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열판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37초

냉동건조를 이용한 쌀기본 이유식 제조에 있어서 건조조건의 최적화

  • 김광옥;최호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14.1-214
    • /
    • 2003
  • 본 연구는 4~6개월의 유아들을 위하여 재수화시킨 후 숟가락으로 떠먹일 수 있도록 쌀을 기본으로 하고 당근, 쇠고기 및 계란을 각각 주재료로 한 냉동건조 이유식 제조의 최적조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당근, 쇠고기 및 계란이유식에서 모두 냉동건조시간은 수분함량이 높고 가열판 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파쇄성은 수분함량이 감소하고 가열판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관능적 특성 중 수화속도, 균질성 및 매끄러운 정도는 수분함량이 증가하고 가열판 온도가 감소할수록 증가였고, 뜨기 쉬운 정도는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가열판온도의 영향은 거의 받지 않았다. 또한 피막형성성은 수분함량과 가열판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이유식 제조치 최적조건은 당근이유식의 경우 수분함량 88.5%와 가열한 온도 34$^{\circ}C$로, 쇠고기이유식에서는 수된함량 88.5% 와 가열판온도 28$^{\circ}C$로, 그리고 계란이유식에서는 수분함량 87.5%와 가열판 온도 39$^{\circ}C$로 결정되었다.

  • PDF

냉동건조를 이용한 쌀기본 이유식 제조에 있어서 건조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Preparation of Rice-based Infant Foods Using Freeze Drying Process)

  • 김광옥;최호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80-689
    • /
    • 1995
  • 본 연구는 $4{\sim}6$개월의 유아들을 위하여 재수화시킨 후 숟가락으로 떠먹일 수 있도록 쌀을 기본으로 하고 당근, 쇠고기 및 계란을 각각 주재료로 한 냉동건조 이유식 제조의 최적조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당근, 쇠고기 및 계란이유식에서 모두 냉동건조시간은 수분함량이 높고 가열판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파쇄성은 수분함량이 감소하고 가열판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관능적 특성 중 수화속도, 균질성 및 매끄러운 정도는 수분함량이 증가하고 가열판온도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고, 뜨기 쉬운 정도는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가열판온도의 영향은 거의 받지 않았다. 또한 피막형성성은 수분함량과 가열판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이유식 제조의 최적조건은 당근이유식의 경우 수분함량 88.5%와 가열판온도 $34^{\circ}C$로, 쇠고기이유식에서는 수분함량 88.5%와 가열판온도 $28^{\circ}C$로, 그리고 계란이유식에서는 수분함량 87.3%와 가열판온도 $39^{\circ}C$로 결정되었다.

  • PDF

큰 정각재의 가열판과 고주파 진공건조간 건조특성의 비교 (Comparison of Drying Characteristics of Square Timber by Heated Platen and Radio-frequency/Vacuum Drying)

  • 정희석;강욱;이철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108-114
    • /
    • 2002
  • 변장 14.0 cm와 16.5 cm인 소나무 정각재의 가열판진공건조와 고주파진공건조간의 건조속도, 함수율분포와 비(比)에너지를 비교하였다. 고주파진공건조는 가열판진공건조보다 건조속도 및 변장이 건조속도에 미치는 영향이 컸었다. 가열판진공건조 목재의 재장방향, 두께방향과 폭방향의 함수율분포는 볼록 형태를 나타내었고, 고주파진공건조 목재는 오목 형태를 나타내었다. 가열판진공건조 목재의 폭방향과 두께방향간의 수분경사는 유사하였으나 고주파진공건조 목재의 경우는 폭방향의 수분경사가 두께방향보다 완만하였다. 가열판진공건조와 고주파 진공건조의 비(比)에너지곡선은 함수율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가열판진공건조의 비(比)는 고주파진공건조보다 컸었다.

