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연물조사

Search Result 4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nalysis of Case Studies on the Combustible Abroad to Calculate Domestic the Fire Load (건축물에서의 가연물 화재화중 산출을 위한 국외 가연물 연구사례 분석)

  • Kim, Nam-Hyuk;Shin, Yi-Chul;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339-345
    • /
    • 2009
  • 국내의 가연물 조사 연구 사례를 통한 가연물 정보의 수집 방식에 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최근 일본건축학회에서 실시된 가연물 연구 사례를 보면서 건축물 내 공간정보와 가연물정보의 효율적인 조사 기법과 기존 가연물 조사 데이터와의 정보 분석을 통하여 국내에 적합한 용도별 가연물 산출을 위한 방법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Investigation of main Combustibles for fire behavior prediction at Underground Spaces (지하대공간 화재성상 예측을 위한 주요가연물조사)

  • Kang, Seung-Goo;Seo, Dong-Goo;Kim, Dong-Jun;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76-79
    • /
    • 2011
  • 본 연구는 지하대공간의 화재 하중 및 성상을 예측하기 위하여 주요가연물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한 결과 대형서점의 가연물의 종류, 크기, 재질과 지하주차장의 가연물의 종류, 주차대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하여 지하공간내 발열량이 높은 곳과 위험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곳을 선정하여 가연물조사를 통해 유형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표준 모델을 모듈화를 제안하여 지하대공간의 화재성상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한다.

  • PDF

Study of Burned Body at a standpoint of Combustion (연소적 측면에서의 소사체에 대한 고찰)

  • Lee, S.H.;Park, J.T.;Park, Y.K.
    • Congress of the korean instutite of fire investigation
    • /
    • 2010.06a
    • /
    • pp.82-89
    • /
    • 2010
  • 화재조사에 있어서 화재현장에서 발견되는 피해자들의 소사체는 사망원인을 밝히는 법의학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지만 현장에서 연료로 작용하여 발화부를 추적하는 화재패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연소적인 측면에서 소사체를 가연물로서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화재는 가연물의 열량과 분포에 따라서 그 화재패턴 또한 다르게 생성된다. 인체의 구성요소는 대부분 가연물이며 특히 동물성지방은 과거 등불의 연료로 사용되었을 만큼 가연성과 열량이 높다. 본 논문에서는 인체의 지방을 대신하여 돼지의 동물성지방의 연소적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그 특성은 고체연료인 파라핀과 대동소이하여 화재현장의 분위기에 따라서 때로는 바닥에 액체가연물에 의한 패턴을 생성시킬 수 있고 가연물지배에 의한 연소로 사체 중심의 화재패턴을 생성할 수 있어 화재패턴을 통한 발화부의 판단에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러한 가능성은 실제 사례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화재사체의 연소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사체가 연관된 화재현장에서 화재패턴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필수적인 요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the Estimation Method of Fire Load for Residential Combustibles (주거공간 가연물의 화재하중 산정방법의 비교연구)

  • Choi, Su-Young;Kim, Jung-Yong;Nam, Dong-Gun;Kim, Sung-Cha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7 no.6
    • /
    • pp.38-43
    • /
    • 2013
  • As a preliminary study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e calculation method of fire load for residential furniture combustibles, the present study estimates the fire load considering the volume data obtained by the 3D geometrical information of combustibles and material properties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and sample burning test. A kitchen sink cabinet, couch and workstation were investigated for estimating its fire load and real fire test have been performed to measure total energy released from the combustibles. Based on total energy measured from real fire test, the relative error of the estimated fire load due to literature survey and measured material properties showed 6~120% and less than 20%, respectively. It shows that the estimation error of fire load are greatly affected by its material properties as well as geometrical information of combustibles and the present study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accurate estimation of fire load.

