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뭄빈도

Search Result 35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tection and Monitoring of Multi Natural Disaster Considering on Heatwave and Drought (폭염 및 가뭄을 고려한 복합자연재해 감지 및 모니터링)

  • Lee, Hee-Jin;Nam, Won-Ho;Jeon, Min-Gi;Svoboda, Mark D.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11-311
    • /
    • 2022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및 산업화로 인해 대규모 홍수, 가뭄, 폭염, 산불 등의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재해 및 재난을 조기에 발견하고 최소화를 위한 대응 체계 및 관리방안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들의 특징은 추가 재해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으로 재해의 강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재난 및 재해를 동시에 유발하는 형태로 변화하기 때문에, 단일자연재해 평가 기술을 바탕으로 복합자연재해에 대한 분석 및 감지가 진행되어야 한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 패턴의 변화 및 가뭄 발생빈도의 증가가 뚜렷하며, 국외에서는 폭염과 가뭄을 고려한 복합자연재해로 'Flash Drought'로 정의된 돌발가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폭염과 가뭄은 단순 강우 부족으로 인한 가뭄, 높은 기온으로 인한 폭염 등이 서로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와 강우부족과 폭염의 지속으로 인한 상호연관성이 존재하는 복합자연재해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돌발가뭄은 강수 부족 또는 폭염이 지속되거나 강도가 높아질 경우, 지면온도가 상승하여 토양수분이 필요 이상으로 증발하여 단기간에 발생하는 초단기 가뭄으로 복합자연재해에 해당하며, 이러한 돌발가뭄은 농업분야에서 작물 생장 및 영농기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모니터링 및 감지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기상학적 요소를 활용하여 폭염 및 가뭄을 고려한 복합자연재해에 대한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자료(일최고기온/평균기온/최저기온, 강수량, 상대습도, 일조량 등)에 대한 전국 76개소 대상 기상자료를 구축하였으며, Sentinel, Landsat,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등과 같은 위성영상 자료를 구축하여 폭염과 가뭄에 대한 각각의 인자를 선정하고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복합자연재해 감지 및 예측 기술 개발에 활용하여 재해 예방 및 대응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Outlook of Agricultural Drought in Jeonju Area under the RCP8.5 Projected Climate Condition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근거한 전주지역의 농업가뭄 전망)

  • Kim, Dae-jun;Yun, Jin I.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7 no.4
    • /
    • pp.275-280
    • /
    • 2015
  • In order to figure out the future drought characteristics of the Jeonju plains, the major crop production area in Korea, daily agricultural drought indexes based on soil water balance were calculated for the relevant 12.5 km by 12.5 km grid cell using the weather data generated by the RCP8.5 climate scenario during 1951-2100. The calculations were grouped into five climatological normal years, the past (1951-1980), the present (1981-2010), and the three futures (2011-2040, 2041-2070, and 2071-2100). Results showed that the soil moisture conditions in early spring, worst for both the past and present normal years, will ameliorate gradually in the future and the crop water stress in spring season was projected to become negligible by the end of this century. Furthermore, the drought frequency in early spring was projected to diminish, resulting in rare occurrence of spring drought by that time. However, the result also showed that the soil moisture conditions during the summer season (when most crops grow in Jeonju plain) will deteriorate and the drought incidence will be more frequent than in the past or present period.

Assessment of CMIP5 GCMs for future extreme drought analysis (미래 극한 가뭄 전망을 위한 CMIP5 GCMs 평가)

  • Hong, Hyun-Pyo;Park, Seo-Yeon;Kim, Tae-Woong;Lee, Joo-He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7
    • /
    • pp.617-627
    • /
    • 2018
  • In this study, CMIP5 GCMs rainfall data (2011~2099) based on RCP scenarios were used to analyze the extreme drought evaluation for the future period. For prospective drought assessment, historical observations were used based on the Automated Surface Observing System (ASOS) data (1976~2010)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indicators, such as average annual rainfall, rainy days, drought spell, and average drought severity was carried out for the drought evaluation of the five major river basins (Han river, Nakdong river, Geum river, Sumjin river, and Youngsan river) over the Korean peninsula. The GCMs that predicted the most severe future droughts are CMCC-CMS, IPSL-CM5A-LR and IPSL-CM5A-MR. Moderate future droughts were predicted from HadGEM2-CC, CMCC-CM and HadGEM2-ES. GCMs with relatively weak future drought forecasts were selected as CESM1-CAM5, MIROC-ESM-CHEM and CanESM2.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be used as a fundamental data to choose a reasonable climate change scenario in future extreme drought evaluation.

