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상초점광원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가상초점광원을 이용한 LED 등명기 연구

  • 고성광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28-30
    • /
    • 2022
  • 종래의 프레넬렌즈가 회전하는 중대형 회전식 등명기는 고압방전등(메탈할라이드) 전구를 광원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에너지효율, 수은 등의 함유로 인한 환경오염과 폐기 문제로 인해 2010년 초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선진국을 중심으로 사용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 설치 운영되고 있는 회전식 등명기는 내용연수 초과 혹은 도래시기 점차 다가오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프레넬렌즈를 회전시키는 회전식 등명기의 LED 광원 개발은 2010년 초부터 해외업체에서 제품출시가 이루어졌으나 국내 중대형 회전식 등명기에 적용된 사례는 없으며 국내에서도 해당 기술 미비로 개발된 사례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단일 고출력 COB LED, 리플렉터, 집광렌즈 등을 이용한 가상초점광원 구현 기술로 회전식 등명기용 LED 광원 연구를 수행하고 해당 연구기술이 적용된 시제품 제작을 통해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The setup of the moiré deflectometry using the virtual grating and the measurement of the effective focal length (가상격자를 사용한 무아레 무늬 발생기의 구성과 유효초점거리 측정)

  • Kim, Sang Gee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5 no.2
    • /
    • pp.181-186
    • /
    • 2000
  • The setup of the moir$\acute{e}$ deflectometry using the virtual grating was done, so the convergence and divergence of a pencil of ray was determined. The light source was He-Ne laser(3mW).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the second lens being 18 mm, 250 mm respectively was used for the setup of the beam expander. The optics of the moir$\acute{e}$ deflectometry determining the vergence was used a diffraction grating(pitch = $1.6{\mu}m/line$) and a front flat reflection mirror. The effective focal length of the trial lens set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value.

  • PDF

광학렌즈 기술.시장 동향

  • 한국광학기기협회
    • The Optical Journal
    • /
    • s.154
    • /
    • pp.33-45
    • /
    • 2014
  • ■ 광통신용 렌즈는 광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단과 수신단에 사용되는 하나의 부품으로 집광/발산의 결상 기능을 지니며, 광회로 부품과 광섬유 또는 수발광소자인 LD/PD와 광섬유를 효율 좋게 저손실로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함. ■ 마이크로 렌즈는 마이크로 광학의 분야에 있어 광의 집광 및 평행 광으로의 변환에 빠질 수 없는 가장 기본적인 소자로서, 마이크로 렌즈의 종류로는 마이크로 볼 렌즈, 비구면 렌즈와 GRIN 렌즈가 대표적으로 있음. ■ 렌즈에 적용되는 사양으로서 렌즈의 유효 구경, 초점(focal point), 주점(principle point), 주점에서 초점까지의 거리인 초점 거리(focal length), 가상의 법선을 기준으로 빛이 입사되는 각도인 입사각, 빛이 다른 매질을 만나 반사되는 각도인 반사각, 서로 다른 매질을 빛이 통과할 때 굴절하는 굴절각 등이 있음. ■ 렌즈 모듈의 구조는 렌즈, 스페이서(spacer), 아리리스(Iris), 백링(back-ring), 바렐(Barrel)로 구성함. ■ LD 모듈에서 광원에 패브리 페로(FP)로 사용하는 것에는 볼 렌즈가, DFB 광원으로 사용하는 것으로는 비구면 렌즈가 사용하고 있음. 이를 위해 PON용에서는 G-PON의 OLT, ONU 측, GE-PON의 OLT측에는 비구면 렌즈가 사용되나 GE-PON의 ONU측에는 볼 렌즈가 주로 사용되고 있음. ■ 2012년 볼 렌즈 시장은 수량 기반으로 2011년 대비 9.7% 증가한 7,350만 개, 금액기반으로는 17.0% 증가한 3,125만$를 기록하였음. ■ 2012년 비구면 렌즈 시장은 수량 기반으로 2011년 대비 22.0% 증가한 2,220만 개, 금액 기반으로는 32.0% 증가한 8,900만$를 기록하였음. ■ 2012년 광통신용 렌즈 시장(볼 + 비구면)은 수량 기반으로 2011년 대비 12.3% 증가한 9,570만 개, 금액 기반으로는 27.7% 증가한 1억 2,063만$이었음.

