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설구조물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USN-based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a Temporary Structure of Concrete Formwork (콘크리트 거푸집 가설구조물 공사 안전관리를 위한 USN 기반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 Moon, Sung-Woo;Yang, Byong 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2D
    • /
    • pp.159-166
    • /
    • 2012
  • During concrete placement, the formwork structure supports the weight of concrete mass. The complexity of the operation can cause concentrated workloads, which in turn brings about a collapse of the temporary structure. As a countermeasure, the operation needs to be constantly monitored to maintain safety and prevent accidents. This paper presents a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based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formwork construction. The system takes advantage of ubiquitous technology in monitoring the behavior of the formwork structure such as deflection, load weight, and tilting. The collected data are sent to the host computer wirelessly for real time monitoring. The data can be then compared with the allowed limits on guidelines. The comparison can indicate whether the concrete placement operation is executed in a safe condition.

Ensuring safety of temporary structures through on-site real-time structural analysis Construction Sites (가설구조물 구조검토의 실시간 현장 반영을 통한 안전성 확보)

  • Mo, Seung-Un;Moon, Seo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22.11a
    • /
    • pp.19-20
    • /
    • 2022
  • Based on the survey analysis of safety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that occur every year, most of them are caused by temporary structures. While analyzing in detail, it is confirmed that the main factors for such accidents are the quality problem of temporary equipment, unstable construction, and arbitrary change. As temporary structure is installed only for the construction of main structure, the reality is that no attention is paid to the construction of temporary structures.

  • PDF

Enhanced Quality and Safety by Expanding Field Application of System Scaffolding (시스템비계의 현장적용 확대 연구로 품질 및 안전제고)

  • Jung, woo-d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31-232
    • /
    • 2022
  • 건설 현장이나 일반 제조업 현장은 작업자의 고소 위치에서의 작업시, 필요한 특정 장소로의 접근을 위한 임시 구조물을 설치하는데 이를 가설비계라고 한다. 이러한 가설비계는 작업자의 안전 통행과 작업을 위한 받침대 역할, 장비나 공구, 자재를 임시 적치하기 위한 장소로 활용되는데 일반 건축물과 중후장대한 조선소 블록 제작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가설설비라는 특성으로 비계와 관련된 연구가 부진하고 사업적으로 참여하는 사업주 또한 진출을 가볍게 생각하고 있으며 해당 공사에 임하는 작업자의 산업으로의 진입문턱도 낮은 등으로 시공 품질이 떨어질 우려가 매우 높다. 또한 설치후에는 품질검사가 어려워 작업자의 숙련도나 진정성 등에 의한 주관적 작업 결과물이 설치된 시설물을 사용하는 주변 작업자에게는 불안전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작업자의 숙련도나 주관적 판단에 의한 가설 구조물 설치를 회피하여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연구되어 왔는데 이것이 시스템비계이다. 이러한 시스템비계에 대한 사용성을 확대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와 고용노동부등의 정부기관에서는 여러 가지 제약과 동시에 장려정책을 제시하고 있으나 공적 발주나 일부 대기업그룹 외의 중소 현장에는 그 확산 속도가 높지않은 편이다.

  • PDF

Introduction to Constrction Method for P.C BOX GIRDER by Precast Element (Precast Element를 이용한 P.C BOX GR. 공법소개)

  • 이광민;김수보;김호근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1991.10a
    • /
    • pp.163-168
    • /
    • 1991
  • 최근 도시지역에서의 교량가설시 P.C BOX GR. 교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하면서 도심교통난 유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가설공법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Precast Element를 이용하여 P.C BOX GR.의 Cantilever 길이를 길게하여 MAIN BOX GR.의 폭을 감소시켜 광폭(B=20M이상)의 상부구조물 일지라도 하부구조를 일주식 교각으로 설치가능할 뿐만 아니라 MAIN BOX GR. 가설시 어떤 가설공법도 적용가능하므로 현장여건에 가장 적합한 가설공법을 용이하게 P.C BOX GR. 공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Flexural Behavior in Framed Structure of P.S.T Method (P.S.T 공법 라멘 구조물의 휨 거동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ui, Jie;Yoon, Jong Nam;Eum, Ki Young;Hong, Sung Nam;Park, Sun Ky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5 no.2
    • /
    • pp.144-152
    • /
    • 2011
  • The existing underground trenchless methods use reinforcing rod in steel tube to obtain structural stiffness.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such as inconvenience of work and expensive material fee which are resulted from limited working space and reinforcing work. To resolve these problems, a new trenchless method, namely P.S.T method (Prestressed Segment Tunnel Method), is developed which uses joint to connect the steel segment and form erection structure in underground construction. Further, installing strands for prestressing. In order to evaluate the flexural capacity of the P.S.T method structure, experiment was conducted. The parameters considered in the experiment are the span-to-depth ratio, diameter of steel tube at corner, prestressing force and welding of joint. Altogether examining the flexural behavior, the effect of deflection in structure according to different parameters has also been analysised.

