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상지도

Search Result 17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onstruction of Flood Inundation Map for Flood Damage Analysis (홍수피해 분석을 위한 홍수범람도 구축)

  • Yu, Myung-Su;Lee, Dong-Hoon;Choi, Chang-Wo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13-1816
    • /
    • 2010
  • 홍수범람도는 홍수가 발생하였을 때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홍수지역을 미리 예측가능하게 만들어 놓은 지도로써, 강우 빈도별 침수면적과 침수심을 표현한다. 과거 홍수범람도는 홍수발생시 댐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댐의 모의운영과 침수지역의 피해 복구 등에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홍수에 대비하여 도시계획이나 제방 등의 설계에 주로 이용되고 있어, 많은 연구에서 홍수량 추정을 위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홍수범람도를 구현하거나 간단한 조작으로 홍수범람도를 작성하는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EC-GeoRAS를 사용하여 극한홍수사상(PMF)이 발생할 경우 충주댐 하류의 주요 지점인 충주시와 여주군의 홍수범람도와 남한강 유역의 홍수저감대책을 분석하였다. 특히 다양한 구조적 홍수저감대책과 비구조적 홍수저감대책을 시범유역에 적용하여 홍수저감효과를 침수면적과 침수심을 기준으로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재해저감 능력을 분석하였다. HEC-GeoRAS를 이용하여 홍수범람도 작성 시 하도내 횡단자료의 정확성은 수치지도의 정밀도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발생된다. 수치지도 자료가 정확하지 않다면 홍수범람면적, 구역 등을 정확히 모의할 수 없어 가상홍수사상 시나리오를 제대로 구현할 수 없게 된다. 홍수범람 모의를 좀 더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정확한 지형자료인 항공측량자료를 사용하는 연구가 추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Virtual View Rendering for 2D/3D Freeview Video Generation (2차원/3차원 자유시점 비디오 재생을 위한 가상시점 합성시스템)

  • Min, Dong-Bo;Sohn, Kwang-Ho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5 no.4
    • /
    • pp.22-31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pproach for efficient multiview stereo matching and virtual view generation, which are key technologies for 3DTV. We propose semi N-view & N-depth framework to estimate disparity maps efficiently and correctly. This framework reduces the redundancy on disparity estimation by using the information of neighboring views.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a user 2D/3D freeview video, and the user can select 2D/3D modes of freeview video.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yields the accurate disparity maps and the synthesized novel view is satisfactory enough to provide user seamless freeview videos.

Miniature and Guider Interaction for an Immersive Simulation Workspace (몰입형 시뮬레이션 환경을 위한 축소 모형 및 가이더 인터랙션)

  • Kim Myoung-Hee;Cho Eun;You Hyo-Sun;Rhee Seon-Min;Park J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5.11a
    • /
    • pp.144-14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CAVEW^{TM}-like$ 시스템과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 기반의 몰입형 시뮬레이션 환경에 필요한 인터랙션 기법을 제안한다. 축소 모형(miniature) 인터랙션은 원거리에 있는 객체를 쉽게 선택하거나 조작하기 위하여 가상 세계 전체를 축소하여 사용자 근처에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조작함으로써 대상 객체와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조감도(bird's eye view)로 표현되는 지도상에 사용자 위치를 표시하여 가상 세계 탐색시 이동 경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축소 모형은 투명 패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보여지며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택타일 피드백(tactile feedback)을 제공 받을 수 있다. 그리드(grid)를 이용한 비주얼 가이더는 가상 세계 내에 그리드를 디스플레이하여 대상 객체와 사용자간의 위치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일반적으로 대형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인터랙션은 정확한 깊이 인식이 어렵기 때문에 인터랙션 시사용자의 불필요한 행위를 유발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이 같은 문제점을_개선하여 객체 조작 시 느껴지는 피로감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몰입 및 상황 기반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어 활성화 될 수 있다.

