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뭄취약성

Search Result 14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velopment of a Shared Vision Model for Future Drought Vulnerability Analysis (미래 가뭄 취약성 분석을 위한 비전공유모형의 개발)

  • Kim, Gi Joo;Seo, Seung Beom;Kim, Yo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9-9
    • /
    • 2019
  • 기후변화로 인한 다년 가뭄은 매년 증가하여, 충청남도에 위치한 보령댐과 보령댐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는 지자체의 시민들 또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지속된 가뭄으로 인해 총 127일 동안의 생 공용수 급수조정으로 인한 불편함을 경험하였다. 지금까지 시행된 국내의 다양한 가뭄 피해 저감 정책 설립 과정은 대부분 일방적인 하향식(top-down) 의사결정 과정을 바탕으로 진행되었고, 이는 이해당사자와 정책결정자간의 갈등을 유발했다. 이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참여형(bottom-up) 의사결정 과정 중 하나인 비전공유계획을 충청남도 기후변화 적응 물관리정책 협의회를 통해 적용하였다. 또한, 비전공유계획의 핵심 요소인 비전공유모형을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형의 특성을 포함하여 개발하고자 STELLA Architect 소프트웨어로 보령댐 및 8개 지자체를 포함한 저수지 운영모형을 구축하였고, 총 3차례의 소위원회를 거쳐 수렴한 이해당사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개발한 모형을 보완하였다. 구축한 모형으로는 미래에 발생 가능한 가뭄의 위험을 포함하고 있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한 모의를 진행하였고, 보령댐과 보령댐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는 충청남도 서해수역 지자체의 가뭄으로 인한 취약성을 평균부족횟수, 평균부족기간, 평균부족량으로 표현하였다. 모의 결과, 보령댐은 8개 지자체보다 가뭄에 상대적으로 더 취약하며, 8개 지자체에서는 가뭄 대응 대책이 주로 계획되어 있는 지역과 모의에서 가뭄이 발생하는 지역의 불일치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른 평가지표에 비해 예측하기 어려운 평균회복기간에 대해서는 댐과 지자체에서 이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전공유모형을 통한 가뭄 취약성 분석 결과를 미래 회의에서 이해당사자와 공유하고, 용수 공급처과 수요처의 입장에서 용수 부족을 해소할 방안을 모형에 적용함으로써 미래 가뭄 대응 정책 수립 과정에는 참여형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 PDF

An Approach to Drought Vulnerability Assessment using TOPSIS Method (TOPSIS을 적용한 가뭄취약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LEE, Chang-Woo;SHIN, Hyung-Jin;KWON, Min-Sung;LEE, Gyu-Min;NAM, Sang-Hyeok;KANG, Mun-S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4
    • /
    • pp.102-115
    • /
    • 2019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nd apply a drought vulnerability assessment plan including various factors related to drought. The evaluation technique consisted of three stages: evaluation factor and weight selection, evaluation data database construction, evaluation data and weight combination, and Delphi investigation method was applied to evaluation factor and weight selection. As the evaluation method, the TOPSIS method, which is a widely used MCDM method, was used. The results of the drought vulnerability assessment were applied to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Sigun-gu, Korea from March 2016 to September 2019.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drought vulnerable areas were identified in Chungcheongbuk-do, Gyeongsangnam-do, and Jeollanam-do, and it was analyz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rought response plans for these areas.

Development of a decision scaling framework for drought vulnerability assessment of dam operation under climate change (Decision Scaling 기반 댐 운영 기후변화 가뭄 취약성 평가)

  • Kim, Jiheun;Seo, Seung Beom;Cho, Jaep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4
    • /
    • pp.273-284
    • /
    • 2023
  • Water supply is continuously suffering from frequent droughts under climate change, and such extreme events are expected to become more frequent due to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the decision scaling method was introduced to evaluate the drought vulnerability under future climate change in a wider range. As a result, the water supply reliability of the Boryeong Dam ranged from 95.80% to 98.13% to the condition of the aqueduct which was constructed at the Boryeong Dam. Furthermore, the Boryeong Dam was discovered to be vulnerable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s. Hence, genetic algorithm-based hedging rules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reduction effect of drought vulnerability. Moreover, three demand scenarios (high, standard, and low demand) were also considered to reflect the future socio-economic change in the Boryeong Dam. By analyzing quantitative reliability and the probability of extreme drought occurrence under 5% of the water storage rate, all hedging rules demonstrated that they were superior in preparing for extreme drought under low-demand scenarios.

