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Search Result 38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Design of CBTS for KSNP Simulator using Virtual Reality (가상현실을 이용한 울진표준형 원전 시뮬레이터용 컴퓨터 지원 교육훈련시스템의 설계)

  • 박신열;유현주;이명수;홍진혁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73-77
    • /
    • 2000
  • 현재 발전소의 시뮬레이터 교육은 교재 위주로 시행되고 있어서 발전소의 입체영상이나 가상사고 진행에 따른 동적 상태변화 등을 실감있게 교육할 수 있는 교육설비가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가상현실 및 멀티미디어 기법을 적용하여, 발전소 전반 및 주 제어실 등을 3차원 모델로 개발하고 이를 입체영상으로 시각화하여 발전소의 복잡한 구조와 기능들을 설명하고, 운전 중 발생 가능한 다양한 사고에 대한 시나리오 선정 및 저작으로 운전원 교육시 시뮬레이터실이 아닌 강의실에서 사고현상 시뮬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설계를 완료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CAD 데이터 구축, 가상현실 시스템 개발, 웹 환경의 교육시스템 개발, MMI 화면개발을 통한 시뮬레이터 연동 시스템 개발 등을 구현하기 위해 현재까지 설계된 컴퓨터 지원 교육훈련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Simul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몰입적 환경교육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설계 및 구현)

  • Park, Ju Hee;Boo, Jae Hui;Park, Kyoung Sh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4
    • /
    • pp.541-547
    • /
    • 2022
  • Realistic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compared to traditional learning can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knowledge through immersion and interaction. In previous studies, VR education is mainly focused on experiences, and it is difficult to find its application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issues are a global problem, and environmental education is essential for the future.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an immersive virtual reality-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simulation designed to help stud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participate in environmental-friendly actions. This simulation is based on the virtual ecosystem model, which maintains a casual relationship among environmental factors, spatio-temporal connection, and persistent state. Users intuitively recognize environmental problems and is motivated to solve the problem while experiencing the results of interaction related to environmental factors in virtual environment.

Virtual Reality Technology for e-Manufacturing (e-Manufacturing을 위한 가상현실 기술)

  • Jo, Dong-Sik;Son, Uk-Ho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2 no.4 s.106
    • /
    • pp.109-117
    • /
    • 2007
  • e-Manufacturing을 위한 가상현실 기술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가 절실한 제조업에서 정보기술(IT)을 접목하여 제품의 시장 출시 기간 단축 및 개발 비용의 획기적인 절감을 실현하는 것이다. 본 글에서는 e-Manufacturing의 개요, 필요성, 가상현실 기술과의 연관관계, 구성요소를 소개하고, 각 구성요소인 PLM, CAD, CAE을 가상현실 기술과 관련하여 개요 및 기술동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적용한 연구 사례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콘텐츠연구단에서 개발한 “선박 도장 훈련 시뮬레이션”과 “설계 검증용 상용 CAD 지원 렌더링 클러스터” 기술을 소개한다.

Virtual Reality Driving Simulation for Evaluation of Road Safety Facilities (도로안전시설물 평가를 위한 가상현실 운전 시뮬레이션 구축)

  • Chae, Byeong Hoon;Chae, Ho Keun;Lee, Joo Yeo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7
    • /
    • pp.249-25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environment for searching and evaluating evaluation criteria for road safety facilities with new technologies. Virtual reality simulation requires high realism and accurate behavior data extraction. To do this, we used the Unreal Engine to create the environment by dividing it into an external environment and a vehicle environment. After that, a sample simulation for the luminescent road markers and prelimina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As a result, luminescent road markers showed better 5m interval than 10m interval. It can be confirmed that it can be used in the simulation for searching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new road safety facilities that incorporate the new technology in the future.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simulate various environments by adding modeling and sample components for other road facilities.

Criminal Profiling Simulation Training and Assessment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가상현실 기반 범죄 프로파일링 시뮬레이션 교육 및 평가 시스템)

  • Kim, Han-Seob;Kim, Hae-Ji;Lee, Yoon-Sik;Lee, Jie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4 no.3
    • /
    • pp.83-92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to a criminal profiling simulation training and assessment with virtual reality technology. Profiling has emerged as the incidence of violent crime has increased by 45.2 % in the country over the past decade. However, the number of profilers in Korea is 36, due to the problem of existing courses. "Criminal Reproduction Learning" is the common way to profiling training, but there are numerous constraints that prevent practical training. Thus, the system used virtual reality technology to overcome existing constraints. Users can receive simulation training and assessment of profiling at crime scene that have been implemented as virtual reality, with an immersive experience through interaction. We expect this system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profiling education in many institutions and to the development of good profilers with diverse training.

Evaluation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of Dental Caries through Student Questionnaire (학생 설문을 통한 가상현실 치아우식 시뮬레이션의 평가)

  • Kim, Byunggee;Ryu, Jeeheon;Kim, Jaehwan;Kim, Seonmi;Choi, Namki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47 no.3
    • /
    • pp.293-30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after experience of dental caries diagnosis for dental students before exposing to clinical pediatric practice. A pediatric patient model of a five-year-old child with primary dentition was developed and a caries model that is amenable to VR(virtual reality) diagnosis was organized and set-up. The dental student's were allowed to use the simulated model for fifteen minutes and their experiences were evaluat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o evaluate presence and usability of this application. Overall, virtual presence and appearance area of the simulation were highly scored.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VR model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actual clinical caries regardless of grade of students, gender and VR experience. If the prototype is continuously advanced, its applicability in dental education will increase.