  • PD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ydrologic simulation system using the digital twin-based SWAT model (디지털 트윈 기반의 SWAT 모델을 활용한 수문 모의 시스템 개발 및 평가)

  • Yechan Jeong;Seoro Lee;Gwanjae Lee;Yeonji Jeong;Yonghun Choi;Sangjoon Bak;Kyoung Jae L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24-224
    • /
    • 2023
  • 국내·외로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모델은 유역 단위에서 유출 및 수질을 예측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SWAT 모델의 결과물은 데이터 테이블 형식으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모델 사용자가 유역 내 하천별 수문 모의 결과물을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3D 가상환경을 구축하는데 디지털 트윈 기술의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 트윈 기술은 현실의 공간을 가상환경으로 구축해 실시간 현실의 상황을 파악하여, 의사결정 지원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트윈 기술과 SWAT 모델을 연계하여, 모델의 결과값을 가상환경 3D 지도인 CESIUM에 실시간으로 표출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 기반 SWAT 모델 수문 모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3D 지형에 SWAT 모델을 통해 모의 된 하천의 수위 및 SS에 대한 표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후나 유역환경에 따른 유역 내 수문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된 디지털 트윈 기반 SWAT 모델 수문 모의 시스템은 홍수 및 가뭄과 같은 재해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역 및 하천관리 대책을 효율적으로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lustering For Detecting Ethereum-Based Scam Coins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이더리움 기반 스캠 코인 탐지 연구)

  • Bae, Yujin;Hwang, Yuna;Kang, Myungseok;Lee, Seungwoo;Kim, Sungsu;Choi, Yunam;Kim, Hyunmin;Kim, Kyung-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247-250
    • /
    • 2021
  • 최근 스캠 코인에 의한 피해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대부분의 가상자산 거래소가 상장된 가상자산에 대해 자체적 신뢰도 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나, 관련 법·제도적 체계의 부재로 인해 여전히 위험이 존재한다. 스캠 코인 여부를 판단하는 기존 서비스는 불명확한 스캠 코인 판별 기준으로 인해 충분히 신뢰하기 어려우며, 지도 학습에 필요한 라벨링 된 데이터셋이 충분하지 않아 관련 연구 또한 한계를 가진다. 본 논문은 클러스터링을 통해 스캠 코인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스캠 코인과 정상적인 가상자산을 구분하는 과정에서 유의미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클러스터링을 수행하고, 스캠 코인 여부가 라벨링 된 테스트셋을 구성하여 클러스터링 결과를 평가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이 제시하는 이더리움 기반 토큰에 대한 클러스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추후 통일된 스캠 코인 판단 기준을 세울 수 있음을 제안한다.

A Study on Technique Vowing of Roads and Buildings for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of Cyber Urban Area (가상도시의 공간정보관리를 위한 도로 및 건물의 시각화 기법의 연구)

  • 연상호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 no.1
    • /
    • pp.15-23
    • /
    • 2001
  •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buildings in the internet spatial area, since those data on the internet present only the location of buildings and the outlines of lands on which buildings are located, An experimental study for the view management of building information at internet urban spatial area was conducted on the Web-GIS based map using hyper map. With the building information on the 2-D map, modified from the previous numerical map and the regional building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a new form of building through 3-D icons was shown on the internet spatial area. This study shows the Web-bas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which is designed to manage attribute data about hyper-linked buildings of 2.5-D icons and to reproduce visual building information by putting a variety of information into hyper-linked icons on the hyper map. This system not only complements the lack of consistency between real buildings and those on the map, but also provides users with more familiar urban space, so that everybody can utilize the building information as long as he has access to the internet.

  • PDF

A Comparative Study on 1D and 2D Hydraulic Analysis Model for Emergency Action Plan (비상대처계획 활용을 위한 1차원 및 2차원 수리해석모형의 비교 검토 연구)

