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변장 부호화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가변장 부호기법에 의한 영상정보 감축

  • Lee, Jong-Su
    • ETRI Journal
    • /
    • v.9 no.3
    • /
    • pp.13-21
    • /
    • 1987
  • 정보를 나타내는 기호(symbol)들의 발생 빈도수(occurrence frequency)는 일반적으로 일정하지 않다. 빈번히 발생되는 기호일수록 짧은 길이로, 드물게 발생되는 기호는 길게 부호화 함으로써 우리는 데이터량을 많이 감축할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가변장 부호 기법(variable length coding)인 Huffman과 Shannon-Fano 부호 기법을 영상정보에 적용하여 약 77%의 데이터량을 감축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An Improvement of VLC Using Tree Splay Algorithm (트리 스플레이를 이용한 가변장 부호화기의 성능개선)

  • 김정우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7 no.5
    • /
    • pp.640-647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hat, by using a tree splay, dynamically modifies the fixed table of a VLC used in the standards and thus improves the performance of a video encoder. The previous standards, which drew up tables by using a limited number of images, were not able to accommodate the characteristics of new image input. The new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employs the probabilistic characteristics of an image input, thus making encoding more effective. Furthermore, the present study also proposes a method to regulate the weight in order that the accumulated probabilities can make a dominant symbol emerge, while keeping the probability adequate and thus maximally accommod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input. The results from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to a variety of image sequences showed that, while various types of images yielded slightly different results, it improved the performance up to a maximum of 0.23㏈, compared to MPEG-4 standard.

  • PDF

An efficient joint disparity and motion estimation for stereoscopic video coding (변이-움직임 동시 추정을 이용한 스테레오 동영상 부호화 기법)

  • 유정열;임정은;손광훈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9a
    • /
    • pp.345-34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변이-움직임 벡터의 상관관계를 통한 동시 추정(joint disparity and motion estimation)을 이용하여 방대한 계산량과 데이터량을 요구하는 스테레오 영상 데이터의 효율적인 부호화를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스테레오 시퀀스에 대해서 두 변이 벡터(disparity vector)와 하나의 움직임 벡터(motion vector)의 상관관계를 이용하면 나머지 움직임 벡터는 직접적인 추정 과정 없이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얻어진 움직임 벡터는 직접 추정에 비해 정확도가 현저히 떨어져 이 벡터를 그대로 사용하여 영상을 복원하게 될 경우 심각한 오차의 누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동시 추정을 위해 추정단에서 벡터 평활화(vector regularization)과정을 수행하고 불확실 벡터 영역 추출을 통한 선택적인 보정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불확실 벡터 영역의 벡터만을 가변장 부호화(variable length coding)한다. 실험결과, 직접 추정 과정을 거치지 않고 도 만족할 만한 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었으며, 부호화량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었다.

  • PDF

Intra Transcoding from DV to MPEG-2 and chrominance format conversion H/W implementation (DV에서 MPEG-2의 인트라 변환 부호화 방식의 연구 및 색차포맷 변환부의 H/W구현)

  • Lee, Sun-Hang;Kim, Don-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735-738
    • /
    • 2001
  • 디지털 캠코더에서 이용하는 영상 압축 방식인 DV 부호화방식은 DCT와 가변장 부호화 방식을 이용한다. DV 방식은 하드웨어 복잡도가 낮은 반면 압축된 비트 율이 약 26Mbps로 높은 편이다. 따라서 스튜디오에서 낮은 복잡도로 영상을 부호화 한 후 VOD 시스템에서 이용하기 위하여 MPEG-2로 변환부호화 할 필요가 있다. 이때의 두 압축방식이 DCT를 이용하므로, DCT영역에서 변환부호화 하면 중간과정을 줄일 수 있어서 계산상의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DV방식에서 MPEG-2의 인트라로 변환부호화시, DV방식의 4:1:1 색차포맷을 MPEG-2의 4:2:2 색차 포맷으로 변환할 때 변환영역에 있는 데이터에 미리 계산된 행렬을 곱하여 병렬처리가 가능하게 설계하였다. 또한 MPEG-2 율제어는 중요한 서브 블록의 분산을 완전히 DCT영역에서 계산하여 하드웨어 복잡도를 줄였다. 색차포맷변환부 하드웨어 구현을 위하여 VHDL로 코딩한 후 FPGA-EXPRESS(synopsys), ALTERA MAX-PLUS II를 사용하여 모의실험을 하였다. 각 모듈별로 기능을 검증한 후, FPGA EXPRESS(synopsys)를 사용하여 합성 및 검증을 하였다.

