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뭄 피해

Search Result 47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haracteristics of SWAP Index-based Drought-Flood Abrupt Alternation Events in the Han River Basin (SWAP 지수를 이용한 가뭄-홍수 급변사상의 특성 분석: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 Son, Ho Jun;Lee, Jin-Young;Yoo, Jiyoung;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99-399
    • /
    • 2021
  • 최근 전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 홍수, 태풍 등 자연재해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강수량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가뭄과 홍수가 단기간에 번갈아 가며 발생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가뭄과 홍수가 짧은 기간 동안에 교차해서 발생하는 급변사상은 예측하기 어려우며, 갑작스럽게 중첩되는 재난으로 인명과 재산피해 뿐 아니라 생태계에까지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 강수량 자료를 바탕으로 표준가중평균강수지수(Standard Weighted Average Precipitation, SWAP)를 산정하고 한강 유역의 가뭄-홍수 급변사상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1966년부터 2018년까지의 한강유역 중권역별 면적평균강수량과 가중치, 이전 강수량의 영향을 받는 일수를 바탕으로 SWAP를 산정하였다. SWAP 지수가 10일 연속 -1 미만일 때를 가뭄이라 정의하고, 이후 SWAP 지수가 7일 연속 0.5 이상이면 가뭄사상이 종료된다고 판정하였다. 또한 SWAP 지수가 10일 연속 +1 초과일 때를 홍수라고 정의하고, SWAP 지수가 7일 연속 -0.5 이하가 되면 홍수사상이 종료된다고 판정하였다. 가뭄-홍수 급변사상이란 가뭄의 종료시점과 홍수의 시작시점의 차이가 5일 이내일 경우에 해당한다. 급변사상의 전·후로 강수량이 얼마나 급격하게 차이 나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급변 시점 전·후 5일의 누적 SWAP 지수인 심각도 K(Severity)를 분석지표로 활용하였다. K를 통해 한강유역 가뭄-홍수 급변사상의 시·공간적 분포를 분석하고 미래의 급변사상의 발생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한강 유역의 24개 중권역 중에서 18개의 중권역이 가뭄-홍수 급변사상의 심각도가 점점 상승하는 추세이고, 가장 심각도 상승폭이 높은 중권역은 홍천강(1014)으로 첫 사상인 1967년부터부터 2015년의 마지막 사상까지 약 55% 정도 상승하였다.

  • PDF

Drought Assessment of Upland Crops using Soil Moisture, SPI, SGI (토양수분, 표준강수지수, 표준지하수위지수를 활용한 밭가뭄 평가)

  • Jeon, Min-Gi;Nam, Won-Ho;Ok, Jung-Heun;Hwang, Seon-Ah;Hur, Se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13-313
    • /
    • 2022
  • 일반적으로 가뭄은 특정지역에서 평균 이하의 강수량이 발생되는 현상으로, 강수량이 감소되면 토양수분, 하천수 수위, 저수지 수위, 지하수위 등이 순차적으로 감소한다. 수문학적 가뭄은 기상학적 가뭄 및 농업 가뭄에 비해 늦게 발현되는데, 이는 강수량의 부족이 토양수분, 하천수량, 지하수 및 저수지 수위 등과 같은 수문학적 시스템에 전이되는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뭄 피해를 경감하기 위해 지하수위 변동성을 이용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지하수위는 농촌 지하수 개발, 가뭄 및 홍수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강수량에 의한 변화가 지표수에 비해 느리게 나타나고 토양을 통과하는 특성으로 인해 단기 및 장기간의 변화 경향이 나타난다. 미국 지질조사국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에서는 지하수위를 월 단위로 보통 이하 (Below-normal), 보통 (Normal), 보통 이상 (Above-normal) 3단계로 구분하여 분포도를 작성하고 전체 관측기간 중 25% 이상에서 보통 이하 (Below-normal)로 나타나면 가뭄으로 판단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형, 유역을 고려한 지하수 수위 및 수질 현황과 변동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지하수위 관측망 688개소를 설치하고 운영 중에 있다. 또한, 농촌진흥청에서는 전국 농업기상대와 연계하여 토양수분관측망 (soil moisture monitoring network)을 구축하였으며, 표토 10 cm에 토양수분센서를 전국 168 지점에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을 기반으로 산정한 표준강수지수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와 지하수위를 기반으로 산정한 표준지하수위지수 (Standardized Groundwater Level Index, SGI), 토양수분관측망의 토양수분의 상관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밭작물 가뭄의 중요 요소인 토양수분 함량은 강수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반면 지표수 및 지하수는 상대적으로 장기간의 강수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밭작물 지역의 가뭄 취약성을 관리하는 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mbined analysis of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 for hydrological drought prediction and early response - Focussing on the 2022-23 drought in the Jeollanam-do - (수문학적 가뭄 예측과 조기대응을 위한 기상-수문학적 가뭄의 연계분석 - 2022~23 전남지역 가뭄을 대상으로)

