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용길이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초

인터넷 기반 분산컴퓨팅환경에서 자원할당을 위한 피어 가용길이 예상 기법 (A Peer Availability Period Prediction Strategy for Resource Allocation in Internet-based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 김진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69-75
    • /
    • 2006
  • 과학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대두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은 대규모의 독립된 자원을 공유하여 과학 연구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축된 환경이므로, 사용자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여러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연구되어 왔지만, 대부분 피어의 자율성을 고려하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터넷기반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의 피어 가용길이 예상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인터넷기반 분산 컴퓨팅환경에서 사용되는 SRTFIT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된 기법이 단순한 예상기법보다 성능이 뛰어남을 보였다.

  • PDF

보조계면활성제가 Pluronic L64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의한 탄화수소 오일 가용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surfactant on Solubilization of Hydrocarbon Oils by Pluronic L64 Nonionic Surfactant Solution)

  • 배민정;김도원;조서연;임종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2호
    • /
    • pp.219-22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보조계면활성제 첨가가 n-octane, n-decane, n-dodecane 등의 탄화수소 오일의 가용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탄화수소의 가용화 속도는 보조계면활성제로 첨가한 알코올의 사슬 길이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특히 사술 길이가 비교적 긴 알코올을 첨가하는 경우, 탄화수소 오일의 가용화 속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1-butanol과 같이 짧은 사슬을 가진 수용성 알코올을 첨가할 경우에는 첨가한 대부분의 알코올이 수용액상에 존재하여 탄화수소 오일의 가용화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반면에, 1-hexanol이나 1-octanol과 같이 비교적 사슬길이가 긴 알코올을 보조계면활성제로 첨가한 경우에는 첨가한 대부분의 알코올이 마이셀 상에 위치하여 마이셀을 보다 flexible한 packing을 갖게 함으로써, 가용화를 용이하게 한 것으로 생각된다. 가용화 속도 실험 결과는 spinning drop tensiometer를 사용하여 탄화수소 오일과 계면활성제 수용액 사이의 동적 계면장력을 측정한 결과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첨가한 알코올의 사슬 길이가 증가할수록 평형에서의 계면장력 값은 감소하며, 또한 계면장력 값이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은 감소하였다.

Tergitol 계열 비이온 계면활성제 시스템에서 첨가제가 원유의 황화합물 가용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Additives on Solubilization of Sulfur Compounds in the Crude Oil by Tergitol Series Nonionic Surfactants)

  • 한지원;임종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3호
    • /
    • pp.226-23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Tergitol 계열 비이온 계면활성제 시스템에 이온 계면활성제와 보조 계면활성제를 각각 첨가한 경우에 있어서의 원유 중에 포함되어 있는 황화합물 가용화도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Sodium oleate, potassium oleate, CTAB와 DTAB 등의 이온 계면활성제 첨가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의한 황화합물 가용화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에 사슬 길이가 긴 알코올을 보조 계면활성제로 첨가한 경우에는 원유 중의 황화합물 가용화도가 증가하였다. 알코올의 첨가 효과는 계면활성제가 수용액 상으로부터 오일 상으로 이동하는 partitioning 현상으로 인하여 사용한 원유 양이 증가할수록 작아지며, 또한 사용한 알코올의 사슬 길이에 따른 가용화도 증가 차이도 작게 나타났다. 원유와 계면 활성제 수용액 사이의 계면장력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소수성의 계면활성제일수록 감소의 폭이 증가하였다. 수용액의 pH 변화에 따라 황화합물의 가용화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탈황 미생물 성장 영향 실험에서 계면활성제 혹은 보조계면활성제의 첨가는 탈황 미생물의 성장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농업용 저수지 소유역 순환용수 가용수량 추정 (Estimation of Available Recurrent Water in Small Watershed of Agricultural Reservoirs)