  • PDF

A Frequency Domain DV-to-MPEG-2 Transcoding (DV에서 MPEG-2로의 주파수 영역 변환 부호화)

  • Kim, Do-Nyeon;Yun, Beom-Sik;Choe, Yun-Si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38 no.2
    • /
    • pp.138-148
    • /
    • 2001
  • Digital Video (DV) coding standards for 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 are based mainly on DCT and variable length coding. DV has low hardware complexity but high compressed bit rate of about 26 Mb/s. Thus, it is necessary to encode video with low complex video coding at the studios and then transcode compressed video into MPEG-2 for video-on-demand system. Because these coding methods exploit DCT, transcoding in the DCT domain can reduce computational complexity by excluding duplicated procedures. In transcoding DV into MPEC-2 intra coding, multiplying matrix by transformed data is used for 4:1:1-to-4:2:2 chroma format conversion and the conversion from 2-4-8 to 8-8 DCT mode, and therefore enables parallel processing. Variance of sub block for MPEG-2 rate control is computed completely in the DCT domain. These are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We estimate motion hierarchically using DCT coefficients for transcoding into MPEG-2 inter coding. First, we estimate motion of a macro block (MB) only with 4 DC values of 4 sub blocks and then estimate motion with 16-point MB using IDCT of 2$\times$2 low frequencies in each sub block, and finish estimation at a sub pixel as the fifth step. ME with overlapped search range shows better PSNR performance than ME without overlapping.

  • PDF

A Parallelization of Motion Estimation in MPEG (MPEG 상에서의 움직임 벡터 추출 병렬화)

  • 이양수;성순용;김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774-776
    • /
    • 1998
  • 영상 압축의 표준인 MPEG은 대표적 비대칭 코딩방법으로 인코딩 시간이 디코딩 시간보다 훨씬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 MPEG인코딩 과정은 크게 DCT, 양자화, 움직임 벡터 추출, 가변장 부호화로 구성된다. 이중에서 DCT와 움직임 벡터 추출 정도가 많은 계산량을 가지므로 병렬화의 관심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움직임 벡터의 추출에 관해서 병렬화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병렬화의 단위는 fine-grained이며, 통신 오버헤드를 보다 줄일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최소한의 초기 데이터 할당으로 계산을 시작하여, 계산을 위한 초기화 과정을 줄여 속도를 증대시킨다. 통신비용 즉, 메시지 전달 수 및 메시지 전달 홉(hop) 수를 비교하고, 기존의 기법에 대해 한 프레임에 대한 움직임 벡터 추출 시간을 요소로 할 때 보다나은 결과를 나타냄을 보였다.

  • PDF

Image Retrieving System Using Variable Block DCT (가변 블록 DCT를 이용한 영상 검색 시스템)

  • Kim, Dong-Woo;Seo, Eun-Ju;Jang, Un-Dong;Han, Jea-Hyeck;Ahn, Jae-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847-850
    • /
    • 2001
  • 영상과 같은 다양하고 복잡한 데이터 검색은 기존의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이 아닌 내용 기반 검색 방법이 요구된다. 본문은 JPEG/MPEG 과 같은 영상 압축 기법에서 사용되는 DCT 변환 부호화를 이용하여 각 블록의 평균인 DC 성분을 얻어 이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을 검색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기존의 방법은 단순히 DCT 전체 성분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영상 전체의 DCT 정보를 처리하여야 하므로 시간과 메모리의 낭비가 있을 수 있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처리시간과 메모리의 낭비를 막기 위해 DC 성분만을 이용하여 영상 검색을 하며, 영상이 실제로 있는 부분에서는 블록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변경하여 검색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검색을 전체 영상에 대한 빠른 1 차 검색과 동일 패턴을 가진 영상의 2 차 세부 검색으로 나누어 실행함으로써 보다 빠른 검색을 할 수 있다. 한편, 겹쳐진 영상에 대해서도 검색이 가능하다.

