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정구조

Search Result 2,51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Content Analysis of the Family-Related Units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from the Theoretical Viewpoint of Structure Functionalism.Family Development and Healthy Family (구조기능론, 발달론 및 건강가정 관점에서 비교한 고등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서 '가족' 관련 단원 내용 분석)

  • Kim, Ja-Young;Cho, Byung-Eu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0 no.1
    • /
    • pp.117-136
    • /
    • 2008
  • This research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within the 7th Curriculum from three theoretical viewpoints: structure functionalism family development and healthy family. A quantitative and in-depth content analysis were carried out with the six elements of family structure, family role, family relation, family life cycle, adjustment to the aged, marriage and childbirth. From the in-depth analysis, a healthy family viewpoint was reflected in the family structure, family role, adjustment to the aged, marriage and childbirth elements and a structure functionalist viewpoint was found in the family relation element. The family life cycle elements reflected a strong tendency of family development theory. The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consisting of pictures, illustrations, examples indicated that a structure functional viewpoint was prevalent in both the family structure and family role elements. Overall, structure functionalism and healthy family viewpoint were reflected at similar level in the textbook.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velopment, teaching methods and future study were suggested.

  • PDF

피동형 격납건물 냉각계통 내 돔 효과의 수치적 해석에 관한 연구

  • 전지한;박홍준;이은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a
    • /
    • pp.298-303
    • /
    • 1997
  • 실제의 격납건물의 구조는 하부 원통형의 구조를 가지는 영역과 상부 돔 형태와 굴뚝 형태의 구조를 가지는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하부 원통형의 구조만을 고려한다면, 고온의 철제 벽면과 콘크리트 벽면 사이의 gap 크기에 비해서 원통의 반지름이 상대적으로 매우 큰 값을 가지기 때문에 2차원 무한평판으로 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돔 및 굴뚝 영역에서는 높이가 높아질수록 돔 단면직경이 감소하고 굴뚝 영역도 유동단면적이 작은 원통의 구조를 가져 2차원 무한평판의 가정에 많은 무리가 따른다. 앞에서 명시한 세 가지의 격납건물 형태에 있어서 ASPWR의 경우는 굴뚝을 포함한 영역까지도 무한평판으로 가정하는 것이 가능하나(돔에서의 열전달 단면적이 하부의 열전달 단면적에 비해 매우 작다는 가정을 한다면) 나머지 AP600과 HWRF의 격납건물에 있어서는 상부까지도 무한평판 가정을 사용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유체해석 코드인 FLUENT V4.3을 이용하여 실제 격납건물 구조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여 무한평판 구조에 대한 가정이 과도한 열전달량을 예측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Efficient Seismic Analysis of Building Structures with Eccentric Beams (보의 편심효과를 고려한 건축구조물의 효율적인 지진해석)

  • 안상경;이동근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4 no.2
    • /
    • pp.203-211
    • /
    • 2001
  • 고층구조물의 해석에 사용되는 ETABS와 같은 상용프로그램은 해석의 단순화를 위하여 강막가정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강막가정은 일반적으로 바닥판의 휨 강성과 보의 편심효과를 무시하게 된다. 이러한 가정은 골조구조물의 정적해석에 대해서는 정당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동적해석의 경우에는 바닥판의 휨 강성과 보의 편심효과가 구조물의 횡 방향 거동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바닥판의 영향과 보의 편심효과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유한요소의 특성상 바닥판과 보를 여러 개의 요소로 나누어야 하며, 이로 인하여 해석과 구조물의 모형화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부분구조기법과 대형요소를 사용한 효율적인 모형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최종적으로 각 층에 대하여 강막가정을 적용하여 층 당 3개의 자유도만을 고려하는 막대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모형화기법의 정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응답을 비교하였다.

