나 기관에서 사용하는 시스템을 그대로 갖다 사용하는 관계로 장애인복지관에 특화된 서비스를 고려하지 않아 많은 문제점들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장애인복지관에 특화된 시스템을 구현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