  • PDF

Study on the Diffuse Texture Acquisition of a Real Object (실세계 객체의 디퓨즈 텍스쳐 획득에 관한 연구)

  • Kim, Kang-Yeon;Lee, Jae-Y.;Yoo, Jae-Doug;Lee, Kwan-H.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222-1227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객체의 형상정보(3D mesh)와 색/질감정보(image)를 이용하여 텍스쳐 맵핑된 고품질의 가상모델을 생성하는데 있다. 3 차원 형상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상의 텍스쳐 좌표 관계를 구하기 위해 오브젝트 좌표계와 카메라 좌표계 사이의 변환행렬, 카메라의 초점거리, 카메라 CCD 와 프레임상의 이미지 사이의 aspect ratio 를 파라미터로 하는 3D-2D 정합을 수행한다. 이러한 3D-2D 정합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카메라 내부파라미터 검정단계, 신뢰도가 높은 초기해 설정단계, 비선형 최적화(Newton method) 단계로 접근한다. 또한, 색/질감정보로 이용되는 객체의 이미지는 촬영조건에 의해 스펙큘러(specular)나 이미지 픽셀값의 포화상태(saturation) 등의 결점을 포함한다. 영상내의 스펙큘러 좌표와 3D-2D 정합의 결과를 이용하여 촬영 당시의 광원을 추정하고, 근사화된 빛반사도 함수(BRDF)를 이용하여, 텍스쳐의 픽셀값 변조를 통해 이미지 촬영 당시의 광원효과가 제거된 디퓨즈 텍스쳐를 획득한다. 본 연구에서는 퐁(Phong)의 모델을 근사화한 빛 반사도 함수 모델로 사용하였다.

  • PDF

Optical System Design for Real-Time 3-Dimension Ophthalmoscope (실시간 3차원 검안경의 광학설계)

  • Lee, Soak-Hee;Yang, Yun-Sik;Choe, Oh-Mok;Sim, Sang-Hyun;Doo, Ha-Young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8 no.1
    • /
    • pp.35-39
    • /
    • 2003
  • The display technology on the retina is the key role in inspecting the condition of the patients. 2-dimensional retina image is widely used in the eye examination as of today. Recently, 3-dimensional retina image ones have been introduced to this area, but the quality of the image is not fully satisfied to the operator.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3-D retina imaging instrument, the optimization of a 3-D retina imaging system using Code-V tool was investigated in this thesis. He-Ne laser having the wavelength 632.8 nm was used to make a power source to detect the retina. Several lenses and mirrors installed on sledge which were developed to perform focus control on 3-D device were designed to make a beam focusing and direct line. Polygon scanner having 24 mirror facets and galvanometer making tilting movement were utilized to make a 2-D laser plane. Also, design of eye ball had been fulfilled to see the focus of the 2-D plane. Reflected ray from retina detected on the sensor array with the same path. All cognitive components were optimized for aberration correction in order to focus on retina. Results of optimization were compared to those of initial designed optics system. On the basis of above results, the result of third aberration has been corrected to stable values to the optical system. MTF evaluating the resolution of an image has been closely correlated to the diffraction limit and PSF indicating the strength distribution of an image has shown the SR value as 0.9998 having high performance. The possibility of new and powerful 3-D retina image instrument was verified by simulating each component of the instrument by Code-V.

  • PDF

Integrated Ray Tracing Model for In-Orbit Optical Performance Simulation for GOCI (통합적 광추적 모델에 의한 해양탑재체 GOCI의 궤도 상 광학 성능 검증)

  • Ham, Seon-Jeong;Lee, Jae-Min;Kim, Seong-Hui;Yun, Hyeong-Sik;Gang, Geum-Sil;Myeong, Hwan-Chun;Kim, Seok-Hwan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1 no.2
    • /
    • pp.1-7
    • /
    • 2006
  • GOCi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is one of the COMS payloads that KARI is currently developing and scheduled to be in operation from around 2008. Its primary objective is to monitor the Korean coastal water environmental condition. We report the current progress in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optical model as one of the key analysis tools for the GOCI in-orbit performance verification. The model includes the Sun as the emitting light source. The curved Earth surface section of 2500 km x 2500 km includingthe Korean peninsular os defined as a Lambertian scattering surface consisted of land and sea surface. From its geostationary orbit, the GOCI optical system observes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surfaces with varying reflectance representing the changes in its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optical ray tracing technique was used to demonstrate the GOCI in-orbit performances such as red tide detection. The computational concept, simulation results and its implications to the on-going development of GOCI are presen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