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시위성 수

Search Result 14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f GNSS Performance Enhancement using Correction Estimation and Visible Satellites Selection (보정량 추정 및 가시위성 선정 기법을 이용한 위성항법 성능개선 연구)

  • Bong, Jae Hwan;Jeong, Seong-K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7 no.5
    • /
    • pp.995-1002
    • /
    • 2022
  •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GNSS) is a convenient system that acquires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of a receiver if only satellite signals can be received anywhere in the world. However navigation signals include errors and a position error occurs according to the reception state of the signal. Also, a position error is affected by the geometric arrangement of the satellites. Therefore a receiver position performance varies by the number and status of visible satellites The condition of satellite signals is not good when the satellite rises or sets and the position change of receiver occurs when the signal is blocked by an obstacle such as a building in the urban area. In this paper, we proposed methods to improve the GNSS performance by using pseudorange correction method estimating the correction amount and the visible satellites selection method. By applying the proposed methods to an environment in which the number of visible satellites changes variously, the performance enhancement was verified.

위치 정확도 향상을 위한 GPS와 BeiDou 결합

  • Kim, Ra-U;Choe, Gwang-Ho;Im, Jun-Hu;Yu, Won-Jae;Lee, Hye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26-28
    • /
    • 2016
  • 선박 항해에 있어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는 선박의 3차원 위치를 추정하여 항로의 이탈이나, 항만 접안을 위하여 활용된다. 따라서 위성을 활용한 위치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GPS와 BeiDou의 결합 항법을 제안한다. GPS와 BeiDou 시스템을 결합하여 가시위성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정밀한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GPS/BeiDou 결합 항법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실제 수신된 위성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GPS 단독 측위와의 가시위성 개수 및 위치정확도를 비교, 분석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OP Improvement of GPS (GPS의 DOP 향상에 관한 연구)

  • Choi, Chang-Mook;Ko, Kwang-Soob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0.10a
    • /
    • pp.299-302
    • /
    • 2010
  • GPS를 이용하여 고정밀도의 위치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가시위성의 기하학적 배치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되며 이 척도가 DOP라고 불리는 계수이다. 본 논문에서는 향후 많은 항법위성이 생길 경우 통합방식에 의해 원하는 위성을 선택함으로서 고의적인 재밍에 대한 대책 및 위치정보의 정밀도 향상 측면에서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어 첫 단계로 GPS 와 GLONASS의 통합 시스템 구축시 정밀도의 근간을 이루는 DOP 향상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데이터 분석결과 단독 GPS 사용시 보다 통합 GNSS 시스템이 0.3 ~ 0.8 정도의 우수한 GDOP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는 GDOP 뿐만이 아니라 결과적으로 고정밀도의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육상교통 환경에서 시각도움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위치결정 가용성 분석

  • Han, Ji-Ae;Gang, U-Yong;Lee, Eun-Seong;Park, Jae-Ik;Kim, Hyeon-Su;Heo, Mun-Beom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1.04a
    • /
    • pp.21.3-21.3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육상교통 환경에서 GPS 가시 위성의 수가 부족할 경우 사용자 위치 결정 성능 향상을 위해 시각도움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GPS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구하기 위해서는 위성으로부터 송출된 신호가 수신기까지 도달하는데 걸린 시간을 정확히 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다. 이를 위하여 위성과 수신기 간의 시각이 정확히 동기가 되어야 하지만 대부분 저가 발진기를 사용하는 수신기의 측정치에는 수신기 시계오차가 포함되어 있다. GPS 측정치로부터 정확한 위치결정을 위해서는 수신기 시계 오차가 고려되어야 하기에 최소 4개의 위성이 필요하지만 건물, 차량, 나무 등의 장애물의 영향을 받는 육상교통 환경에서는 4개 미만의 위성이 관측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정상적인 방법으로 수신기 시계오차가 계산되지 않아 위치 결정 성능이 떨어지게 되므로, 시각도움정보를 활용하여 위치 결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안한 방법의 시각도움정보는 가시 위성이 4개 이상의 경우 결정된 수신기 시계오차를 수신기 시계 고정법을 적용하여 생성하였다. 가시 위성수가 3개로 결정된 위치 결과와 시각도움정보를 적용하여 결정된 위치와의 비교를 통해 위치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STTD for IMT-2000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s (IMT-2000용 위성시스템에서 STTD기법 성능분석)

  • 김홍철;서상우;박운용;김학성;신요안;이원철;임채헌;유문희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11a
    • /
    • pp.105-108
    • /
    • 2000
  • 무선채널환경에서의 하향 방향 링크 상에서 페이딩 효과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고품질의 수신신호를 위하여 시간, 주파수 및 공간 영역 상에서의 여러 형태의 독립적인 다이버시티를 임의로 발생하기 위한 방안이 연구 되어왔다. 특히 3GPP 지상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개방형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중 하나인 STTD( Space-Time Transmit Diversity)는 시공간 블록코드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를 IMT-2000용 위성시스템의 순방향링크에 적용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고찰한다. 위성시스템의 순방향채널은 위성의 앙각에 의하여 라이시안 팩터 성분이 결정되며, 다수의 가시 위성군을 통하여 다이버시티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상세한 규격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IMT-2000용 위성시스템 상에서 두개의 가시위성을 통한 STTD 적용시 우수한 수신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GPS/Galileo Integrated Navigation Algorithm and Analysis of Different Time-Coordinate Effect (GPS/Galileo 통합항법알고리즘 구현 및 시각 및 좌표계차이에 따른 영향분석)