  • 방나경;남원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59-59
    • /
    • 2021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의 상습화와 농촌용수 수요증가에 대비할 수 있는 가뭄대책의 수립을 통한 용수부족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소의 필요성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기존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4차 산업기술을 적용한 순환형 농업용수 관리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7년 가뭄이 극심하였던 충청남도 대사저수지, 풍전저수지와 경기도 마둔저수지에 대하여 기상분석, 관개분석, 수리분석 등을 수행하여 이수관리, 관개만족도, 회귀수의 재이용 등을 예측 관리할 수 있는 순환형 농업용수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하고자, 선제적으로 가뭄 발생 들녘의 용수공급을 위한 농업용 저수지 소유역 순환용수 가용수량을 추정하였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강우유출 모형을 적용하기 위하여 수원, 천안, 이천관측소의 강우, 최고/최저기온, 상대습도, 풍속, 일사량자료를 일자료로 활용하였고, 10년 평균 유출량을 순별로 산정하여 기본자료로 구축하여 주요 취입보 유입수량을 산정하였다. 주요 취입보 유입수량 산정과 취입보의 용적을 산출하기 위하여 시설별 높이차와 하천의 길이 및 폭을 측정하였으며 물수지는 보유용수량과 유입량의 합에서 공급수량을 제외한 값으로 정의하였고, 내용적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범람되는 것으로 구현하여 마둔, 대사, 풍전저수지의 임의 지점(하천)별로 순환용수 가용을 위한 모의를 실시하였다. 공간 범위는 평야부 말단부로 선정하였고, 가상으로 약 2m 높이의 임시보를 적용하여 관개기 강우유출수 및 퇴수에 의한 가용수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하천의 폭과 표고를 이용하여 길이를 산출하여, 내용적을 산출하였다. 소유역별로 TANK 모형적용 결과를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일 공급 양수량을 내용적 최대로 하였을 때 회복 기간에 대한 모의를 수행하였다. 강우유출수에 의한 소유역별 가용수량을 4월부터 모의 분석한 결과 유역별로 차이는 발생하지만 만수위에 도달하는 기간은 특이 유역을 제외하고는 약 50일 이상 걸리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관개기가 계속되면서 회복되는 기간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통해 소유역별 농업용수 부족분 투입을 위한 위치선정과 용수량 판단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미생물비료 인산가용화균이 오이의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 이태근;박동하;주영직
    • 한국유기농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기농업학회 2002년도 하반기 학술발표대회
    • /
    • pp.74-82
    • /
    • 2002
  • 난용성 인산염을 가용화 시키는 Penicillium sp. PS-113와 Lactobacillus sp. 를 이용하여온실에서 오이에 대한 생육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6cfu/ml$ + Lactobacillus sp. $6{\times}106cfu/ml $동시 처리구에서 평균 오이 길이는 대조구에 비하여 3cm 더 긴것으로 조사되었고, 오이 낱개의 무게는 310.6g으로 무처리구에 비하여 89.2g 이 증가하였으며, 오이 전체 생산량은 10681.7g로 무처리구와 비교해 볼 때 4517.3g이 많아 생산량이 73% 증가하였다.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5cfu/ml$ 단독처리와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5cfu/ml$ + Lactobacillus sp. $6{\times}106cfu/ml$의 동시 처리구도 오이의 평균 무게와 길이에 있어 무처리구보다 약간씩 더 높았다.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5cfu/ml$ + Lactobacillus sp. $6{\times}106cfu/ml$의 동시처리구는 무처리에 비하여 오이의 수가 2개 적었으나 오이 전체 생산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5cfu/ml$ 단독 처리구에서 53.7%, Penicillium sp. PS-113 $5.0{\times}104cfu/ml$ + Lactobacillus sp. $6{\times}106cfu/ml$ 동시 처리구에서 48.5% 증가되었다. 따라서 인산가용화균의 처리가 오이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양이온계면활성제에 의한 4-알킬아닐린 유도체의 가용화에서 알킬치환기, 계면활성제 및 온도의 효과 (Effect of Alkyl Substituents, Surfactants, and Temperature on the Solubilization of 4-alkylaniline Derivatives by Cationic Surfactants)

  • 이동철;이병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50-259
    • /
    • 2020
  • 가용화현상에 있어서 유기물(피가용화물)과 계면활성제와의 상호관계를 조사하고자 UV-Vis 법을 이용하여 가용화상수(Ks)값을 구하였다. 유기물의 para-위치에 알킬치환기가 도입된 4-alkylanilines과 양이온계면활제인 소수기 길이가 서로 다른 DTAB, TTAB, CTAB를 이용하여 유기물과 계면활성제간의 소수성 상호작용에 따른 가용화 상수값과 그에 따른 열역학함수들을 다양한 온도에서 구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유기물에서 알킬치환기에 의한 소수성효과는 탄소사슬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였고, 또한 계면활성제에서 소수기의 길이효과도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소수성 효과는 유기물에서 알킬치환기에 의한 효과가 계면활성제에서 소수기의 효과 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계산된 열역학 함수값들의 결과들로부터 유기물의 소수성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계면활성제의 소수성이 증가할수록 유기물은 미셀내부의 더 깊은 곳으로 가용화됨을 알 수 있었다. 등구조온도는 실험 조건 범위 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1K미만으로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송이배지로부터 분리한 Burkholderia균의 인산가용화 공조효과 (Synergistic effect of phosphate solubilization by Burkholderia strains isolated from button mushroom bed)