Development of a Low-Cost Motion Cheir for Rollercoaster Simulation (롤러코스터 운동감 구현을 위한 보급형 모션의자 개발)

  • 서정아;정무진;신영기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2.05a
    • /
    • pp.115-121
    • /
    • 2002
  • PC 및 게임 소프트웨어의 급격한 발달로 가상현실 구현에 필요한 그래픽 환경은 성숙단계에 진입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개발되는 게임 소프트웨어는 PC사용자를 겨냥한 제품이 대부분이다. 토요일 휴무제의 도입에 따른 문화 콘텐츠 시장의 확대, 가족이 즐길 수 있는 테마 공원의 성장성 등을 고려할 때 기존의 PC 게임과 차별화 되는 운동감을 포함한 가상현실 게임 제품의 개발이 요망된다. 잘 알려진 6자유도 운동 시뮬레이션 방식인 Stewart 방식은 구현 가격이 고가이고 운동범위가 작아 게임용으로 상용화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2대의 AC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roll과 pitch의 2자유도만 구현하나, 각 축으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여 탑승자의 스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저가형 운동의자를 개발하였다. 2 자유도로 회전하는 외부와 차단된 캐빈 내부에는 40인치 스크린과 프로젝터가 설치되어 롤러코스터 게임의 몰입감을 향상시켰다. 롤러코스터 가상현실을 대상으로 운동감을 극대화하기 위한 워시아웃 (washout) 필터의 설계 알고리즘이 제시된다. 탑승자들의 감성 평가를 객관화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방안이 서술된다

  • PDF

A study on Prediction of Simulator Sickness in Driving Simulation (자동차 모의운전환경에서 Simulator Sickness의 예측에 관한 연구)

  • 김도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8.10a
    • /
    • pp.170-173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터나 그와 유사한 가상현실환경(Virtual Reality Environment ; VRE)에서 일어날 수 있는 Simulator Sickness가 어떤 사람들에게 쉽게 발생하는지를 예측하기 위하여 다중선형회귀(Multiple linear regression) 방정식으로 예측회귀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회귀모형에서의 종속변수는 김도희 외(1998)에 의해 개발된 RSSQ의 종합점수이고, 독립변수는 실제운전경력에 1을 더한 값에 나이를 곱한 값, 과거 멀미를 경험한 정도, 1주일 평균 동화상 시간, 현재의 건강상태로 되어져 있다. 이 회귀모형의 R2값은 약 0.52로 Kolasinski(1996)의 모델보다 설명력이 18% 증가하였고, 부수적인 별도의 실험을 하지 않고도 간단한 개인 신상에 관한 간단한 자료만으로도 훨씬 좋은 결과를 예측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시뮬레이터나 가상현실에서 일어나는 Simulator Sickness가 어떠한 사람에게 걸리기가 쉬운지를 쉽게 예측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사람들에게는 시뮬레이터나 가상현실의 이용을 자제시키거나 주의를 주어 특별관리 함으로써 시뮬레이터나 가상현실을 운영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가상 현실 기술 동향

  • Kim, Ik-Jae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1 no.2
    • /
    • pp.51-60
    • /
    • 2016
  • 다양한 정보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구현되는 가상현실 기술은 사용자의 체험 영역을 확대하고, 물리적 에너지 및 각종 비용 절감 등의 효과로 인해, 기존의 게임, 군사 훈련 등과 같은 제한된 시뮬레이션 분야를 넘어, 제조업, 서비스 산업, 예술분야, 국방 및 의료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대표적인 IT 글로벌 기업들이 최근 가상현실을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정하고 준비를 하고 있기에, 이전과 달리 대중화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가상현실을 위한 기기들의 기술동향과 활용 가능성 및 관련 정책 방향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Effects of Nursing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A Systematic Review (가상현실을 활용한 간호교육의 효과: 체계적 문헌 고찰)

  • Kim, Sun Kyung;Eom, Mi Ran;Park, Mi-Hy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2
    • /
    • pp.661-670
    • /
    • 201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the evidence of effects of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in nursing education. Four databases were searched for articles publised until November 2018 that databases include PubMed, Proquest (nursing and allied health), CINAHL, & RISS. Key word used for search include 'education, nursing', 'simulation', 'skill training', 'virtual reality' and 'VR'. Of 695 papers searched, Seven studies were selected for data analysis. Of seven studies, five studies used quasi-experimental design and two used one group design. There were two studies used VR technology for skill training and five were scenario based VR simulation program. Studies evaluated outcomes including students performance, time spent on practice,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ability that most studies reported positive effects while some figur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of nursing education program using VR, however, additional research with rigorously designed studies using systematized measurements for study outcomes are required. In addition, comparison with existing skill training and simulation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