  • Jeong, Minsu;Hong, Seok-Jae;Kim, Young-Jun;Yoon, Hyeon-Cheol;Lee, Joo-He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7 no.3
    • /
    • pp.195-207
    • /
    • 2024
  • This study selected major drought events that occurred in the Jeonnam region from 1991 to 2023, examining both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 occurrence mechanisms. The daily drought index was calculated using rainfall and dam storage as input data, and the drought propagation characteristics from meteorological drought to hydrological drought wer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22-23 drought, which recently occurred in the Jeonnam region and caused serious damage, were evaluated. Compared to historical droughts, the duration of the hydrological drought for 2022-2023 lasted 334 days, the second longest after 2017-2018, the drought severity was evaluated as the most severe at -1.76. As a result of a linked analysis of SPI (StandQ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SRSI (Standardized Reservoir Storage Index), it is possible to suggest a proactive utilization for SPI(6) to respond to hydrological drought. Furthermore, by confirming the similarity between SRSI and SPI(12) in long-term drought monitoring, the applicability of SPI(12) to hydrological drought monitoring in ungauged basins was also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long-term dryness that occurs during the summer rainy season can transition into a serious level of hydrological drought. Therefore, for preemptive drought response, it is necessary to use real-time monitoring results of various drought indices and understand the propagation phenomenon from meteorological-agricultural-hydrological drought to secure a sufficient drought response period.

A Study on Analysis of Natural Disaster Using Remote Sensing Data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자연재해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Byung-Uk;Kim, 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5 no.2
    • /
    • pp.237-244
    • /
    • 1997
  •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methodology that uses satellite data for the analysis of flood and drought damaged area. Land cover classification were performed using satellite data that were acquired at disaster periods and comparatively normal times. Damaged area was extracted by use of overlay analysis in land cover change and compared with the field survey results. The results show analysis of flood damaged area could be carried out with single scene acquired at adequate day, and are corresponded with field survey data very well. And also, some areas that had been missed in field survey were found. The suggested method proved to be more accurate and effective way for mapping inundated areas of floodplains than field survey that would be held a few month later. The results on the analysis of drought damaged area show that drained water could be detected just only in small area, and crop damaged area could not be verified in objective validity. Drought analysis by remote sensing was proved not to be adequate for practical use in this study.

  • PDF

Analysis of drought propagation using hydrometeorological data: from meteorological drought to agricultural drought (수문기상 정보를 이용한 가뭄 전이 분석: 기상학적 가뭄에서 농업적 가뭄)

  • Yu, Myungsu;Cho, Younghyun;Kim, Tae-Woong;Chae, Hyo-S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3
    • /
    • pp.195-205
    • /
    • 2018
  • Drought is a complex phenomenon caused by various factors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natural and anthropogenic causes. In Korea, the natural drought typically occurs when the high pressure of the Pacific Ocean develops rapidly or becomes stronger than usual in summer, resulting in a short-lived monsoon season. Drought also can be classified into meteorological, agricultural, hydrological, and socioeconomic drought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onsequences. Each type of droughts can influence the other drought types directly or indirectly. Drought propagation refers a phenomenon that changes from meteorological drought to agricultural or hydrological drought. In this study, the occurrence and patterns of drought propagation are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and agricultural droughts was assessed using hydrometeorological data. We classified the types of drought into five categories to evaluate the occurrence and characteristics of drought propagation. As results, we found drought propagation did not occur or delayed until three months, depending on the type of drought. The further generalized relationship of drought propagation is expected to be used for predicting agricultural drought from the preceding meteorological drought.

