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려움증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4초

HaCaT 세포주에서 Picea wilsonii Mast의 항염효과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icea wilsonii Mast on HaCaT Cells)

  • 차경재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65-370
    • /
    • 2016
  • 아토피피부염은 가려움증을 보이는 만성의,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상태를 말하며 천식, 식품 알레르기, 알레르기 비염 등과 같은 다른 알레르기 질환보다 먼저 발생하고 다양한 면역학적 이상과 이로 인한 다양한 속발 증상도 갖고 있는 만성 재발성의 습관성 질환이다. 본 연구는 TNF-${\alpha}$와 IFN-${\gamma}$로 유도된 HaCaT 세포주를 이용하여 농도별로 PwM 천연물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아토피피부염과 관련된 염증성 사이토카인 즉, IL-6, IL-8, IL-13, MCP-1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IL-6, IL-13, MCP-1의 생산량은 PwM 천연물에 의해 감소하였고 IL-8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앞으로의 연구는 해외생물소재를 활용한 아토피피부염 및 염증에 효과적인 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하는 것이며 단백질 분석과 기전 연구를 통해 보다 객관적인 검증이 더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30~50대 중장년층 남성의 생활과 샴푸 습관이 지루성 두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무직 군무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A study on how lifestyle and shampoo habits affect middle-aged men with seborrheic Scalp - especially office workers)

  • 이종열;유선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701-707
    • /
    • 2016
  • 본 연구는 지루성 두피염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30~50대 남성 150명을 대상으로 생활 습관과 샴푸 습관이 지루성 두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지루성 두피의 주요 원인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두피 가려움증과 과다 유분, 두피 뾰루지, 두피 붉은 증상에 대하여 샴푸 시기와 잦은 피로감은 모든 증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p<0.01), 샴푸 시기, 잦은 피로감, 규칙적인 출 퇴근, 스트레스 민감, 헤어스타일 제품사용 유 무와 같은 생활과 샴푸 습관은 지루성 두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사무직 군무 종사자들의 생활과 샴푸 습관이 지루성 두피의 발생원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특히 샴푸 습관과 샴푸의 불완전한 세정 및 모발 건조에 의한 습진이 지루성 두피 발생의 일차적인 원인이 되고, 불규칙적인 출 퇴근과 잦은 피로감, 만성 스트레스가 지루성 두피의 이차적 악화 원인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얼굴 통증과 가려움증을 동반한 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자에서 나비입천장 신경절 고주파 열응고술 -증례보고- (The Sphenopalatine Ganglion Radiofrequency Thermocoagulation on a Patient of CRPS with Facial Pain and Pruritus -A report of 2 cases-)

  • 박승재;문동언;김원영;박정주;조은정;양석우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9권2호
    • /
    • pp.228-232
    • /
    • 2006
  •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type 1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pain, which is severe, diffuse and associated with allodynia, and is also associated with autonomic and trophic changes. The sensitization phenomena of CRPS also cause allodynia and itching, as well as pain. These symptoms are the issues associated with the treatment of CRPS. Under normal conditions, an antagonistic interaction exists between the pain and itching, but the patterns of peripheral and central sensitization phenomena for the pain and itching are very similar. The chronic pain and chronic itch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in their developmental and therapeutical principles. Herein, our experience of 2 cases of CRPS, which showed improvement of these facial symptoms after sphenopalatine ganglion radiofrequency thermocoagulation, but were not controlled by spinal cord stimulation or other conservative treatments, is reported.

경막외 Naloxone 투여가 경막외 Sufentanil에 의한 가려움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pidural Naloxone on Pruritus Induced by Epidural Sufentanil)

  • 임의성;김기준;윤주선;남순호;공명훈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0권2호
    • /
    • pp.123-129
    • /
    • 2007
  • Background: Postoperative pruritus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of epidural narcotics is a very common and undesirable side effect. Therefore, we evaluated the use of a combination of naloxone and sufentanil via patient controlled epidural analgesia to determine if the incidence of pruritus was decreased when compared to the use of sufentanil alone. Methods: Patients scheduled for subtotal gastrectomy under general anesthesia were enrolled in a prospective, double-blinded and randomized trial. All patients received a $20{\mu}g$ epidural bolus of sufentanil in 5 ml of 0.2% ropivacaine. Following administration of the epidural, patients in the sufentanyl group (S) received a continuous epidural comprised of sufentanil ($0.75{\mu}g/ml$) in 0.2% ropivacaine, whereas patients in the naloxone group (N) received an epidural infusion comprised of naloxone ($4{\mu}g/ml$) and sufentanil ($0.75{\mu}g/ml$) in 0.2% ropivacaine. The infusion rate, demand dose and lockout interval were 5 ml/hr, 0.5 ml and 15 minutes respectively. Next, the occurrence of postoperative analgesia and side effects were evaluated by blinded observers. Results: The incidence of pruritus (47.4% versus 20.0%, P = 0.013) and nausea (42 .1 % versus 20.0%, P = 0.043) were lower in group N than in group S. In addi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in the visual analogue scale, the incidence of vomiting or the incidence of sedation. Furthermore, epidural infusion of naloxone at $0.25-0.4{\mu}g/kg/hr$ did not affect the requirement for postoperative sufentanil. Conclusions: Epidural naloxone reduces epidural sufentanil induced pruritus and nausea without reversing its analgesic effects.