Assessment of Hydrological Drought Risk Considering Regional Water Supply Capacity (지역적 용수공급능력을 고려한 수문학적 가뭄 위험도 평가)

  • Kim, Ji Eun;Yu, Jisoo;Lee, Joo-Heon;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52-152
    • /
    • 2020
  • 가뭄은 장기간에 걸쳐 광범위하게 발생하는 특징으로 인해 자연재해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도 큰 피해를 야기한다. 즉, 가뭄으로 인한 댐의 용수 공급 부족은 공업·농업뿐만 아니라 국민들의 생활에도 상당한 피해를 미친다. 하지만, 가뭄으로 인한 지역의 피해정도는 해당 지역의 특성 또는 가뭄에 대한 지역의 대처 능력에 따라 매우 상이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가뭄에 의한 피해를 저감시키고 안전한 용수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역의 특성 및 용수 공급 체계를 고려한 위험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며, 사람들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높은 물수급 관련 인자들을 고려하여 가뭄의 잠재적 영향 및 피해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가뭄 위험도 평가가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용수공급 및 수요 현황을 반영한 가뭄 노출성 및 취약성 평가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며, 각 인자에 대한 가중치를 산정하는데 설문조사 또는 단순평균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용수공급 체계 및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고 객관적인 가중치 산정방안이 적용된 확률·통계적 가뭄 위험도를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용수공급 실패 사상의 발생 확률이 적용된 결합가뭄관리지수(Joint Drought Management Index, JDMI)를 통해 가뭄노출성지수(Drought Hazard Index, DHI)를 산정하고, 각 인자에 대한 영향정도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가우스 혼합 모델을 활용하여 가뭄취약성지수(Drought Vulnerability Index, DVI)를 산정하였다. 이 두 지수를 결합하여 가뭄위험도지수(Drought Risk Index, DRI)를 계산하고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충청지역에 적용한 결과, DHI는 용수공급 실패 사상의 발생확률이 큰 보령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DVI는 농업적 요소의 가중치가 크게 산정됨에 따라 청주시가 가장 높게 산정되었다. DHI와 DVI가 결합된 DRI의 경우는 청주시가 가장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DRI가 가장 높은 청주시는 충정 지역의 가뭄 위험 경감을 위한 대응 수립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 PDF

Drought risk assessment considering regional socio-economic factors and water supply system (지역의 사회·경제적 인자와 용수공급체계를 고려한 가뭄 위험도 평가)

  • Kim, Ji Eun;Kim, Min Ji;Choi, Sijung;Lee, Joo-Heon;Kim, Tae-Wo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8
    • /
    • pp.589-601
    • /
    • 2022
  • Although drought is a natural phenomenon, its damage occurs in combination with regional physical and social factors. Especially, related to the supply and demand of various waters, drought causes great socio-economic damage. Even meteorological droughts occur with similar severity, its impact varies depending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water supply system. Therefore, this study assessed regional drought risk considering regional socio-economic factors and water supply system. Drought hazard was assessed by grading the joint drought management index (JDMI) which represents water shortage. Drought vulnerability was assessed by weighted averaging 10 socio-economic factors using Entrop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Gaussian Mixture Model (GMM). Drought response capacity that represents regional water supply factors was assessed by employing Bayesian networks. Drought risk was determined by multiplying a cubic root of the hazard, vulnerability, and response capacity. For the drought hazard meaning the possibility of failure to supply water, Goesan-gun was the highest at 0.81. For the drought vulnerability, Daejeon was most vulnerable at 0.61. Considering the regional water supply system, Sejong had the lowest drought response capacity. Finally, the drought risk was the highest in Cheongju-si. This study identified the regional drought risk and vulnerable causes of drought, which is useful in preparing drought mitigation policy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Drought Vulnerability Index Using Delphi Method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Trend Analysis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유역의 기후변화를 고려한 경향성 분석과 Delphi 기법을 이용한 가뭄 취약성 지수 개발)

  • Yang, Jeong-Seok;Kim, Il-Hwa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6
    • /
    • pp.2245-2254
    • /
    • 2013
  • A vulnerability index was developed for drought by using trend analysis and Delphi method. Twelve indicators were selected based on three groups, i.e., hydrological, meteorological, and humanistic groups. Data were collected from Nakdong river watershed. Three trend tests, i.e., Mann-Kendall, Hotelling-Pabst, and Sen's trend tests, were performed for standardizing the indicators and Delphi method was used to estimate the weights for individual indicators. The drought vulnerability index was calculated for seven regions in the Nakdong watershed and Hapcheon turned out to be the most vulnerable region among the study regions. The drought vulnerability index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other regions in Korea for establishing national water resources management plan.

Drought Assessment with SPI and DRI in Uiryeong-Gun (SPI와 DRI를 활용한 의령군 지역의 가뭄 평가)

  • Kwak, Jesang;Kim, Gwangseob;Jung, Younghun;Um, Myoung-Ji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4
    • /
    • pp.457-467
    • /
    • 2022
  • Drought has strong local characteristics, an objective definition or standard that can define the progress or severity of drought is needed and to date, many drought-related studies are being conducted around the world. In this study,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which is a representative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was calculated, and the drought risk index (DRI) that can consider actual drought was applied to the target area, Uiryeong-gun, by applying the drought vulnerability index (DVI) and the drought hazard index (DHI). A method for practical drought evaluation that can establish a water supply system is presented in this study.