An Study on the Preparation of Fire Behavior of Fixed Combustibles for Fire Simulation in Building (건축물의 화재성상 시뮬레이션을 위한 주요가연물 연소특성 DB 구축)

  • Seo, Yoon-Jeong;Kim, Dong-Eun;Hong, Hae-Ri;Hwang, Hyen-Bea;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73-76
    • /
    • 2011
  • 최근 건축물에서 공동주택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공동주택의 화재비율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화재 시 인명 피해의 주원인인 가연물은 소재가 다양화되고 있으나 안정성 보다는 디자인, 기능성에 치중되어 그에 따른 화재 위험성도 커져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보의 실내장식물에 이어 공동주택에서 많이 사용되어지는 적재가연물을 가연물 조사를 바탕으로 선정하여 Furniture Calorimeter를 이용해 그 연소특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소파가 타 시료에 비해 화재 시 높은 위험성을 나타냈으며, 일본건축학회에 발표된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소파의 데이터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Forecast Study on the Fire Growth Rate and Investigation of Combustible for Fire Safety Design in Building (건축물 화재안전설계를 위한 주요가연물조사 및 화재성장율 예측에 관한 연구)

  • Seo, Dong-Goo;Kim, Dong-Eun;Kim, Bong-Chan;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33-135
    • /
    • 2012
  • The Fire growth rate(kW/s2) is significant impact on initial fire behavior in fire safety design of buildings. As a result of domestic existing combustibles, this study analyzed considering matters in techniques for calculating caloric values, and then made an investigation sheet. By utilizing written combustion sheets, the study could suggest a standard model at common houses and dense ones after getting caloric value information in dense ones. As a result, fire growth rate is experiment 1(0.01), experiment 2(0.0048), FDS(0.0072), MATSUYAMA equation(0.0144).

  • PDF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and Combustibles Test of Combustion in Welfare Facilities of Handicapped (장애인 복지시설의 주요가연물 조사 및 연소실험에 관한 연구)

  • Son, In-Tea;Seo, Dong-Goo;Hong, Hae-Ri;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314-317
    • /
    • 2011
  • 최근 국내 장애인 복합시설의 증가와 함께 많은 사고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장애인 시설 화재시 재실자가 장애인으로 비장애인 보다 피난 효율이 저하되어 수 많은 인재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장애인시설 피난 방화와 관련하여 강화된 규정이 필요하고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국내 장애인복합시설을 대상으로 가연물 조사와 Cone Calorimeter 실험을 통해 화재하중과 가연물 연소성상 등을 연구 분석한 결과 장애인 시설의 화재하중이 공동주택보다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one Calorimeter 실험을 통해서 6개 시료 중 4개의 시료가 기준치 이상의 발열량을 보였고, 방염블라인드의 경우 Co, $CO_2$ 유해연기의 검출량이 기준치 이상으로 그 위험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가연성 액체에 의한 바닥재 소훼흔 연구

  • Lee, Sang-Jun;Hwang, Tae-Yeon;An, Seong-Il;Park, Han-Seok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Investigation
    • /
    • v.6 no.1
    • /
    • pp.42-48
    • /
    • 2005
  • 연소의 특성으로 대부분의 화재현장에서 상단 부위에 존재하는 가연물은 대류현상 등에 의해 소실되어 연소 후 나타나는 흔적을 식별하기 곤란하며, 바닥 부분의 바닥재 등의 경우는 화재발생 이후 상승 연소하는 화염에 의해 소훼된 가연물 등이 소락하여 질식소화되므로 비교적 초기의 연소패턴을 유지하고 있는 점을 착안하여, 바닥에서 나타나는 흔적 등을 비교 검토하여 연소의 촉매제로 사용된 물질의 종류를 추론함으로써 초기에 진행되는 수사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Basic Investigation for the Fire Risk Assessment of Education Facilities (교육시설 화재위험성 평가를 위한 기초조사에 관한 연구)

  • Lee, Sung-Il;Ham, Eun-Gu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7 no.2
    • /
    • pp.351-364
    • /
    • 2021
  • Purpose: Fire load analysis was conducted to secure basic data for evaluating fire risk of educational facilities. In order to calculate the fire loa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basic data related to the fire load of school facilities were collected. Method: The basic data were the definition and types of fire loads, combustion heat data for the calculation of fire loads. The fire load was evaluated by multiplying the combustion heat by the weight of the combustibles in the compartment when calculating the fire load. Result: As for the fixed combustible materials of A-elementary school, the floor was mainly made of wood, in consideration of emotion and safety in the classroom, music room, and school office, and the rest of the compartments were made of stone. The ceiling and walls were made of gypsum board and concrete, so they were not combustible. The typical inflammable items in each room were desks, chairs, and lockers in the classroom, and the laboratory equipment box and experimental tool box were the main components in the science room, and books, bookshelves, and reading equipment occupied a large proportion in the library room. Conclusion: 'The fire loads of A-elementary' schools according to the combustibles loaded were in the order of library, computer room, English learning room, teacher's office, general classroom, science hall, and music 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