  • PDF

Control Architecture and Ubiquitous Environment for Intelligent Service Robots (지능형 서비스 로봇을 위한 유비쿼터스 환경과 제어구조)

  • Lee, S.I.;Seo, B.S.;Kim, J.B.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2 no.2 s.104
    • /
    • pp.20-30
    • /
    • 2007
  • 본 고에서는 지능형 서비스 로봇에 적용되고 있는 기존의 로봇 제어구조에 대한 기술동향을 살펴보고, 가정환경에서 로봇이 적절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환경 내의 다른 장치나 가전도구와 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환경 구축 방안과 로봇 내부의 제어구조 및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와의 통신 문제 등에 대하여 살펴본다. 로봇이 가정 내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정 환경과의 적절한 상호작용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가정의 다양한 기기들과의 적절한 정보 교환이 필요하고, 이러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또한, 로봇 내부적으로도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절한 제어구조가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로봇 외부의 서버와의 협업을 통한 질높은 서비스의 제공이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성공에 필수적인 조건이라 할 수 있다. 본 고에서 제안된 로봇 제어구조는 2006년 10월부터 시작된 URC 로봇 시범사업에 적용되어 현재 시범운용중에 있다.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of the Determinants of Home Environment and Peer Group Environment for Children's Self'Perceived Competence (역량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과 또래환경 결정요인의 공변량구조모형)

  • 이주리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6 no.11
    • /
    • pp.193-207
    • /
    • 1998
  •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연령과 성에 따른 아동의 역량지각 발달의 경향을 조사하고, 연령, 성을 포함한 가정환경과 또래 환경의 변수들의 역량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평형 모델을 통해 알아 보았다. 또한, 이러한 역량지각의 발달 성향을 서구 문화권과 비교하여, 역량지각발달의 문화적 보편성이나 차이점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유아,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은 면접으로, 그리고 3학년이상은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은 유아, 초등학교 1, 3, 5학년, 중학교 1학년 아동 750명과 그들의 어머니이다. 인지, 사회, 신체 영역에서 모두 역량지각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인지, 신체 영역의 역량지각에선 연령과 성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서구 문화권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호작용이 발견되지 않는다. 역량지각의 공변량구조모형에서는 또래환경 변수가 모두 포함시키기에 부적합한 변수로 나타났고, 연령, 성과 가족의 수입, 아버지의 교육수준, 가정의 물리적 환경, 부모의 정서적 지지가 아동의 역량지각에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affection perceived by adolescents on juvenile delinquency -A comparison between two-parent families single-parent families- (청소년이 인지한 부모 감독·애정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양부모가정과 한부모가정 비교-)

  • Jeong, Kyu-Hyoung;Kim, Hee-J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 /
    • no.56
    • /
    • pp.195-22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between two-parent and single-parent famili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monitoring/affection and adolescent offline/online delinquency. we analyzed 1,812 cases of high school students (1,628 cases of two-parent families and 184 cases of single-parent families) using the $4^{th}$-and $5^{th}$-year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conducted multi-group analysis to confirm the distinction between family structur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parental monitoring influenced offline adolescent delinquency only among two parent families, while perceived parental affection did not influence either family type. Second, perceived parental affection influenced online adolescent delinquency only among single-parent families, and the path also had a greater negative effect than two-parent families. In the case of perceived parental monitoring, it did not influence online adolescent delinquency regardless of family type, but the path had a greater negative effect on two-parent families than single-parent families. Based on these results-, more concrete social-welfare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bout adolescent delinquency proposed.

A Structural -Functional Approach of the Theory of the Korean Family (구조적-기능적면을 중심으로 본 한구가족의 이론적 고찰)

  • 김양순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17 no.3
    • /
    • pp.61-69
    • /
    • 1979
  • 사회의 가장 기초적인 단위인 가족은 핵가족에서부터 시작된다. Hill(1957)에 의하면 가족에 대한 연구는 일곱가지 면으로 나누어 연구되어 질수 있으며 그 중 하나인 구조적- 기능적 면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을 이론적으로 분석해 보려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가족에 대한 구조적 기능적인 면의 분석은 사회학에서 중심적인 연구분야이다. 사회가 변화, 발전함에 따라 가족의 구조와 그 고유한 기능도 변화되어 간다. 사회학적으로 사망, 이혼, 별거, 결혼, 출산에 의해 가족의 구조와 그 기능은 변화되어간다. 한국가족의 구조는 부계직계 확대가족에서 점차 핵가족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그 기능도 따라서 변화되어 가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