Ansys와 LabView를 이용한 프레스 성형용 파이프 인서트 주조금형 개발 (Development of Pipe-Inserted Cast Die for Press Forming Process Using Ansys and LabView)

  • 노태정;최현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559-3566
    • /
    • 2009
  • 종래에는 신발 부품 등을 제작하는데 주조금형을 가열, 냉각하는 별도의 가열판과 냉각판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이것은 금형을 가열 및 냉각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가열판과 냉각판을 사용하던 방법을 대체하여 파이프 인서트 주조 금형을 사용한 신발창의 프레스 성형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유한요소법을 사용한 수치해석이 금형의 온도분포 해석에 적용되었으며, 또한 LabView에 의해 그 온도를 실제로 측정하였다. 프레스 성형용 파이프 인서트 주조금형에 의해 부품을 제작하는 공정은 특히 생산성면에서 아주 효과적이라고 검증되었다.

설계 변수법을 이용한 밥솥 체결 구조물의 안전도 평가 (Safety evaluation for oven structures using parametric method)

  • 이승표;고병갑;하성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853-858
    • /
    • 2008
  • 유도가열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체결 구조는 오븐, 상부 가열판, 체결 링으로 구성되며, 기존의 밥솥과 달리 내부에 압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안전성 검토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 요소법을 이용하여 밥솥의 체결 구조인 오븐, 상부 가열판, 체결 링에 대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고 구조적으로 안전한 최적 두께를 산출한다. 특히, 오븐은 스테인레스와 알루미늄이 겹쳐서 성형된 제품이므로 복합재료 해석을 수행하고,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von Mises법과 Tsai-Wu법을 도입한다. 오븐과 상부 가열판의 최적 두께 산출을 위하여 설계 변수법을 적용한다.

열변형 해석 기구를 통한 선상 가열에서의 가열선 수정에 관한 연구 (A Mechanics-Based Determination of Heating Lines in Line Heating Process)

  • 김용균;신종계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9권2호
    • /
    • pp.45-51
    • /
    • 2002
  • 선체는 많은 다중곡(compound curvature)을 가진 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판들을 가공하기 위해서, 조선소에서는 선상 가열(line heating) 방법이 널리 이용되어 왔다. 선상 가열법에서 가열선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지금까지는 기하 변형해석을 이용하여 가열선을 제시하여 왔다. 그러나 기하해석으로 구한 가열선에 대한 역학적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여러 가열선 중 어떤 가공선을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하해석을 통해 판의 가열정보를 얻었을 때 이를 역학적으로 검증하여 실제로 판에 가열정보대로 가공을 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판의 거동을 예측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적정 가열선을 찾는 전체 과정을 제시하였다. 가공정보로부터 예측된 가공형상을 구한 후 목적형상과 비교하여 가공형상이 목적형상의 오차범위 내에 존재할 때까지 가열선의 조정변수를 변화시켜 적절한 가공정보를 획득하였다.

냉동 건조 조건에 따른 이유식용 당근의 품질 특성 (Quality Attributes of Carrot Pieces for Baby Foods Prepared under Different Freeze Drying Conditions)

  • 김혜경;서동순;이영춘;김광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799-804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생후 9-12개월 된 영아에게 재 수화시킨 후 숟가락으로 떠서 먹일 수 있는 비교적 입자가 큰 알갱이 형태의 이유식용 냉동건조 당근의 최적 건조조건을 결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열판 온도와 압력을 달리하면서 당근을 냉동 건조시킨 후, 냉동건조시간과 물리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냉동건조시간은 가열판 온도가 높고 압력이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관능적 특성 중 당근의 색, 연한 정도 및 당근의 향미는 가열판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압력은 냉동 건조 당근의 관능적 특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유식용 냉동 건조 당근의 제조 시 바람직한 특성을 가능한 한 최대로 하면서 건조시간은 가능한 한 최소로 할 수 있는 최적조건은 가열판 온도는 $43^{\circ}C$, 압력은 700 micronHg로 결정되었다.