Development of Drought Map Based on Three-dimensional Spatio-temporal Analysis of Drought (가뭄사상에 대한 3차원적 시공간 분석을 통한 가뭄지도 개발)

  • Yoo, Jiyoung;So, Byung-Jin;Kwon, Hyun-Han;Kim, Tae-Wo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0 no.1
    • /
    • pp.25-33
    • /
    • 2020
  • A drought event is characterized by duration, severity and affected area. In general, after calculating a drought index using hydro-meteorological time series at a station, a drought event is defined based on the run theory to identify the beginning and end time. However, this one-dimensional analysis has limitations for analyzing the spatio-temporal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movement paths of drought. Therefore, this study is to define a three-dimensional drought event using a simple clustering algorithm and to develop a drought map that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drought severity according to the spatio-temporal expansion of drought. As a result, compared with the two-dimensional monitoring information to show spatial distribution of drought index, a proposed drought map is able to show three-dimensional drought characteristics inclusing drought duration, spatial cumulative severity, and centroid of drought. The analysis of drought map indicated that there was a drought event which had the affected area less than 10 % while on occations while there were 11 drought events (44 %) which had the affected area more a than 90 % of the total area. This means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variation of drought affected area and severity corresponding to various drought durations. The development of drought map based on three-dimensional drought analysis is useful to analyze the spatio-temporal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propagation patterns of regional drought which can be utilized in developing mitigation measures for future extreme droughts.

Towards an Integrated Drought Monitoring with Multi-satellite Data Products Over Korean Peninsular (위성자료를 활용한 한반도 전역의 가뭄 통합 모니터링 방안)

  • Kim, Youngwook;Shim, Changsub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3 no.6_1
    • /
    • pp.993-1001
    • /
    • 2017
  • Drought is a worldwide natural disaster with extensively adverse impacts on natural ecosystems, agricultural products, social communities and regional economy. Various global satellite observations, including SMAP soil moisture, GRACE terrestrial water storage, Terra and Aqua vegetation productivity, evapotranspiration, and satellite precipitation measures are currently used to characterize seasonal timing and inter-annual variations of regional water supply pattern, vegetation growth, drought events, and its associated influence ecosystems and human society. We suggest the satellite monitoring system development to quantify meteorological, eco-hydrological, and socio-ecological factors related to drought events, and characterize spatial and temporal drought patterns in Korea. The combination of these complementary remote sensing observations(visible to microwave bands) provide an effective means for evaluating regional variations in the timing, frequency, and duration of drought, and availability of water supply influencing vegetation and crop growth. This integrated drought monitoring could help national capacity to deal with natural disasters.

Development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to Predict Agricultural Reservoir Storage based on Naive Bayes Classification and Weather Forecast Data (나이브 베이즈 분류와 기상예보자료 기반의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 전망을 위한 저수율 예측 다중선형 회귀모형 개발)

  • Kim, Jin Uk;Jung, Chung Gil;Lee, Ji Wan;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12-112
    • /
    • 2018
  •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국부적인 혹은 광역적인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며 발생횟수 뿐 아니라 가뭄 심도 및 지속기간이 과거보다 크게 증가하여 그에 따른 피해가 커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히, 2014~2015년도의 유례없는 가뭄으로 인해 저수지 용수공급이 제한되면서 많은 농가들이 피해를 입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농업용 저수지를 대상으로 기상청 3개월 예보자료를 활용 할 수 있는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 다중선형 회귀 모형을 개발하여 저수율 전망정보를 생산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적용 가능한 저수율 다중선형 회귀 모형개발을 위해 5개의 기상요소(강수량, 최고기온, 최저기온, 평균기온, 평균풍속)와 관측 저수지 저수율을 활용했다. 기상자료는 2002년부터 2017년까지의 기상청 63개 지상관측소로부터 기상관측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율 전망 단계를 세 단계로 나누었다. 첫 번째 단계로 농어촌공사에서 전국 511개 용수구역을 대상으로 군집분석 및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통해 제시한 65개 대표저수지를 대상으로 기상자료 및 관측 저수율 자료를 이용하여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기상요소와 저수율을 독립변수로 하여 월별 회귀식을 산정한 결과 결정계수($R^2$)는 0.51~0.95로 나타났다. 두 번째 단계로 대표저수지의 회귀분석 결과를 전국의 저수지로 확대하기 위해 나이브 베이즈 분류법을 적용하여 전국 3098개의 저수지를 65의 군집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군집에 해당되는 월별 회귀식을 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전국 저수지로 산정된 회귀식과 농업 가뭄 예측을 위해 기상청의 GS5(Global Seasonal Forecasting System 5) 3개월 예보자료를 수집하여 회귀식에 적용해 2017년 전국 저수지의 3개월 저수율 전망정보를 생산하였다. 본 연구의 전국 저수지 군집결과 기반의 저수율 전망기술은 2017년도 관측 저수율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이 결과는 추후 농업용 저수지의 물 공급 및 농업가뭄 전망 자료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roundwater level behavior analysis using kernel density estimation (비모수 핵밀도 함수를 이용한 지하수위 거동분석)