Assessment drought characteristics of Chungmi watershed according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청미천 유역의 가뭄 특성 파악)

  • Won, Kwang Jai;Chung, Eun-Sung;Kim, Sang Ug;Son, Min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19-219
    • /
    • 2016
  • 기후변화에 따른 청미천 유역의 가뭄 특성을 평가한 연구로 가뭄의 발생은 여러 요소가 연속적인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가뭄지수 산정에 내재되어 있는 복잡성 및 불확실성으로 인해 다양한 가뭄지수를 적용하였다. 그 중 기상학적 가뭄지수는 강수량을 이용하여 산정하는 SPI(Standardiz d Precipitation Index)와 강수량과 증발산량을 바탕으로 산정하는 SPEI(Standardiz d Precipitation Evaportranspiration Index), 유효토양수분량을 바탕으로 산정하는 농업학적 가뭄지수인 PDSI(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유출량을 이용하여 산정하는 수문학적 가뭄지수인 SDI(Streamflow Drought Index)의 지속기간 3개월, 6개월, 9개월에 따른 과거(1985년부터 2015년) 및 미래(2016년부터 2099년)의 가뭄특성을 파악하였다. 미래의 경우 기후변화 시나리오인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4.5와 8.5를 이용하였으며, 농업학적 및 수문학적 가뭄지수는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 모의를 통해 산출된 결과를 토대로 산정하였다. 과거 기간의 가뭄지수 산정 결과, 2015년과 2014년이 극한 및 평균 가뭄의 평균에서 가장 극심한 가뭄을 나타냈으며, PDSI를 제외한 각 가뭄지수 간에는 높은 상관정도를 보였다. 과거를 포함한 미래 가뭄의 경우 현재(2011년부터 2020년까지), 가까운 미래(2021년부터 2040년까지), 중간 미래(2041년부터 2070년까지), 먼 미래(2071년부터 2099년까지)로 나누어 가뭄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현재의 경우 과거 기간의 가뭄과는 달리 2018년이 가뭄에 취약했으며, 극한 및 평균 가뭄의 평균에서 두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가까운 미래와 중간미래가 취약함을 나타냈다. 상관계수의 경우 과거 결과와 마찬가지로 PDSI를 제외한 각 가뭄지수 간에 높은 상관정도를 나타냈다. 또한 빈도해석 결과 RCP 4.5에서 더 큰 변동성을 보였다. 현저히 적은 강수 및 기온 상승으로 인한 증발산량의 증가 등으로 인해 최근 들어 가뭄의 정도가 심해졌으며, 미래에는 더욱 더 심해질 전망으로 보여진다. 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본 결과에서 보듯이 각 각의 가뭄지수는 극한 가뭄의 발생 시기 및 강도에서 각기 다른 차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가뭄 평가 시 다양한 형태의 가뭄지수 활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Vulnerability Assessment on Spring Drought in the Field of Agriculture (농업지대 봄 가뭄에 대한 취약성 평가)

  • Lee, Yong-Ho;Oh, Young-Ju;Na, Chae-Sun;Kim, Myung-Hyun;Kang, Kee-Kyung;Yoon, Seong-Tak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4 no.4
    • /
    • pp.397-407
    • /
    • 2013
  • Seasons in Korea have very distinguishable features. Due to continental high pressure, spring in Korea is dry and has low precipitation. Due to climate change derived from the increase of greenhouse gases, climate variability had increased and it became harder to predict. This caused the spring drought harsher than usual. Since 1990s, numbers of chronic drought from winter to spring increased in southern regions of Korea. Such drought in the spring damage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rops sown in the spring and decreases its quantity. For stable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assess vulnerabi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pring drought and agricultural production as well as to establish appropriate measures accordingly. This research used CCGIS program to perform vulnerability assessment on spring drought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 SRES A1B, A1FI, A1T, A2, B1, B2 and RCP 8.5 in 232 regions in Korea. As a result, Every scenario showed that vulnerability of spring drought decreased from 2000s to 2050s. Ratio of decrease was 37% under SRES scenario but, 3% under RCP 8.5 scenario. Also, for 2050 prediction, every scenario predicted the highest vulnerability in Chungcheongnam-do. However, RCP-8.5 predicted higher vulnerability in Gyeonggi-do than SRES scenario. The reason for overall decrease in vulnerability of agriculture for future spring drought is because the increase of precipitation was predicted. The assessment of vulnerability by different regions showed that choosing suitable scenario is very important f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