Comparison of Drought Index of Agricultural Reservoir by Period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량 자료 기간별 가뭄지수 비교)

  • KIM, Sun Joo;BARK, Min Woo;KANG, Seung mook;KWON, Hyung J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91-391
    • /
    • 2018
  • 가뭄은 일반적으로 강수량의 부족에 기인하며, 수자원의 이용 및 관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자연재해이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우리나라의 연 평균 강수량은 각각 1,162mm, 1,173mm, 948mm로 평년대비 89.0%, 89.8%, 72.1%의 적은 강수를 보였다. 이는 마른장마, 평년보다 적게 발생한 태풍 등의 영향 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강수의 부족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에 가뭄의 대처방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고, 가뭄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가뭄은 크게 수문학적, 기상학적, 농업적 가뭄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기준에 따라 다양한 변수들을 이용한 지표들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가뭄 지표는 가뭄을 평가하고 대비하기 위한 의사결정에 유용한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농업적 가뭄은 강우부족, 실제와 잠재증발산량의 차이, 토양수분 부족, 저수지 또는 지하수위의 저하 등 농작물의 생육과 수확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을 고려하여 평가해야 하며, 이러한 특성들을 고려한 가뭄 지수로는 저수지 가뭄지수(RDI), 토양수분지수(SMI), 통합농업가뭄지수(IADI) 등이 개발되었다. 저수지 가뭄지수는 가뭄발생의 위험과 크기를 순별 가용저수량의 빈도를 이용하여 나타낸 가뭄 지표이다. 따라서 가뭄 지표를 산정하는데 사용된 자료의 기간에 따라 그 값의 차이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 10개년, 20개년, 30개년 기간의 백산저수지 농업지구 저수량 자료를 사용하여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의 저수지 가뭄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각각 비교하였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2년 ~ 2015년에 가뭄을 나타내고 있었고 특히,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가뭄지수가 -4.1으로 가장 심한 가뭄을 나타내었다. 1996년부터 2015년까지 2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2 ~ 2015년에 가뭄을 나타내며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가뭄지수는 각각 -0.9, -1.0으로 10개년의 기간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완화된 모습을 보였다. 1986년부터 2015년까지 3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가뭄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경우 각각 -1.7, -1.0으로 20개년 자료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심한 가뭄을 나타내지만, 10개년 자료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완화된 가뭄을 나타내었다. 백산저수지의 경우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가뭄이 발생하였으나, 용수공급이 불가능 할 정도의 가뭄이 발생하지는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30개년 자료를 사용한 가뭄지수가 이와 가장 근사한 가뭄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 PDF

Assessment of Seasonal Forecast Skill of Springtime Droughts over Northeast Asia in Climate Forecast Models (기후 예보 모델의 동북아시아 봄철 가뭄 예측성 연구)

  • Jonghun Kam;Byeong-Hee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2-42
    • /
    • 2023
  • 최근 IPCC 6차 보고서에서는 전 지구의 온도가 0.5℃가 증가할 때마다 기상학적 가뭄 지역이 증가하며, 인위적 강제력은 가뭄 현상의 강도와 빈도를 증가하는 것으로 밝혔다. 봄철(3월-5월) 동남아시아(남중국, 필리핀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건조한 동북아시아(동중국, 한반도, 일본) 지역은 가뭄에 취약하며 기후 변화에 따라 가뭄으로 인한 피해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므로 이 지역은 봄철 가뭄으로 인한 피해를 완화하기 위해 봄철 강수량에 대한 신뢰할 만한 계절적 예보 기술이 꼭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992-2022년 봄철의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SPI) 값을 기준으로 2001년과 2011년 동북아시아 가뭄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각 해의 3월에 관측된 기상학적 초기 조건으로부터 다중 기후 예보 모델들의 봄철 강수량의 계절적 예측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관측자료로부터 2001년 가뭄은 동북아시아 대기 상층의 저기압성 순환의 강화로 인한 제트류(Jet stream)의 강화와 연관되어 있었으며, 2011년 가뭄은 제트류 강화와 함께 태평양 열대 지역 기류 강화가 동반되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North American Multi-Model Ensemble 기후 예보 모델들은 2011년 가뭄에 비해 2001년 가뭄에 대한 예측성이 높았으며, 그 이유로는 대기 상층 순환의 예측성과 연관이 있음을 밝혔다. 또한, 봄철 대기-해양 상호 패턴을 관측과 유사하게 재현한 GFDL-SPEARS 모델이 가뭄 해의 대기 상층 저기압성 순환과 강수 예측성이 가장 높은 것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통해 동북아시아 봄철 가뭄과 같은 극한 기상의 강수량 예측성 향상에 있어서 기후 예보 모델들의 현실적인 대기-해양 결합 과정 모사 능력의 중요성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안들은 기후 예측 모델 개선을 위한 전략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 PDF

Probabilistic Analysis of Drought Propagation Over The Han River Basin Under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 유역의 확률론적 가뭄 전이 분석)