  • PDF

Spatio-Temporal Error Concealment of I-frame using GOP structure of MPEG-2 (MPEG-2의 GOP 구조를 이용한 I 프레임의 시공간적 오류 은닉)

  • Kang, Min-Jung;Ryu, Chul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9 no.1C
    • /
    • pp.72-82
    • /
    • 2004
  • This paper proposes more robust error concealment techniques (ECTs) for MPEG-2 intra coded frame. MPEG-2 source coding algorithm is very sensitive to transmission errors due to the use of variable-length coding. The transmission errors are corrected by error correction scheme, however, they cannot be revised properly. Error concealment (EC) is used to conceal the errors which are not corrected by error correction and to provide minimum visual distortion at the decoder. If errors are generated in intra coded frame, that is the starting frame of GOP, they are propagated to other inter coded frames due to the nature of motion compensated prediction coding. Such propagation of error may cause severe visual distortion. The proposed algorithm in this paper utilizes the spatio-temporal information of neighboring inter coded frames to conceal the successive slices errors occurred in I-frame. The proposed method also overcomes the problems that previous ECTs reside. The proposed algorithm generates consistent performance even in network where the violent transmission errors frequently occur. Algorithm is performed in MPEG-2 video codec and we can confirm that the proposed algorithm provides less visible distortion and higher PSNR than other approaches through simulations.

Efficiency Algorithm of Multispectral Image Compression in Wavelet Domain (웨이브릿 영역에서 다분광 화상 데이터의 효율적인 압축 알고리듬)

  • Park, Gyeong Nam;Kim, Yeong Chun;Jang, Jong Guk;Lee, Geon I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38 no.4
    • /
    • pp.38-3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웨이브릿 영역에서의 영역 분류와 대역간 예측 및 선택적 벡터 양자화를 이용한 다분광 화상테이타 압축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각 대역을 웨이브릿 변환 후, 각 대역의 기저밴드의 대역별 특성을 이용하여 영역 분류를 행하였다. 그리고, 다른 대역과 해상도가 동일하고 공간적 분산이 작으며 분광적 상관성이 큰 기준대역 (reference channel)을 결정한 뒤, 이를 영역별 스칼라 및 분류별 가변 벡터 양자화를 행하여 부호화 하였다. 또한 기준대역과의 대역간 상관성이 큰 대역들에 대해서는 영역별 대역간 예측을 행한 후, 활동도가 높은 블록에 대해서만 선택적 벡터 양자화로 부호화를 행하였다. 이때, 활동도가 높은 블록들의 위치정보는 기준대역으로부터 얻어지는 임계치 지도 (threshold map; THMAP)를 이용하였다. 즉, 제안한 방법에서는 각 대역에 대해 웨이브릿 영역에서의 영역 분류 후 영역별 대역간 예측을 행함으로써 다분광 화상데이타에 존재하는 대역간 중복성을 제거하고 선택적 벡터 양자화를 행함으로써 대역내 중복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압축효율을 향상시킨다. 실제 원격 센싱된 인공위성 화상데이타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기법의 부호화 효율이 기존의 기법에 비하여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Design of Multiple-symbol Lookup Table for Fast Thumbnail Generation in Compressed Domain (압축영역에서 빠른 축소 영상 추출을 위한 다중부호 룩업테이블 설계)

  • Yoon, Ja-Cheon;Sull, Sanghoo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0 no.3
    • /
    • pp.413-421
    • /
    • 2005
  • As the population of HDTV is growing, among many useful features of modern set top boxes (STBs) or digital video recorders (DVRs), video browsing, visual bookmark, and picture-in-picture capabilities are very frequently required. These features typically employ reduced-size versions of video frames, or thumbnail images. Most thumbnail generation approaches generate DC images directly from a compressed video stream. A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coefficient for which the frequency is zero in both dimensions in a compressed block is called a DC coefficient and is simply used to construct a DC image. If a block has been encoded with field DCT, a few AC coefficients are needed to generate the DC image in addition to a DC coefficient. However, the bit length of a codeword coded with variable length coding (VLC) cannot be determined until the previous VLC codeword has been decoded, thus it is required that all codewords should be fully decoded regardless of their necessary for DC image gener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especially for fast DC image generation from an I-frame using multiple-symbol lookup table (mLU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method using the mLUT improves the performance greatly by reducing LUT count by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