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속화

Search Result 2,247, Processing Time 0.05 seconds

Trends on Data Plane Acceleration Technology (데이터 플레인 가속화 기술동향)

  • Choi, K.I.;Lee, B.C.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0 no.2
    • /
    • pp.87-94
    • /
    • 2015
  • 인터넷 트래픽의 향후 5년간 연평균성장률(CAGR)은 24%(유선 트래픽이 21%, 모바일 트래픽이 68%)로 예상되지만, 인터넷 트래픽을 처리하는 칩셋의 성능 연평균성장률은 14% 정도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증가하는 인터넷 트래픽과 이를 처리하는 칩셋의 성능 사이에 격차(Forwarding Gap)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격차를 줄이기 위해 시작된 연구기술이 데이터 플레인 가속화(DPA: Data Plane Acceleration) 기술이다. 본고에서는 데이터 플레인 가속화 기술로 최근 공개 소프트웨어로 발표된 인텔의 DPDK(Data Plane Development Kit)기술과 Linaro의 ODP(Open Data Plane)기술을 중심으로 고속 네트워크 패킷처리를 위한 데이터 플레인 가속화 기술동향을 소개한다.

  • PDF

Network Performance Measurement and Analysis using Data Plane Development Kit based Open Virtual Switch (개방향가상스위치 기반의 패킷가속화기술을 이용한 네트워크 성능 측정 및 분석)

  • Kim, Ki-Hyeon;Kim, Yong-Hwan;Kim, Joobum;Kim, Dong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17-120
    • /
    • 2017
  • 제 4차 산업혁명의 등장으로 다양한 기술들이 다양한 기술들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 중에서 가장 주목 받고 있는 기술은 빅 데이터 기술이다. 이에 따라 최근 빅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기업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해당 기업들을 위해서 방대한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 및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 네트워킹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데이터의 전송과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직접적인 방안으로 물리적인 네트워크 장비를 증설할 수 있지만 이는 상당한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이 대두되었다. 하지만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은 네트워크의 성능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주된 이유는 서버의 운영체제 커널 단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소들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타난 기술이 패킷가속화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방형가상스위치 기반의 패킷가속화기술을 적용한 실험환경을 구성한 후, 이를 통해 가상 스위치 기반의 성능 시험과 패킷가속화기술을 이용한 서비스 체이닝 기술에 대한 성능 시험을 수행했다. 그리고 두 가지 시험을 통해 패킷가속화기술의 안정성과 성능을 검증하였다.

산소 플라즈마에 의한 U/UO_2 산화 가속화 연구

  • 양용식;서용대;김용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41-47
    • /
    • 1998
  • 플라즈마를 이용한 핵연료재료 건식처리 공정 기초연구로서 플라즈마 기체에 의한 U와 $UO_2$의 산화가속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UO_2$에서는 플라즈마를 사용할 경우 40$0^{\circ}C$에서 약 300%정도, 50$0^{\circ}C$에서는 70%정도의 산화가속화가 일어났으며 금속우라늄의 경우에는 35$0^{\circ}C$에서 50%정도의 산화가속화를 확인할 수 있었고 power가 증가함에 따라 산화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전체적인 실험 결과가 시간에 따라 산화량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400~50$0^{\circ}C$에서는 표면반응이 중요한 반응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모바일 GPU 기반의 고속 3차원 공간 정보 취득 기술

  • Jeong, Tae-Hyeon;Park, Jun-Hyeong;Park, In-Gyu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6 no.4
    • /
    • pp.48-60
    • /
    • 2021
  • 복잡한 알고리즘을 요구하는 3차원 공간 정보 취득 기술은 대부분 고성능의 하드웨어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플랫폼의 성능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기존 알고리즘을 가속화해 온 디바이스로 이식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본 기고문은 플랫폼 제한 없는 GPU 병렬처리 프레임워크 OpenCL을 활용한 3차원 공간 정보 취득 기술의 가속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모바일 GPU 환경에서의 OpenCL 최적화 방법을 살펴본다. 이후 고전적인 기하학 기반의 스테레오 정합 알고리즘을 가속화한 방법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는 심층 신경망 네트워크와 가속화된 고전적 스테레오 알고리즘을 결합한 온 디바이스 친화적인 융합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Acceleration Method of 2D Collision Detection with Dynamic Cone Area in Particle-based System (입자 기반 시스템에서 동적인 부채꼴 영역을 이용한 2차원 충돌 검사의 가속화 기법)

  • Kim,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333-335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많은 개체와의 충돌검사를 요구하는 입자 기반 시스템에서 부채꼴 영역의 동적인 변화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충돌검사를 가속화시킬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부채꼴 영역의 동적인 변화를 계산하기 위해 입자의 위치와 속도를 이용하여 부채꼴의 영역을 결정하였으며, 이 영역 내에 있는 입자들만을 이용하여 충돌 검사를 빠르게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가속화 방법은 트리 자료구조를 명시적으로 만들지 않고, 닫힌 형태 방정식(Closed form equation)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간단하게 구현되며 모든 결과에서 충돌검사 성능이 3배 정도 개선되었다.