  • Muhammad, Nouman Sattar;Kim, Ji-Eun;Lee, Joo-Heon;Kim, Tae-Wo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1
    • /
    • pp.155-163
    • /
    • 2019
  • The knowledge about drought propagation is very important in accurate estimation of hydrological drought characteristics and efficient development of early warning system. This study investigated a probabilistic relationship of drought propagation based on Bayesian network model for historic period and for future projection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 RCP 8.5 over the Han River basi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pagation rate and lag time have increasing and decreasing trends from the historic period of 1967-2013 to the future periods of 2014-2053 and 2054-2100 under climate change, respectively. The probabilistic results of Bayesian model revealed that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lag time varied spatially and decreased when the intensity of meteorological drought changed from moderate to severe and extreme condition during 1967-2013. The values of probability increased in the first future period of 2014-2053 in several sub-basins and slight decreased in the second period of 2054-2100. The proposed probabilistic results will be useful for the decision makers to develop related policies with an appropriate insight toward the future drought status.

Characteristics of SWAP Index-based Drought-Flood Abrupt Alternation Events in the Han River Basin (SWAP 지수를 이용한 가뭄-홍수 급변사상의 특성 분석: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 Son, Ho Jun;Lee, Jin-Young;Yoo, Jiyoung;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99-399
    • /
    • 2021
  • 최근 전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 홍수, 태풍 등 자연재해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강수량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가뭄과 홍수가 단기간에 번갈아 가며 발생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가뭄과 홍수가 짧은 기간 동안에 교차해서 발생하는 급변사상은 예측하기 어려우며, 갑작스럽게 중첩되는 재난으로 인명과 재산피해 뿐 아니라 생태계에까지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 강수량 자료를 바탕으로 표준가중평균강수지수(Standard Weighted Average Precipitation, SWAP)를 산정하고 한강 유역의 가뭄-홍수 급변사상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1966년부터 2018년까지의 한강유역 중권역별 면적평균강수량과 가중치, 이전 강수량의 영향을 받는 일수를 바탕으로 SWAP를 산정하였다. SWAP 지수가 10일 연속 -1 미만일 때를 가뭄이라 정의하고, 이후 SWAP 지수가 7일 연속 0.5 이상이면 가뭄사상이 종료된다고 판정하였다. 또한 SWAP 지수가 10일 연속 +1 초과일 때를 홍수라고 정의하고, SWAP 지수가 7일 연속 -0.5 이하가 되면 홍수사상이 종료된다고 판정하였다. 가뭄-홍수 급변사상이란 가뭄의 종료시점과 홍수의 시작시점의 차이가 5일 이내일 경우에 해당한다. 급변사상의 전·후로 강수량이 얼마나 급격하게 차이 나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급변 시점 전·후 5일의 누적 SWAP 지수인 심각도 K(Severity)를 분석지표로 활용하였다. K를 통해 한강유역 가뭄-홍수 급변사상의 시·공간적 분포를 분석하고 미래의 급변사상의 발생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한강 유역의 24개 중권역 중에서 18개의 중권역이 가뭄-홍수 급변사상의 심각도가 점점 상승하는 추세이고, 가장 심각도 상승폭이 높은 중권역은 홍천강(1014)으로 첫 사상인 1967년부터부터 2015년의 마지막 사상까지 약 55% 정도 상승하였다.

  • PDF

Non-Parametric Low-Flow Frequency Analysis Using RCPs Scenario Data : A Case Study of the Gwangdong Storage Reservoir, Korea (RCPs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한 비매개변수적 갈수빈도 해석: 광동댐 유역을 중심으로)

  • Yoon, Sun Kwon;Cho, Jae Pil;Moon, Young I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4
    • /
    • pp.1125-1138
    • /
    • 2014
  • In this study, we applied an advanced non-parametric low-flow frequency analysis using boundary kernel by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s) climate change scenarios through Arc-SWAT long-term runoff model simulation at the Gwangdong storage reservoir located in Taeback, Gangwondo. The results show that drought frequency under RCPs was expected to increase due to reduced runoff during the near future, and the variation of low-flow time series was appeared greatly under RCP8.5 scenario, respectively. The result from drought frequency of Median flow in the near future (2030s) compared historic period, the case of 30-year low-flow frequency was increased (the RCP4.5 shows +22.4% and the RCP8.5 shows +40.4%), but in the distant future (2080s) expected increase of drought frequency due to the reduction of low-flow (under RCP4.5: -4.7% and RCP8.5: -52.9%), respectively. In case of Quantile 25% flow time series data also expected that the severe drought frequency will be increased in the distant future by reducing low-flow (the RCP4.5 shows -20.8% to -60.0% and the RCP8.5 shows -30.4% to -96.0%). This non-parametric low-flow frequency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RCPs scenarios have expected to consider to take advantage of as a basis data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countermeasures of climate change in the mid-watershed over the Korean Peninsu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