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사공간 분리형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1920{\sim}1960$년대 제주시 주택의 변천에 관한 연구 (Transformations of Houses in Jeju City from 1920's to 1960's)

  • 김형남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13-122
    • /
    • 2007
  • Houses in Jeju city are divided into separated types and combination types of household affairs space. Other special types are separated-kitchen type. Separated household affairs space type is mostly built. Separated household affairs space type were sitting room + Gopang separate type and separate sitting room type. Combination household affairs space type made from sitting room, kitchen, Gopang and Chabang(Dinning room) put together as space differentiation, also into classes sitting room + kitchen + Gopang + Chabang type, sitting room + kitchen + Chabang type, sitting room + kitchen + Gopang, sitting room + kitchen type by combination household cares space type. Separated-kitchen type was one of the special type from separated-kitchen type of traditional housing, and type with continuous. Houses in Jeju city were 3 kan type and 4 kan type. 4kan type was mostly built. ㅡ shape is kept as plan shaped of straight shape, and roof shape is showed as ㅡ shape gathering roof. ㅡ shape + part projection type talls part projecting type as happened in Gopang, and Chabang. Roof is gathering roof, and when it is showed ㄱ shape by Gopang, Chabang, and kitchen are projected. ㅡ shape + total projection shape is one of the room become totally projected by Gopang and Chabang, can be happen with small room or kitchen, and roof as gathering roof shaped with ㅡ shape, ㄱ shape, ㄷ shape, unsystematic ㄹ shape, and various shapes.

고급연립주택의 평면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or Plan in Luxurious Row-Houses)

  • 라윤주;오혜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209-216
    • /
    • 2001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빌라'로 통칭되는 고급연립주택의 사례조사를 통해 그 평면의 특성을 파악해 보는 것이 목적으로 1980년에서 2001년까지 서울과 분당지역에 건설된 지상 4층 이하, 연면적 660$m^2$ 이사인 연립주택 중 전용면적 50평 이상의 고급연립주택을 대상으로 하여 분양자료와 건축, 주택, 인테리어 관련잡지, 인터넷에서 평면 135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급연립주택의 평면 특성은 평형이 대형화 될수록 개 실의 수가 증가하기 보다는 새로운 기능의 공간이 거주자의 개성에 맞게 구성되며, 복층형 구조의 평면유형이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 시도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고급연립주택의 공동공간의 특성은 구성방식에 있어 거실분리형(L-DK)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평형이 커질수록 개방형은 거의 보이지 않고 거실분리형, 부엌분리형의 순으로 공간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고급연립주택의 부부전용공간의 특성은 안방의 기능 분화가 시작된 80년대부터 현재까지 안방-드레스룸-욕실-부부침실의 공간구성이 일반화되었다는 것이다. 넷째, 고급연립주택의 가사작업공간의 특성은 주부의 작업효율을 높이고 수납공간의 확보를 위해 다용도실의 가사실을 하나의 개실로 구성하여 부엌과 인접하여 배치한다는 것이다. 다섯째, 고급연립주택의 출입공간의 특성은 현관진입형, 마당진입형, 부출입구진입형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현관진입 형에서 현관문에 중문이 이중으로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