가려움증의 기전에 대한 최신 논의 고찰 - 최근의 연구 동향과 위장관계와의 연관성 (A Review of the Latest Discussions on the Mechanism of Itching - A Study on Recent Research Tren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astrointestinal Tract and Itching)

  • 김준동;한창이;서광일;김규석;김윤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5-69
    • /
    • 202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atest discussions on the mechanism of Itching. Methods : Articles that reviewed the mechanism of itching were searched from Pubmed (January 2016 to June 2021). In addition, review articles discussing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the mechanisms of pruritus were searched seperately. Results : The article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These categories are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acute, chronic), the immune factors involved (inflammatory, non-inflammatory), and the neurophysiological mechanism (pruritoceptive itching, neuropathic itching, neurogenic itching, psychogenic itching). In each category, the articles over the past five years are summarized and reviewed. Also, how the statu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is reflected in itching was discussed in terms of leaky gut syndrome, neuro/gastrointestinal peptides, and gut microbiota. Conclusions : This review introduces the recently discussed mechanism of itching, and in particular, examines how the gastrointestinal tract is related to skin itching.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it is expected that more diverse therapeutic approaches can be explored in the future.

농약살포 농민의 농약노출로 인한 건강피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lth Effects of Pesticide Exposure among Farmers)

  • 이경무;민선영;정문호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5권2호
    • /
    • pp.245-263
    • /
    • 2000
  • 본 연구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농약살포를 대부분 담당하는 남성 농민들에 대하여, 농부증을 포함한 만성증상과 농약살포시의 이상증상경험, 이상증상 경험시 살포한 농약, 농약살포시의 안전수칙 준수, 보호구의 착용실태, 가족 중 농약으로 인한 사고경험을 조사하고, 농약노출과 연관된 변수들간의 연관성, 급성중독경험 및 만성증상과 관련된 요인을 고찰하였다. 만성증상으로는 '몸이 나른하고 힘이 없다', '허리가 아프다'. '밤중에 소변을 보기 위해 깬다' 등의 증상이 많았으며, 농약살포 시의 임상증상 경험율은 '피부발진/가려움증', '어지러움/두통'의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조사 대상자의 7.1%가 가족중 농약으로 인한 사고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중 농약살포시 중독, 안전사고 및 자살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농약살포 시의 준수사항 중, '뿌린 후 목욕을 한다'와 '뿌린 후 바로 옷을 갈아입는다' 등의 경우가 준수율이 높았으나, '보호구를 잘 세탁해서 보관한다', '뿌린 후 용변을 볼 경우 손을 씻는다', '한낮에는 뿌리지 않는다' 등의 경우는 낮은 준수율을 보였다. 농약살포시 보호구는 '물에 타서 살포할 경우', '입제를 살포할 경우'에 비해 보호구를 더 잘 착용하였으며, 착용율은 모자, 장화, 마스크, 장갑, 방제복 하의의 순이었다. 농약살포시 이상증상경험과 관련된 요인은 농약살포시 준수사항 준수, 살포시간, 과수재배, 경작면적, 연간 농약살포일 등이었으며, 농민의 만성증상과 관련된 관련된 요인은 농약살포시 이상증상 경험, 경작면적, 농사경력, 농약살포시 준수사항 준수, 전업여부, 농약에 대한 노출 등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농약살포시 준수사항의 준수율과 보호구 착용율을 높이며 농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체제적인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농약에 대한 노출이 농민의 만성증상의 한 원인이라는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우나, 원인적 연관성일 가능성을 배재할 수는 없을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농약노출을 정확히 산출하고, 좀더 명확한 건강영향의 생물학적 지표(biological marker)를 측정하여 이들의 연관성을 고찰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매일착용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한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나타난 증상 변화 (Changes in Objective and Subjective Responses in Soft Contact Lens Wearers Refitted to Daily-Wear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 이군자;문미영;변장원;임현성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3-54