  • Jeong, Ji Hye;Kim, Jong Wook;Lee, Jeong Ju;Chun, Gun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81-381
    • /
    • 2017
  • 수자원 분야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은 홍수, 가뭄 등 극치 수문사상의 증가와 변동성 확대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예년에 비해 발생빈도 및 심도가 증가한 가뭄에 대한 모니터링 및 피해경감을 위해 정부에서는 국민안전처를 비롯한 관계기관 합동으로 생활 공업 농업용수 등 분야별 가뭄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환경부는 생활 및 공업용수 분야의 가뭄정보 제공을 위해 광역 지방 상수도를 이용하는 급수 지역과 마을상수도, 소규모급수시설 등 미급수지역의 용수수급 정보를 분석하여 가뭄 분석정보를 제공 중에 있다. 하지만, 미급수지역에 대한 가뭄 예?경보는 기준이 되는 수원정보의 부재로 기상 가뭄지수인 SPI6를 이용하여 정보를 생산하고 있다. 기상학적 가뭄 상황과 물부족에 의한 체감 가뭄은 차이가 있으며, 미급수 지역의 경우 지하수를 주 수원으로 사용하는 지역이 대부분으로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SPI6를 이용한 가뭄정보로 실제 물수급 상황을 반영하기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급수지역의 주요 수원인 지하수의 수위 상황을 반영한 가뭄모니터링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가용량 분석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지하수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위 거동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가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국가지하수관측소 중 관측기간이 10년 이상이고 강우와의 상관성이 높은 관측소들을 선정한 후, 일수위 관측자료를 월별로 분리하여 1월~12월 각 월에 대해 핵밀도 함수 추정기법(kernel densitiy estimation)을 적용하여 월별 지하수위 분포 특성을 도출하였다. 각 관측소별 관측수위 분포에 대해 백분위수(percentile)를 이용하여, 25%~100% 사이는 정상, 10%~25% 사이는 주의단계, 5%~10% 사이는 심한가뭄, 5% 이하는 매우심함으로 가뭄의 단계를 구분하였다. 각 백분위수에 해당하는 수위 값은 추정된 Kernel Density와 Quantile Function을 이용하여 산정하였고, 최근 10일 평균수위를 현재의 수위로 설정하여 가뭄의 정도를 분류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관측소를 기점으로 역거리가중법(inverse distance weighting)을 통해 공간 분포를 시켰으며, 수문학적, 지질학적 동질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유역도 및 수문지질도를 중첩한 공간연산을 통해 전국 지하수 가뭄상태를 나타내는 지하수위 등급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실제 가뭄상황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언론기사를 통해 확인된 가뭄시기와 백문위수 25%이하로 분석된 지하수 가뭄시기를 ROC(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s) 분석을 통해 비교 검증하였다.

  • PDF

Elicitation of drought alternatives based on Water Policy Council and the role of Shared Vision Model (협의체 기반 가뭄 대응 대안 도출과 비전공유모형의 역할)

  • Kim, Gi Joo;Seo, Seung Beom;Kim, Young-Oh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6
    • /
    • pp.429-440
    • /
    • 2019
  • The numbers of multi-year droughts due to climate change are increasing worldwide. Boryeong Dam, located in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was also affected by a 4-year drought from 2014 to 2017. Since traditional unilateral decision making processes to alleviate drought damage have, until now, resulted in conflicts between many of the involved groups, the need for active participation from both stakeholders and policymakers is greater than before. This study introduced Shared Vision Planning, a collaborative decision making process that involves participation from various groups of stakeholders, by organizing Water Policy Council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Chungcheongnam-do. A Shared Vision Planning Model was then developed with a system dynamics software by working together with relevant stakeholders to actively reflect their requests through three council meetings. Multiple simulations that included various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were conducted, and future drought vulnerability analysis results of Boryeong Dam and districts, in terms of frequency, length, and magnitude, were arrived at. It was concluded that Boryeong Dam was more vulnerable to future droughts than the eight districts. While the total water deficit in the eight districts was not so significant, their water deficit in terms of spatial discordance was proved to be more problematic. In the future, possible alternatives to the model will be implemented so that stakeholders can use it to agree on a policy for possible conflict resol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