Analytical Modelling of Construction Structure Controlling Camber of Long-width Exterior Precast Panel (장폭 외측 프리캐스트 패널 캠버 조정을 위한 가설구조의 해석모델)

  • Won, Tae-Gun;Won, Dae-Yon;Kim, In-Soon;Lim, Yun-Moo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293-296
    • /
    • 2010
  • 일반 교량에 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 바닥판 시공을 위해서는 동바리, 거푸집 등을 설치하고 철근 배근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이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기존 콘크리트 바닥판 시공은 계절 및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또한 시공과정에서 많은 인력이 요구되고 시공 안전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교량 시공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프리캐스트 바닥판은 공장에서 선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여 시공한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은 계절 및 기후의 영향을 최소화 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공장제작에 따른 양호한 품질도 보장된다. 또한 인력이 적게 요구되면서 시공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프리캐스트 바닥판은 패널의 폭이 좁고 외측 캔틸레버부의 시공 시 별도의 지보공이 필요한 단점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장폭 외측 프리캐스트 바닥판이 제안되었다. 장폭 외측 프리캐스트 바닥판은 패널의 폭을 늘려서 장폭의 바닥판을 만들고, 가설구조물을 이용하여 지보공 없이 시공이 가능하게 고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폭 외측 프리캐스트 패널 캠버 조정에 사용 될 가설구조의 현장적용을 위하여, 실험 후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비교 및 검증하였다.

  • PDF

거푸집공사의 재해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 오준호;고성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09-114
    • /
    • 2002
  • 건설공사의 공종 중 거푸집공사는 전체공사기간의 대략 25%를 차지하고 있으며 공사비 비율은 일반적으로 전체공사비의 10~15%, 철근콘크리트공사비의 20~30%를 차지하고 있어 구조물의 안전성, 경제성 및 작업성과 품질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곧 해체되는 가설구조물로써 작업상에서 많은 위험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아파트공사의 경우 전체 재해발생의 17%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거푸집공사는 가장 우선적으로 관리하여야 할 위험공종이며 전체공기를 좌우하는 주공정으로서 이를 재해발생의 측면에서 제어하는 것이 안전관리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이며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중략)

  • PDF

교량의 설계 및 해석

  • 이희현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5 no.1
    • /
    • pp.11-14
    • /
    • 1992
  • 최근 교량공학자들의 공통관심사는 초대형 구조물을 가설하고, 적절한 유지관리에 의해 기존 구조물의 공용수명을 연장시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고성능 컴퓨터 산업의 발달로 인한 구조해석의 정밀화, 경량골재 및 고강도 재료의 개발, 용접성과 시공법의 발달 및 초대형 크레인과 같은 건설기자재의 개발 등으로 인하여 초대형 구조물의 가설은 외국에서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구조물의 공용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첨단계측장비와 신호처리기술, 신뢰성이론, 피로파괴이론 및 system identification technique 등의 발달로 인해 비교적 정확하게 교량구조물의 손상부위와 손상정도의 파악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가까운 시일내에 100년 이상의 공용수명을 갖는 초대형 교량이 출현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교량 공학자들은 앞으로 장대교량의 설계와 시공 및 유지관리의 완전 국산화를 위한 연구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 PDF

3-D Aeroelastic Model Test of a Cable-Stayed Bridge with a Main Span of 1,200m (주경간장 1,200m 사장교의 3차원 풍동실험)

  • Sin, Seung-Hwan;Kim, Yeong-Min;Gwak, Yeong-Hak;Lee, Hak-Eu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70-70
    • /
    • 2011
  • 사장교의 적용지간이 증가하여 초장대화하면서 구조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시도된 적이 없는 주경간 1,200m 사장교의 내풍안정성을 검토하기위하여 3차원공탄성 모형을 제작하고 풍동실험을 수행하였다.(그림1 참조) 실험대상 구조물은 내풍안정성 증대를 위해 유선형 박스거더를 채용하고 케이블이 거더와 함께 비틀림에 저항하도록 2면 케이블을 적용하였다.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보강형 자중감소를 위해 전경간을 강박스로 계획하였으며 측경간에 부반력제어를 위한 Counter Weight을 적용하였다. 실험대상 구조물은 완성계, 가설계95%, 가설계50%, 가설계45%로 모형을 해체하면서 진행하였고 가설단계 별로 내풍케이블의 수량과 형상을 달리하여 내풍안정성 개선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3차원 풍동실험 결과 완성계에서 교량의 안전성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와류진동, 플러터, 버페팅과 같은 유해한 진동현상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시공중 내풍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대상교량에 내풍케이블을 설치하고 내풍케이블의 수량 및 배치형상에 따른 진동제어 효과를 검토하였다. 본 실험은 현재 풍동실험 요소기술을 이용하여 1,200m급 사장교 풍동실험을 수행하였고 이에 따라 교량이 초장대화 되면서 스케일다운에 따른 보강형질량, 케이블 간격 등 실험모형 제작상 문제점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향후 1,000m 이상급 초장대 사장교 내풍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