  • Song, Jong-Hwa;Jee, Gyu-In;Jeong, Seong-Kyun;Lee, Sang-Uk;Kim, Jae-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6 no.2
    • /
    • pp.171-178
    • /
    • 2008
  • Galileo is the Europe'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corresponding to the GPS. The GIOVE-A test experiment has been finished and the second test satellite GIOVE-B will be launched soon. The integration of GPS and Galileo lead an increase of visible satellite number. We can obtain an improved navigation performance in signal blocked area such as urban or forest. GPS and Galileo have each time-coordinate system and use the different error model to calculate the navigation solution. In this paper, we studied on GPS and Galileo channel error model and time-coordinate system. Using this result, we implement the integrated navigation algorithm. In simulation, we analyzed the navigation error caused by time and coordinate disagreement and verified performance of integrated navigation algorithm in terms of visible satellite number, DOP(Dilution of Pression) and position error.

A Study on Selection of Optimal Satellite Imagery by Disaster Type (재해 유형별 최적 위성 영상 선정에 관한 연구)

  • Lim, SoMang;Kang, Ki-mook;Yu, Wa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79-279
    • /
    • 2021
  • 위성영상정보는 센서의 종류, 취득, 분석, 재난과 위성영상 특성 매칭 등의 제약으로 재난 상황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인공위성의 종류는 탑재한 센서의 정보제공 능력 범위에 따라 분류 가능하며 이에 따라 대상 범위가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의 예측, 탐지, 사후처리를 위한 위성자료의 취득과 활용을 위해 다양한 위성과 탑재된 센서의 궤도, 공간 해상도, 파장대 등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재난유형별로 최적 위성영상을 선정하였다. 행정안전부에서는 재난과 재해의 유형을 자연재난(10종)과 사회재난(27종)으로 분류하였다. 위성영상 활용이 가능한 재난 유형은 가시적으로 확인이 가능한 자연재난에 해당하며 그 중 태풍, 홍수, 가뭄, 산불 등 총 4종의 재난유형별로 가용한 최적의 위성영상을 분석하였다. 재난관측에 사용 가능한 대표적인 탑재체의 종류는 극궤도 지구관측 위성에서 광학과 SAR로 구분할 수 있다. 각 기본 특성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가 분류되며 광학 센서는 태양복사 및 지구복사에너지 파장 영역 중 가시광선-근적외선-단파적외선-열적외선 파장대 영역의 분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중 밴드들로 구성된다. 지표의 특정 대상이나 물질을 탐지하고 변화를 감지·분석하는데 유용하여 홍수, 태풍, 지진 등 자연 및 사회 재난·재해 관측에 유용하게 이용된다. SAR 센서는 장파장의 전자기파를 방출한 후 돌아오는 신호를 활용하여 대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대기의 효과 및 요소를 투과하는 주파수 대역별 장파장 밴드 정보를 활용하여 고해상도의 대상 표면, 위치, 형태 등의 정보를 측량 및 관측하므로 중·광역 지역에 제약 없이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산사태, 홍수, 지진, 등의 재난 모니터링에 유용하다. 이러한 다종 위성별 센서들의 특징(공간 해상도, 파장대별 밴드 특성, 관측폭, 재방문 주기 등)들을 분석하여 재난유형별로 가용한 무료/상용 지구관측위성을 분류한 결과 태풍에는 광역관측, 정지궤도 위성, 홍수에는 광학 및 SAR 고해상도 위성, 가뭄은 광역관측, 다분광 광학 위성 그리고 산불에는 정지궤도, 광학, SAR 위성이 적합함을 알 수 있다.

  • PDF

Orbit Prediction using Almanac for GLONASS Satellite Visibility Analysis (GLONASS 위성 가시성 분석을 위한 알마낙 기반 궤도 예측)

  • Kim, Hye-In;Park, Kwan-D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7 no.2
    • /
    • pp.119-127
    • /
    • 2009
  • Even though there are next generation Global Navigation Systems in development, only GPS and GLONASS are currently available for satellite positioning. In this study, GLONASS orbits were predicted using Keplerian elements in almanac and the orbit equation. For accuracy validation, predicted orbits were compared with precise ephemeris. As a result, the 3-D maximum and RMS (Root Mean Square) errors were 155.4 km and 56.3 km for 7-day predictions. Also, the GLONASS satellite visibility predictions were compared with real observations, and they agree perfectly except for several epochs when the satellite signal was blocked nearby buildings.

The Accuracy Analysis of Each Test Area Short Baseline Using Satellite Navigation System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한 대상지별 단기선 정확도 분석)

  • Park, Woon-Yong;Cha, Sung-Yeoul;Hong, Soon-H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0 no.1 s.19
    • /
    • pp.51-57
    • /
    • 2002
  • GPS proved to very practical in the application of geodesy and surveying such Civil Engineering, control point surveying and the deformation surveying o( structure, but the accuracy of static GPS positioning is degraded at the sites which the visible satellites of GPS are less than 4, i.e. the urban area covered with the high building and the industrial zone. Thus, the combined GPS/GLONASS system was introduced to acquire the high accuracy of static positioning by a few satellites. So the combined GPS/GLONASS system show the good results at the sites which the accuracy of positioning is degraded due to few satellites, the cutoff of signal, and multipath in the urban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