  • 박지훈;한창훈;윤민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83-189
    • /
    • 2017
  • 양송이배지로부터 분리한 인산가용화균 B. metallica JH-7과 B. contaminans JH-15의 단일접종 및 동시접종에 따른 인산가용화 능력의 시너지효과 및 상추생육효과를 조사하였다. 인산캄슘이 함유된 NBRIP 액체배지에 분리균을 접종하고 해리된 가용인산(soluble phosphorus)함량을 HPLC에 의해 분석하여 인산가용화능을 측정한 결과, B. metallica $140.08{\mu}g\;mL^{-1}$, B. contaminans $135.95{\mu}g\;mL^{-1}$, 그리고 동시접종 $134.84{\mu}g\;mL^{-1}$ 순으로 나타나 두 종의 인산가용화 박테리아간의 동시접종에 의한 시너지효과가 없었다. 배지 내 pH 와 잔류 glucose 함량 변화도 모든 접종구에서 배양 1일 후 대부분의 변화가 이루어져 pH의 경우 초기 pH 7.0에서 pH 4.5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잔류 glucose 함량은 초기 $10mg\;mL^{-1}$에서 $5.3mg\;mL^{-1}$ 수준으로 검출되어 그 이후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아 인산가용화능과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배양여액의 유기산 분석결과 succinic acid, glutam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Park et al(2016)에 의해 보고된 인산가용화균의 결과와는 달리 gluconic acid 및 oxalic acid는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산 중에서 lactic acid 와 glutamic acid 가 가장 높은 함량인 $0.18mg\;mL^{-1}$$0.16mg\;mL^{-1}$을 나타내었으며, succinic acid는 B. metallica 에서만 확인되었고, 대부분의 유기산이 배양 1일 과 3일 후 생성되는 결과를 보임으로서 유기산이 배지의 pH를 감소시키고 인산 가용화를 유도하는 주요 원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접종 1주 후와 2주 후 간의 생육차이를 조사한 상추재배실험결과, 잎의 길이는 2.60 cm 로 B. metallica 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전체길이는 B. metallica + TCP 처리구가 5.50 cm로 가장 높았으며, B.contaminans + TCP 처리구는 잎의 폭과 뿌리길이의 변화에서 0.87 cm 와 3.87 cm로 가장 높았다. 또한 잎의 수는 동시접종 + TCP 처리구에서 6.67 cm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여 재배실험에서도 단일접종과 동시접종구간에 유의수준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다른 연구와 유사한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경우 인산가용화균을 접종한 모든 처리구에서 뚜렷한 생장촉진효과를 나타냄으로서 접종제로서 인산가용화균을 사용하면 식물과 작물 수확량에 의한 P 섭취가 동시에 증가하고 생육이 촉진된다는 다른 연구결과($Rodr\acute{i}guez$ et al, 1999; Walpola and Yoon. 2013)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인(P) 결핍 토양에 가능한 접종 도구로서 효율적인 PSB 균주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좀 더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pot 실험 이후 추가적으로 노지 밭과 시설 재배지 토양의 EC, pH, 유기물 등과 칼륨, 칼슘, 마그네슘과 같은 교환 가능한 양이온 등 화학적 분석(Suh et al, 2008) 등과 이를 기초로 하여 토양의 포트 및 면적에 따른 미생물의 적절한 접종량 확인 등이 더 필요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가용대역폭 관리를 통한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품질 제어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ideo Streaming Service Quality Control System through Available Bandwidth Management)

  • 이인선;김현종;최성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36-44
    • /
    • 2010
  • 본 논문은 차세대 통합망 환경에서 IPTV와 같은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해 종단간 가용대역폭 모니터링을 통하여 영상 품질을 제어할 수 있는 영상 품질 제어 시스템(VQCS)을 제안한다. IPTV 서비스를 통해 영상, 음성 및 게임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런 서비스들은 대용량의 대역폭을 소비하게 된다. 이때 네트워크 가용대역폭이 부족할 경우 영상 끊김, 형태 왜곡 및 잔상과 같은 영상 품질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을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가용대역폭 모니터링 방안이 요구된다. 이에 우리는 단말 내의 영상 품질 제어 시스템에서 IP 헤더 내의 전체길이(Total Length) 필드를 이용하여 단위시간 동안 링크를 점유하고 있는 패킷 양 계산을 통해 가용 대역폭을 측정하였으며, 가용대역폭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내의 스케일러빌리티 추출기는 영상 스트림 데이터율을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대역폭 부족으로 인한 영상 스트리밍의 품질 저하를 막아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열수 가용성 쌀 전분의 구조와 전분의 구조 및 밥의 텍스쳐와의 관련성 (Structure of Hot-Water Soluble Rice Starch in Relation to the Structure of Rice Starch and Texture of Cooked Rice)

  • 강길진;김관;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57-761
    • /
    • 1995
  • 밥의 텍스쳐에 대한 일련의 연구에서 식미와 관련성이 있는 열수 가용성 쌀 전분에 대하여 분자 구조적 측면에서 그 관련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열수 가용성 쌀 전분의 분자 구조는 분자 크기가 작은 아밀로오스와 평균 사슬길이 $10{\sim}20$ 글루코오스 단위로 된 아밀로펙틴이 7 : 3 정도로 결합하고 있었다. 열수 가용성 쌀 전분의 용출율은 아밀로오스의 분자 크기가 작을수록, 아밀로펙틴의 초장쇄가 적을수록 높았으며, 전분의 열수 가용화는 전분의 분자 구조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또한, 밥의 텍스쳐는 열수 가용성 쌀 전분의 용출율이 높을수록 경도는 낮고, 부착성은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로 볼때, 밥의 텍스쳐는 쌀 전분의 분자 구조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전분의 열수 가용화 되는 성질은 쌀의 식미 평가 지표로서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