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막만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3초

2007년 가막만의 해양수질 및 저질의 계절 변동에 관한 연구 (Study of Characteristics of Seasonal Fluctuation of Water Quality and Sediment Environment in Kamak Bay in 2007)

  • 조현서;조근옥;박정채;김해주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29-132
    • /
    • 2008
  • 가막만 해양수질 및 저질의 계절적 변동에 관한 조사를 위해 2007년 5월부터 2008년 2월까지 가막만의 20개 정점을 선정하여 계절별로 관측하였다. 용존산소(DO)는 표층에서$4.83\sim11.07mg/L$와 저층에서 $4.70\sim11.19mg/L$, 화학적 산소요구량은(COD)은 표층에서 $0.16\sim2.03mg/L$와 저층에서 $0.10\sim1.55mg/L$, 용존무기질소는 표층에서 $0.01\sim22.06{\mu}g$-at/L와 저층에서 $0\sim15.21{\mu}g$-at/L, 용존무기인(DIP)은 표층에서 $0\sim3.04{\mu}g$-at/L와 저층에서 $0\sim2.01{\mu}g$-at/L의 농도를 보였다. 퇴적물에서의 강열감량은(IL)은 $3.80\sim9.78%$, 산 휘발성 황화물은(AVS)은 $0\sim5.37mg/g$-dry 그리고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은 $3.09\sim41.01mg/g$-dry의 농도분포를 보였다.

  • PDF

2017년 한국 가막만 북서내만해역 빈산소수괴 발생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Hypoxic Water Mass Occurrence in the Northwestern Gamak Bay, Korea, 2017)

  • 정희호;최상덕;조현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08-720
    • /
    • 2021
  • 가막만 북서내만해역에서 매년 여름 발생하는 빈산소수괴는 해양환경에 악영향을 미쳐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빈산소수괴 발생시기의 집중적인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MRA)을 이용하여 빈산소수괴의 종합적인 발생 메커니즘을 밝혀내고, 그 주요인에 따른 빈산소수괴 관리방안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2017년 첫 빈산소수괴는 6월 26일에 발생하였으며, 기상 조건에 의한 수온약층의 형성과 퇴적된 유기물의 영향으로 형성되었다. 이어 7월 12일에는 강우량의 증가에 의한 염분약층의 형성으로, 조사 시기 중 빈산소수괴가 수직 및 수평적으로 가장 크게 확장되었다. 그리고, 8월 8일에는 소량의 강우로 빈산소수괴가 크게 약화되었으며, 이때 주 요인은 Chlorophyll-a 농도 증가(식물플랑크톤 증식)과 퇴적된 유기물이었다. 그리고, 약 1주일 후인 8월 16일에는 많은 강우량에 기인한 매우 안정된 염분약층과 Chlorophyll-a 농도 증가(식물플랑크톤 증식)에 의해 크게 확장된 빈산소수괴가 재발생하였다. 이후 9월 13일의 빈산소수괴 소멸시기에서는 빈산소수괴가 해저 면을 따라 얕게 확장되었으며, 퇴적된 유기물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빈산소수괴 관리를 위해서는 퇴적된 유기물의 개선뿐만 아니라 성층의 완화 기술이 필요함을 암시하였다.

광양만의 해수 교환

  • 최병호;김동철;고진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6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84-88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전회의 남해도해역조석수치모형(최 등, 1995)을 확장하여 가막양이 포함되도록 조석수치모형을 수립하였다. 개체 식별 가능한 다수의 입자가 M$_2$ 조석 주기 동안 이동되도록 수치실험을 행하였고 여수해만 입구와 노량수도 및 창선해협과 대방수도를 경계로 교환량을 평가하고 광양만 및 진주만의 해수 교환률을 산정하였다. 95년 7월의 씨프린스호 사고에 이어 7월 17일 호남정유의 호남 사파이어호의 누출유 사고는 18일 밤부터 여수시 돌산대교를 거쳐 청정해역인 가막양으로까지 확산되었는바 본 고에서는 광양만 일대의 오염물질 확산거동을 수치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초기단계의 과업을 수행하였다. (중략)

  • PDF

2007년 가막만 먹이생물의 변동

  • 오현주;김숙양;김상수;정창수;김병만;임창용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68-169
    • /
    • 2008
  • 해양환경의 변화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변동 특성을 파악하고자 해양환경변화에 따른 먹이생물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수온은 하계에 높고 동계에 낮았으며, 염분은 동계에 높고 하계에 낮은 계절변동을 보였다. 용존산소는 하계 내만에서 3 mg/L 이하의 빈산소 수괴가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춘계인 5월에 4,500 cells/L이상으로 가장 높았으나, 6월에 급격히 낮아졌다.