  • Kim, Tae Hyung;Kim, Ji Sung;Lee, Young Gon;Kwak, Jae Won;Choi, Kyu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50-350
    • /
    • 2016
  • 댐 및 저수지 시설물의 붕괴에 대비하기 위한 댐 붕괴 비상대처계획 수립은 대규모 인명 또는 재산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비구조적 대책중의 하나이다. 특히 대규모 댐붕괴로 인한 재난 발생시 국민의 생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댐 시설물의 관리주체 및 유관기관은 발생가능한 비상상황을 미리 예측하고, 대응조치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집행해야 한다. 댐 붕괴 비상대처계획 수립을 위해 가장 중요한 사항은 댐 붕괴 위험도를 파악하고, 발생가능한 여러 시나리오에 따른 댐 하류부의 피해정도를 예측하는 일이다. 댐 붕괴 비상대처계획 시 작성되는 홍수범람 지도는 댐 붕괴사고가 발생했을 때 주민대피계획 및 위험지역 교통통제, 응급의료활동 및 생필품 공급 등, 비상대처계획 수립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자료가 된다. 현재 우리나라는 댐 붕괴 비상대처계획 수립을 위해 1차원 또는 2차원 수리해석 모형을 이용하여 홍수범람지도를 작성하고 있다. 전체적인 비상대처 계획도 작성을 위해 댐 붕괴로 인한 홍수파 해석이 가능한 1차원 수리해석 모형을 주로 이용하지만, 홍수파가 전파되는 하류부의 지형학적 특성상 2차원 해석이 필요한 지역에 대해 2차원 수리해석 모형을 이용하여 추가의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상대처계획시 동시에 활용되는 1차원 수리해석 모형과 2차원 수리해석 모형의 특성을 각각 분석하고, 시범지역의 가상 댐 붕괴사상에 대해 적용함으로써, 각 모형의 장단점과 적용성에 대한 비교 검토 연구를 수행하였다. 낙동강유역내 위치한 다목적댐에 대해 1차원 및 2차원 붕괴모의를 실시하였으며, 여러 시나리오에 대해 1차원 모형과 2차원 모형 각각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함으로써 두 모형의 모의 결과에 대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상 대처계획 수립을 위한 홍수범람지도 작성 시 1차원 모형과 2차원 모형의 장점을 각각 반영할 수 있도록 홍수범람지도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작성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Construction of Three Dimensional Virtual City Information Using the Web 3D (Web 3D를 이용한 3차원 가상도시공간정보 구축)

  • 유환희;조정운;이학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0 no.2
    • /
    • pp.119-126
    • /
    • 2002
  • Recently, as advancing the technologies for Web 3D and Virtual Reality, the studies have been progressed actively to provide three dimensional information on the web. Especially, the various applications for providing urban information in 3D space have been developed using EAI(External Authoring Interface) that serves an interface between VRML(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standard language for embodying virtual reality, and JAVA applet in HTML. In this study, as constructing 3D virtual city information using Digital Map, IKONOS satellite image, VRML and so on, we could provide users which need several information with building location and various urban living information. In addition, applying 3D skills such as texturing, panorama and navigation, users were enabled to perform various route searching and scenery analysis. Finally, to serve urban living information in real time, we designed to search information faster through interfacing database and to update data using ASP(Active Server Page) on web.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Learning Environment in Earth Science with Using Virtual Reality (VR): An Exploratory Case (지구과학에서의 가상 현실의 사용에 따른 예비 과학교사의 학습환경 인식 연구: 시험적 적용)

  • Shin, Myeong-Kyeong;Kim, Hee-Soo;Kim, Jong-Heo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7 no.3
    • /
    • pp.269-278
    • /
    • 2006
  • In this study, we used Virtual Reality (VR) materials on an introductory earth science course consisted of thirty six pre-service science teacher program students. Before and after class an instrument of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Survey (CLES) was administered. The main focus of the CLES was to evaluate how the classroom was prepared for student 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The pre and post tests of student perceptions regarding their learning environment were compared in six domains: personal relevance, critical voice, shared control, student negotiation, scientific uncertainty, and attitude. Questionnaire regarding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VR materials was administered as well. How future science teachers valued the use of VR materials in their classrooms was found from this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we intend to contribute for a more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of VR materials in achieving better learner-centered classroom environment.

3차원 광정보 취득 및 재생 기술

  • Choe, Gi-Hong;Min, Seong-U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2
    • /
    • pp.73-82
    • /
    • 2017
  • 3차원 영상의 촬영 및 재생은 마치 우리에게 카메라와 텔레비전의 존재가 지극히 당연한 것처럼 낯설지 않은 주제가 되었다. 3차원 영화에 대한 시장의 본격적인 반응이 시작된 지도 거의 10년이 돼가고, 최근 몇 년 사이에는 가상/증강현실에 관한 기술이 빠르게 대중화되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3차원 광정보처리 기술 개발의 다음 행선지는 어디인지, 그리고 그 다음은 어디인지를 심사숙고하고 관련 연구를 착실히 수행해 나갈 필요가 있다. 1장에서는 3차원 광정보 취득 및 재생 기술의 근황, 2장에서는 차세대로 불릴 만한 기술들을 서술한다. 그리고 3장 이후로는 여러가지 기술 중, 궁극의 3차원 정보 처리로 일컬어지는 홀로그래피 기술에 대해 서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