  • PDF

대중국 진출 가속화, 업체들의 국제경쟁력 확보 시급 - 국내 렌즈산업의 동향 및 전망

  • 정진호
    • The Optical Journal
    • /
    • v.15 no.1 s.83
    • /
    • pp.17-19
    • /
    • 2003
  • 한국의 렌즈산업은 지난해 잠시 상승했다가 그대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가운데 일본의 뒤를 이어 부지런히 중국으로 생산기지를 옮기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생산원가를 낮추고 제품성능을 높이기 위해 한국업체들의 변신은 실로 급박한 상황에 와있다.

  • PDF

Penalized variable selection in mean-variance accelerated failure time models (평균-분산 가속화 실패시간 모형에서 벌점화 변수선택)

  • Kwon, Ji Hoon;Ha, Il Do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4 no.3
    • /
    • pp.411-425
    • /
    • 2021
  • Accelerated failure time (AFT) model represents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log-survival time and covariates. We are interested in the inference of covariate's effect affecting the variation of survival times in the AFT model. Thus, we need to model the variance as well as the mean of survival times. We call the resulting model mean and variance AFT (MV-AFT) model. In this paper, we propose a variable selection procedure of regression parameters of mean and variance in MV-AFT model using penalized likelihood function. For the variable selection, we study four penalty functions, i.e. least absolute shrinkage and selection operator (LASSO), adaptive lasso (ALASSO), smoothly clipped absolute deviation (SCAD) and hierarchical likelihood (HL). With this procedure we can select important covariates and estimate the regression parameters at the same tim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evaluated using simulation studies. The proposed method is illustrated with a clinical example dataset.

산업기술 인력정책의 방향

  • 정종영;최원도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
    • v.22 no.5
    • /
    • pp.10-12
    • /
    • 2004
  • 21세기를 규정하는 단어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지식기반 경제"일 것이다. 이는 국부창출의 원천인 과거와 같은 자본, 노동 등의 유형적 생산요소의 양적 투입이 아니라, 기술과 지식에 의한 질적 혁신에 의존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WTO, FTA등의 확산으로 물리적 의미의 국경이 사라지고 자본과 노동의 이동이 자유로워지면서 가속화되고 있다. 가속화되고 있다.

FAST FACE RECOGNITION ON GPUS (GPU 를 통한 얼굴인식 가속화)

  • Yi, Cheong-Yong;Yi, 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a
    • /
    • pp.10-12
    • /
    • 2012
  • 얼굴인식은 보안 등 다수의 응용분야에서 중요하게 이용되는데, 얼굴인식을 위한 학습은 많은 계산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신속한 학습이 필요한 경우 가속화가 필요하다. 한편, 그래픽스 프로세서 유닛(GPU)은 대용량 정보처리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어 최근 폭넓은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성분 기반의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GPU 에서 병렬 수행하여 가속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주성분 기반의 얼굴인식 각각의 과정들의 병렬성을 분석하여 가속화 이득을 최대하였고, C/OpenCV[2]로 구현된 순차적인 버전[3]과 비교했을 때, 전체 학습시스템에서 최대 약 40 배의 성능이득을 얻었다.

Zircaloy-4의 고압 수증기 산화 및 수소침투

  • 옥영길;김선기;김용수;유길성;민덕기;노성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b
    • /
    • pp.139-146
    • /
    • 1997
  • Zircaloy-4의 수증기 산화와 이에 따른 수소침투의 압력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pre-transition과 post-transition의 영역에서 1~103 기압의 압력 범위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시편의 edge부분에서의 산화율 및 수소침투 가속화 현상을 알아보기 위해 시편의 edge 분율에 따른 산화율 및 수소침투량 실험을 압력영향과 함께 수행하였다. 또 steam corrosion과 waterside corrosion의 비교를 위해 산화율에 따른 수소침투를 평가하였다. 잠정적인 결과로서 pre-transition 영역, 즉, 37$0^{\circ}C$, 72시간에서 103기압에서의 산화가 1 기압에서의 산화보다 약 50% 증가된 값을 가졌고,post-transition 영역, 즉, $700^{\circ}C$, 210분에서는 최고 150%의 산화 가속화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수소 침투량 역시 산화가 가속화된 만큼 증가하였다. 그리고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산화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함을 pre-transition영역과 post-transition영역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시편의 edge 분율에 따른 산화율의 변화에 대해서는 37$0^{\circ}C$, 72시간의 경우 산화량이 적어 별다른 영향을 관찰할 수 없었으나, $700^{\circ}C$, 210분에서는 시편의 표면적에 대한 edge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산화율이 증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논문들에서 주장하고 있는 뚜렷한 edge의 영향을 관측하기는 어려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