  • PDF

충남연안키조개의 분포 및 생태

  • 홍승현;마채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601-602
    • /
    • 2001
  • 키조개는 우리 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인도, 태평양 연안에 널리 분포하는 자원으로 우리 나라에서는 남해안의 가막만, 여자인 장흥연인 남해도 연안과 서해안의 위도근해, 충남연안, 인천의 선갑도근해 등지에 많이 서식하고 있다. 우리나라 연안에서 키조개자원의 생산은 일반해면어업에서의 총생산량 6,456mt 가운데 77%(5,006mt) 이상이 충남 연안해에 집중되어 있으며 (수산통계연보, 1998), 잠수기어업에 의해 주로 생산되어 전량 수산업협동조합을 통해 위판되고 있다. (중략)

  • PDF

고성만 참굴의 개체군 역학모델

  • 오경희;방익찬;최광식;김윤;김성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614-615
    • /
    • 2001
  • 참굴 개체군 역학모델은 양식장의 환경요인들과 생물학적인 요인들이 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Powell et al.(1992)과 Hofmann et al.(1992)등이 미국산 참굴인 Crassostrea viginica에 적용하면서 개발되었다. 이후 Kobayashi et al.(1997)가 일본산 참굴인 Crassostrea gigas에 적용시키면서 발전되어 왔고, 우리나라에서는 현등(2001)이 가막만에서 참굴의 최적정수용량을 파악하기 위해 적용하면서 처음 시도되었다. (중략)

  • PDF

충남 인근해역 키조개, Artrina pectinata의 자원생태학적 연구

  • 이재봉;홍승현;임양재;황학진;고태승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04-405
    • /
    • 2001
  • 홍합목 키조개과의 이매패에 속하는 키조개(Atrina pectinata)는 주로 수심 5m 이상의 깊은 펄 바닥에 무리를 지어 서식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남해안의 보성만 광양만, 가막만 여자만과 서해안의 위도근해, 충남연안 인천의 선갑도 근해 둥에서 많이 서식하며, 주 분포지역은 충남 인근해역이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나라 연안에서 키조개 자원의 생산은 일반해면어업에서의 키조개 총 생산량 가운데 64% 이상이 충남 연안해에 집중되어 있다. (중략)

  • PDF

충남 연안 키조개, Artrina pectinata의 연령과 성장

  • 임양재;홍승현;황학진;고태승;박영철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02-403
    • /
    • 2001
  • 키조개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인도, 태평양 연안에 널리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남해안의 가막만, 여자만, 장흥연안, 남해도 연안과 서해안의 위도근해, 충남연인 인천의 선갑도 근해 등에서 많이 서식하며 주 분포지역은 충남 연안이다. 이들의 서식수심은 조하대의 얕은 바다로부터 수심 40여 미터의 깊은 곳까지 서식하고 있다. (중략)

  • PDF

Box Model을 이용한 가막만의 물질체류시간과 Net Ecosystem Metabolism (Dissolved Nutrient Balance and Net Ecosystem Metabolism Using a Simple Box Model in Gamak Bay, Korea)

  • 엄기혁;이원찬;박성은;홍석진;김형철;조윤식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7-263
    • /
    • 2011
  • SBM을 이용하여 2006년 가막만의 담수, 염분, 영양염 등 물질 수지를 산정하였다. 담수유출량은 $-174.2{\sim}72.5{\times}10^3m^3/day$로 나타났으며 개방경계에서의 해수 교환에 의한 mixing volume은 $-2.4{\times}10^7\sim4.9{\times}10^7m^3/day$로 만 내외의 염분차이에 의해 크게 좌우 받았다. 육상기인 DIP와 DIN의 유입 flux의 범위는 397.0~1158 mole/day 및 1750~8328 mole/day의 범위로 다른 지역에 비해 낮았다. DIP의 소실 또는 생성은 물수지의 변동에 의해 크게 좌우 되는 특징을 보였으며, 또한, 물질체류시간에 의해 물질수지가 크게 좌우되어 NEM도 크게 달라지는 결과를 보였다.

6월중 가막만의 수온, 염분 및 투명도 분포 (Distribution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Transparency in Kamak Bay on June)

  • 이규형;최규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7-165
    • /
    • 1985
  • 어장환경관리의 기본자료를 얻기 위하여 1984년 6월중에 가막만에서 실시한 해양관측자료를 가지고 상기만의 밀물과 썰물시 해황분포를 알아보고 그 특성이 지형적 요인에 의해 크게 좌우됨을 살폈다. 가막만은 두개의 만구와 돌출한 도서 및 지세 등 그 지형적 여건에 의해 4개의 특징적 수괴가 나타난다. 내만수는 내륙의 영향이 강한 정체성을, 여수항수는 섬진강 영향이 큰 저염의 외해성을, 만외수는 해저난류 또는 와류발생으로 수직균질한 외해성을, 중간수는 만외수와 내만수의 중간성격이다. 밀물때 양만구로 유입한 해수는 대략 소경도와 항대를 연결하는 선에서 만난다. 군내리근에서는 지형성 와류 혹은 해저난류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밀물때는 해수의 침강이, 썰물때는 저층수의 특성치가 보여지며 그 크기는 약 3 km 까지 뻗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