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변발전

Search Result 30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Power Control of Variable and Constant Speed Wind Power System (가변속과 일정속 풍력발전시스템의 출력제어)

  • 김철호;공정식;오철수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2
    • /
    • pp.117-122
    • /
    • 2000
  • 풍력발전시스템은 일정속과 가변속 풍력발전시스템으로 나누어진다. 일정속 풍력발전시스템은 유도발전기를 이용한 시스템이 주종을 이루고, 가변속 풍력발전시스템은 동기발전기-인버터로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피치컨트롤이 장착된 두 시스템을 분석하여, 피치컨트롤의 제어 알고리즘을 유도하고 공기역학적 출력제어 국면에서 두 시스템의 출력제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PDF

Variable Load System for Maximum Power Operation of Wave Power Generation System (파력발전 장치의 최대전력 운전을 위한 가변부하 시스템)

  • An, Hyunsung;Kim, Young-Cheol;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11a
    • /
    • pp.35-36
    • /
    • 2017
  • 본 논문은 파력발전 장치의 최대 전력 운전을 위한 가변 부하 시스템을 구현하고 해상 및 육상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파력 장치는 가변 스프링, 댐퍼, 질량, 동기발전기, 가변 부하 시스템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동기발전기는 최대 출력을 발생시킨다. 파도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부하의 크기는 최적부하계산 알고리즘을 통해 선정되었으며, 제안된 부하 시스템을 통해 부하의 크기를 가변시켰다. 파력발전 장치는 수조 장치를 통해 파도 진폭의 크기(200mm~600mm)와 주파수(0.2Hz~1Hz)를 가변시켜 발전된 전력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해상 시험을 통해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The MPPT Control Method of the Seaflow Generation by using the Fuzzy Controller (조류발전의 MPPT제어 비교)

  • Kim, Cheon-Kyu;Kang, Hyoung-Seok;Kim, Young-Jo;Kim, Young-Se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c
    • /
    • pp.114-11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D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조류 발전의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제어를 제안하였다. 기존의 고정 듀티 제어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과 가변 듀티를 이용한 발전시스템과의 비교를 통해서 가변듀티를 이용한 제어방법이 더욱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블레이드, 영구자석 동기전동기, 다이오드 정류기, DC-DC 컨버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듀티, 가변듀티 퍼지제어기를 이용한 가변듀티 방법을 이용하여 제어하였다. 본 시스템은 조류 속도의 측정 없이 컨버터의 듀티 가변으로 발전기가 최대 출력전력을 낼 수 있도록 제어하므로, 별도의 측정 장비가 필요 없다. 따라서 시스템 구성비용 적고, 복잡성이 낮으며, 효율이 높다. 알고리즘의 유효성은 Matlab Simulink를 통해서 검증하였다.

  • PDF

Design of Nonlinear Controller for Variable Speed Wind Turbines based on Kalman Filter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칼만필터 및 인공신경망에 기반한 가변속 풍력발전 시스템을 위한 비선형 제어기 설계)

  • Moon, Dae-Sun;Kim, Sung-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0 no.2
    • /
    • pp.243-250
    • /
    • 2010
  • As the wind has become one of the fastest growing renewable energy sources, the key issue of wind energy conversion systems is how to efficiently operate the wind turbines in a wide range of wind speeds. Compared to fixed speed turbines, variable speed wind turbines feature higher energy yields, lower component stress and fewer grid connection power peaks. Generally, measurement of wind speed is required for the control of variable speed wind turbine system. However, wind speed measured by anemometers is not accurate owing to various reasons. In this work, a new control algorithm for variable speed wind turbine system based on Kalman filter which can be used for the estimation of wind speed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which can generate optimum rotor speed is proposed. Also,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scheme, various simulation studies are carried out by using Simulink in Matlab.

Modeling of Variable-Speed Pumped Storage Hydro (가변속 양수발전 시스템 모델링)

  • Liu, Zhenqian;An, Hyunsung;Song, Wooseok;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07a
    • /
    • pp.350-351
    • /
    • 2018
  • 본 논문은 가변속 양수발전 시스템의 모델링 및 양수발전용 전력변환장치 제어 구조를 분석하고 모델링하였다. 기존 양수발전 시스템은 동기 발전기를 사용하였지만 신재생 에너지원의 출력 변동 및 부하 변동에 따른 주파수의 변화에 빠른 대응을 위한 가변속 양수발전 시스템을 채용하여 계통 전력과 전압, 주파수 등을 보상한다. 양수 발전소의 터빈, 게이트, 조속기 등을 분석하여 모델링하였으며, Doubly fed induction generator를 위한 back-to-back 전력 변환 장치를 발전 및 양수 모드에 사용하기 위해 벡터제어, 속도제어, 유효-무효 전력 제어기 등을 모델링 하였다.

  • PDF

Fuzzy Logic based MPPT control for the Variable Speed Wind Turbine Energy of the PMSG (PMSG의 가변 풍속 발전시스템을 위한 퍼지제어 기반의 MPPT 제어)

  • Jang, Mi-Geum;Chung, Dong-Hwa;Song, Sung-Geun;Kim, Dae-Kyo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07a
    • /
    • pp.512-51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PMSG(Permanent Magnet Synchronous Generator)의 가변속-고정피치(Variable-Speed Fixed-Pitch) 풍력발전시스템을 위한 FLC를 기반으로 하는 최대 전력점제어(MPPT)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최근에는 풍속변화에 대응하여 최대전력을 발생할 수 있는 가변속 풍력발전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국내의 지형적 조건에 따른 바람의 영향으로 풍력발전 시스템의 MPPT제어가 반드시 필요하다. 종래의 풍력발전 MPPT 제어는 응답속도 등에 대한 문제점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파라미터 변동에 강인한 FLC를 기반으로 하는 최대 전력점 제어(MPPT)를 제시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타당성을 입증한다.

  • PDF

자동차용 SI엔진의 개발 동향

  • 한봉훈;박찬준
    • Journal of the KSME
    • /
    • v.30 no.6
    • /
    • pp.564-571
    • /
    • 1990
  • 최근의 기관은 DOHC 또는 SOHC로 4밸브나 5밸브를 채용하여 흡기계의 효율향상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고속성능에 중점을 두고 기관제원을 설정하게 되면서 저속 실용역에서 토크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금후 이러한 문제의 해결에 많은 노력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전자기술의 발전과 자동차에 대한 적용 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앞으로 가변흡기 시스템, 가변밸브 타이밍, 가변 터보, 가변 기통수, 가변 압축비등 가변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Wind Turbine Blade Optimization and Pitch Control Using the Hybrid Genetic Algorithm (혼합형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최적설계 및 피치제어에 관한 연구)

  • Kang, Shin-Jae;Kim, Ki-Wan;Ryu, Ki-Wahn;Song, Ki-J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0 no.6
    • /
    • pp.7-13
    • /
    • 2002
  • This paper introduced a new hybrid genetic algorithm, verified its performance, and applied it to the optimization of blade design and pitch control for 30kW pitch-controlled variable-speed horizontal-axis wind turbine system to determine the optimum blade chord and twist distributions that maximize the energy production for a given Weibull wind distribution and the optimum blade pitch angles that maintain constant power outp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