    • /
    • 2007
  • 계속 착용렌즈(continuous wear lens)로 개발된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가 최근에는 매일 착용렌즈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성공적으로 수년 동안 착용한 성인을 대상으로 매일 착용렌즈로 개발된 $O_2OPTIX$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를 바꿔 착용시킨 후 나타나는 임상 증상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O_2OPTIX$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한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 65명 중 62명(평균 착용기간: $30.7{\pm}19.9$개월)이 마지막까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렌즈 착용 기간 중 연구 대상자에서 나타나는 자각적 증상과 타각적 증상을 CCLRU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단일커브의 O2OPTIX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를 피팅한 결과 피팅 성공률은 98%로 나타났고 착용하던 소프트 콘택트렌즈보다 추가 교정도수가 필요한 경우는 33.9%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착용자는 전에 착용하던 소프트 콘택트렌즈보다 건조감과 충혈, 피곤함이 모두 줄었다고 응답했으며 자각적증상과 타각적증상 중 건조감, 피곤함, 가려움증, 구결막 충혈 및 윤부 충혈은 모두 감소했으며(p<0.0001) 특히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중 증상을 많이 느꼈던 착용자에서 증상이 더 많이 개선되었다. 그러나 각막 염색 증상은 많은 착용자에서 관찰되었고 정도도 심해졌다(p<0.0001).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하면 건조감과충혈 및 피곤함의 증상이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동안 증상을 심하게 느낀 사람에서 더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하는 경우 각막염색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찰이 요망되며 최대교정시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피팅 후 반드시 덧댐굴절검사(over-refraction)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체질진단분류(體質診斷分類)에 따른 질병(疾病) 및 증상유형(症狀類型)에 관한 임상적(臨床的) 연구(硏究) II (문진표를 중심으로) (A CLINICAL STUDY OF THE TYPE OF DISEASE AND SYMPTOM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 김영우;김진원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9-135
    • /
    • 1999
  • 본 연구(硏究)는 1996.3월(月)에서 1998.11월(月)사이에 동의대학교(東義大學校) 한의과대학(韓醫科大學) 부속한방병원(附屬韓方病院)에 내원(來院) 가료중(加療中) 환자(患者) 196명을 대상(對象)으로 하였으며 사상체질(四象體質)의 판별(判別)은 사상변증내용(四象辨證內容) 설문조사지(設問調査紙)(I)과 사상체질분류검사(象體質分類檢査)(QSCCII)를 중심으로 하였다. 본 결과는 사상체질(四象體質)과 질병(疾病) 및 증상유형(症狀類形)에 대한 설문지(說問紙)를 비교하여 얻은 것이다. 1. 태음인(太陰인)은 체중증가(體重增加), 땀이 많이 난다. 몸이 붓는다. 허리가 아프다는 증상(症狀)과 기름진 음식(飮食)을 잘 먹으며 음식(飮食)을 짜게 먹는 편이 다른 체질(體質)에 비하여 더욱 유발(頻發)하였다. 2. 소음인(少陰인)은 안색이 나쁘다. 목의 이물감, 수면장애(睡眠障碍) 식욕감퇴(食慾減退), 쉽게 피로(疲勞)해짐, 식사(食事)와 무관한 위(胃)의 통증(痛症), 두통(頭痛), 생리통증상(生理痛症狀)과 기름진 음식(飮食)을 잘 안 먹는다. 음식(飮食)을 싱겁게 먹는 편이 다른 체질(體質)에 비하여 더욱 유발(頻發)하였다. 3. 통계적(統計的)으로 유의성(有意性)을 가지지는 못하였지만, 소양인(少陽人)은 호흡기계질환(呼吸器系疾患)에서 단순한 기침증상(症狀) 근골격계질환(筋骨格系疾患)에서 관절(關節)의 운동장애(運動障碍), 부인과계(歸人科系)에서 월경(月經)의 조기(調期)와 양(量)의 변화(變化)와 생식기(生殖器) 소양증(搔痒症), 피부계(皮膚系)에서 가려움증과 부스럼증 등은 다른 체질(體質)에 비하여 비교적 많았고 심혈관계질환(心血管系疾患), 혈액계질환(血液系疾患)은 비교적 적었다. 소음인(少陰人)은 전반적(全般的)인 소화기계질환(消化器系疾患), 호흡기계질환(呼吸器系疾患)에서 인흡(咽吸)의 이물감 통증, 심혈관계질환(心血管系疾患), 혈액계질환(血液系疾患), 근골격계질환(筋骨格系疾患)에서 통증(痛症)이나 비증(痺症), 정신신경계질환(精神神經系疾患)에서 정신계질환(精神系疾患), 부인과계(婦人科系)에서 월경통(月經痛)을 비롯한 유방(乳房)의 몽우리 냉증(冷症), 피부계(皮膚系)에서 발진(發疹)이나 두드러기, 시각계질환(視覺系疾患)과 청각계질환(聽覺系疾患)등이 다른 체질(體質)에 비해 많았다. 태음인(太陰人) 호흡기계질환(呼吸器系疾患)에서 목이 잘 쉬는 증상, 근골격계질환(筋骨格系疾患)에서 요통(腰痛), 정신신경계질환(精神神經系疾患)에서 신경계질환(神經系疾患), 피부계(皮膚系)에서 발진(發疹)이나 두드러기등이 다른 체질(體質)에 비하여 다소 많았으며 부인과계질환(婦人科系疾患)은 적었다.