백색 LED증착용 MOCVD 유도가열 장치에서 가스 inlet위치에 따른 기판의 온도 균일도 측정

  • 홍광기;양원균;주정훈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0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5-115
    • /
    • 2010
  • 고휘도 고효율 백색 LED (lighting emitting diode)가 차세대 조명광원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백색 LED를 생산하기 위한 공정에서 MOCVD (유기금속화학증착)장비를 이용한 에피웨이퍼공정은 에피층과 기판의 격자상수 차이와 열팽창계수차이로 인하여 생성되는 에피결함의 문제로 기판과 GaN 박막층 사이에 완충작용을 해줄 수 있는 버퍼층 (Buffer layer)을 만든다. 그 위에 InGaN/GaN MQW (Multi Quantum Well)공정을 하여 고휘도 고효율 백색 LED를 구현 할 수 있다. 이 공정에서 기판의 온도가 불균일해지면 wafer 파장 균일도가 나빠지므로 백색 LED의 yield가 떨어진다. 균일한 기판 온도를 갖기 위한 조건으로 기판과 induction heater의 간격, 가스의 흐름, 기판의 회전, 유도가열코일의 디자인 등이 장비의 설계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도가열방식의 유도가열히터를 이용하여 기판과 히터의 간격에 차이에 따른 기판 균일도 측정했고, 회전에 의한 기판의 온도분포와 자기장분포의 실험적 결과를 상용화 유체역학 코드인 CFD-ACE+의 모델링 결과와 비교 했다. 또한 가스의 inlet위치에 따른 기판의 온도 균일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가열원은 유도가열히터 (Viewtong, VT-180C2)를 사용했고, 가열된 흑연판 표면의 온도를 2차원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 (Fluke, Ti-10)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했다. 와전류에 의한 흑연판의 가열 현상을 누출 전계의 분포로 확인하기 위하여 Tektronix사의 A6302 probe와 TM502A amplifier를 사용했다. 흑연판 위에 1 cm2 간격으로 211곳에서 유도 전류를 측정했다. 유도전류는 벡터양이므로 $E{\theta}$를 측정했으며, 이때의 측정 방향은 흑연판의 원주방향이다. 또한 자기장에 의한 유도전류의 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KANETEC사의 TM-501을 이용하여 흑연판 중심으로부터 10 mm 간격으로 자기장을 측정 했다. 저항 가열 히터를 통하여 대류에 의한 온도 균일도를 평가한 결과 gap이 3 mm일때, 평균 온도 $166.5^{\circ}C$에서 불균일도 6.5%를 얻었으며, 회전에 의한 온도 균일도 측정 결과는 2.5 RPM일 때 평균온도 $163^{\circ}C$에서 5.5%의 불균일도를 확인했다. 또한 CFD-ACE+를 이용한 모델링 결과 자기장의 분포는 중심이 높은 분포를 나타냄을 확인했고, 기판의 온도분포는 중심으로부터 55 mm되는 곳에서 300 W/m3로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냈다. 가스 inlet 위치를 흑연판 중심으로 수직, 수평 방향으로 흘려주었을 때의 불균일도는 각각 10.5%, 8.0%로 수평 방향으로 가스를 흘려주었을 때 2.5% 온도 균일도 향상을 확인했다.

  • PDF

삼각가열에 의한 판 변형의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Plate Deformation by Triangle Heating Process)

  • 장창두;고대은;문성춘;서용록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8권4호
    • /
    • pp.66-74
    • /
    • 2001
  • 선체 외판 제작을 위한 곡가공은 조선에 있어서 필수적인 공정이다. 프레스를 이용한 냉간가공과 가스토치를 이용한 열간가공이 주를 이루는데, 특히 숙련된 기능공의 작업 경험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열간가공 공정에 대한 자동화 요구가 증대되어 국내외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향후 삼각가열에 대한 효율적인 변형해석 기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삼각가열에 의한 판의 변형특성과 그 주요인자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제 조선소에서 현장조건 그대로 Jang 등(2001)이 실시한 일련의 삼각가열 실험 결과를 토대로 열탄소성 해석을 위한 수치해석 모델을 개발하고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인 ANSYS를 이용하여 삼각가열에 의한 판의 변형을 시뮬레이션하였다. 또한, 총 투입 열량이 같은 경우 선상가열과 삼각가열에 의한 변형 양상을 비교하여 각 가열법에 따른 변형 특성을 보다 명확히 하였다. 마지막으로, 단위부피당 투입열량에 따른 각 변형 성분의 변화 특성을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