  • PDF

BALB/c 마우스에서 DNCB-유도 아토피 피부염 유사병변에 대한 Curcumin 투여와 630 nm LED 광치료의 병용 효과 (The Combined Effects of Curcumin Administration and 630 nm LED Phototherapy against DNCB-induced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 BALB/c Mice)

  • 제갈승주;박미숙;김대중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50-160
    • /
    • 2017
  • 아토피피부염은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습진성병변, 피부건조 및 가려움증의 특징적 증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아토피피부염 치료약제들은 오래 사용시 여러 부작용이 있어서 이를 대신할 새로운 대체 치료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Curcumin은 항염, 항알러지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폴리페놀(polyphenol)이며,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광치료는 아토피피부염과 상처치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DNCB로 유도한BALB/c 마우스의 아토피피부염에서 curcumin 투여와 630 nm LED 조사를 병용하여 그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아토피피부염의 치료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modified SCORAD 지수, 조직병리학적 분석, 면역조직화학염색 및 TUNEL 검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curcumin 투여와 630 nm LED 조사가 각각 SCORAD 지수, 비만세포 및 탈과립세포의 수, 호산구 수, 표피세포의 증식능 및 자멸세포의 수를 의미 있게 감소시키고,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억제하여 섬유모세포에 의한 콜라겐 생성을 의미 있게 감소시켰으며, curcumin 투여와 LED 조사를 병용하였을 경우 단일 처리군에 비해 이들 수치가 의미 있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아토피피부염 치료에 curcumin 투여와 LED 조사가 각각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며, 병용 치료 시 그 효과가 좀 더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아토피피부염의 대체치료 전략으로 curcumin 투여와 630 nm 조사의 병용 치료를 제안한다.

렛트 복강 비만세포와 화학항원 유도 알레르기 마우스에서 황금과 금은화 추출물의 항가려움 및 항염증 상승효과 (Synergic Anti-Pruri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cutellariae Radix plus Flos Loncerae Extracts in Rat Peritoneal Mast Cell and Chemical Antigen-Induced Mice)

  • 목지예;전인화;김현수;신준호;박용균;장선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3-91
    • /
    • 2013
  • Pruritus is a unpleasant symptom in the skin that provokes the act of or desire to scratch. Mast cells are important effector cells in allergic reactions such as pruritus and inflam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synergic anti-pruri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cutellariae Radix (SB) plus Flos Loncerae (FL) extracts in rat peritoneal mast cells (RPMCs), pruritogen-induced scratching mice and 2,4-dinitrofluorobenzene (DNFB)-induced allergic mic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B, FL and SB plus FL extracts on the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beta}$, and histamine in RPMCs, on the scratching behavior in ICR mice, and skin clinical serverity and inflammatory mediators in DNFB-induced allergic hairless mice. RPMCs stimulated with PMA plus A23187 or compound 48/80 significantly increased TNF-${\alpha}$, IL-$1{\beta}$ or histamine production compared with media control. However, TNF-${\alpha}$ IL-$1{\beta}$ or histamine levels increased by PMA plus A23187 or compound 48/80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SB, FL in a dose-dependent manner. Especially, SB plus FL pretreatment had a synergic inhibitory effects on stimulator-induced cytokines (TNF-${\alpha}$ and IL-$1{\beta}$) and histamine production. Moreover, SB plus FL administration had a synergic inhibitory effects on the scratching behavior induced by pruritogen (compound 48/80, histamine, serotonin, substance P) in ICR mice. Furthermore, SB plus FL administration had a synergic inhibitory effects on skin damage, inflammatory mediators, leukocyte and mast cell infiltration induced by DNFB in hairless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B plus FL administration has a potential use as a medicinal plant for treatment against itching and inflammation-related skin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