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능최대홍수량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75 seconds

The variation of Probable Maximum Flood due to Rainfall distribution and Rainfall-Runoff Parameters (강우분포와 강우-유출 매개변수에 따른 가능최대홍수량의 변화)

  • Kim, Nam Won;Lee, Jeong 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287-291
    • /
    • 2004
  • 가능최대홍수량(PMF)은 가능최대강수량(PMF)을 입력으로 한 강우-유출해석의 결과이다. 대상유역의 가능최대강수량을 산정하여 시${\cdot}$공간분포를 고려한 가능최대호우를 결정한 후, 강우-유출관계를 적용하여 가능최대홍수량을 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산정된 가능최대홍수량은 실무에서 댐설계를 위해 이용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댐설계기준(건설교통부, 2001)에 가능최대홍수량 산정을 위한 방법론은 제시되어 있지만, 이에 내한 이론적인 토의가 충분치 않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가능최대홍수량 산정절차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강우분포와 강우-유출매개변수에 따른 가능최대홍수량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먼저, 강우의 시간분포방법으로 blocking 방법, huff 방법, mononobe 공식을 채택하여 그 문제점을 세시하고, 시간분포방법별 가능최대홍수량의 변화를 비교${\cdot}$검토하였다. 강우-유출 매개변수에 따른 가능최대홍수량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해서, 먼지 평균개념의 기존단위도와 최대개념의 단위도에 대해 평가하였으며, 두 단위도 적용에 따른 가능최대홍수량의 변화를 비교${\cdot}$검토하였다. 최대개념의 단위도는 강우-유출관계의 적용을 위해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주로 이용되어 왔던 Clark 단위도를 선정하였고, 실측강우-유출자료의 해석을 통해 가능최대홍수량의 개념에 부합되는 매개변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가능최대강수량의 차이, 강우손실방법, 기저유량 고려유무에 따른 가능최대홍수량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 PDF

Determination of Clark IUH for Calculating Probable Maximum Flood (PMF) (가능최대홍수량(PMF)을 산정하기 위한 Clark 단위도의 결정)

  • Lee, Jinwook;Lee, Myungseob;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85-585
    • /
    • 2015
  • 가능최대홍수량(PMF)이란 가능최대강수량(PMP)을 입력으로 한 강우-유출해석의 결과를 말한다. 즉, 대상유역의 가능최대강수량을 산정하여 시 공간분포를 고려한 가능최대호우를 결정한 후, 강우-유출관계를 이용하여 최대홍수량을 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산정된 가능최대홍수량은 실무에서 댐 설계를 위해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능최대홍수량을 설계홍수량으로 채택하고 있는 국외의 강우-유출 해석 방법에 대해 조사하고, 국내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평균 개념의 Clark 단위도를 사용할 경우 홍수를 과소평가할 우려가 있으며, 큰 홍수사상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최대 개념을 적용한 단위도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최대 개념을 적용한 기존의 연구들 또한 관측 기록년 이후에 기록된 수문량에 비해 월등히 큰 수문량이 발생할 때, 과거의 자료를 토대로 추정한 PMF의 신뢰성이 급격히 저감된다는 한계가 존재하므로, 국내 모든 유역에 적용할 수 있는 일관성 있는 단위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성 속도를 고려하여 빈도해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최대 개념을 고려한 유역의 특성속도에 따른 Clark 단위도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단위도의 변화에 따른 가능최대홍수량의 변화를 검토하여, 단위도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Hydrologic Safety Evaluation System for Small Scale Reservoir (소규모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기법 개발)

  • Lee, Joo-Heon;Yang, Seung-Man;Kim, Seong-Joon;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377-382
    • /
    • 2010
  • 국내에는 약 14,000개의 중 소규모의 저수지들이 있다. 최근에 이상기후로 인한 많은 강우가 발생하여 저수지들의 월류나 파이핑으로 인한 붕괴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어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설계홍수량을 초과하는 월류로 인한 댐 붕괴 발생 시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본포되어 있는 저수지들의 설계홍수량을 시급히 파악하여 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을 판단하고 설계홍수량이 작은 저수지의 경우 별도로 관리 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기존에 저수지의 안전여부를 판단 할 수 있는 댐 붕괴 모의의 경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 되어 저수지의 안전여부를 보다 쉽고 빠르게 판단 할 수 있는 기준 마련이 시급히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쉽고 빠르게 소규모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를 할 수 있는 간편법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연구 방법은 HEC-HMS을 이용한 댐 붕괴와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간편법을 통하여 홍수량의 비교 검토 및 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을 평가를 하였다. HEC-HMS의 첨두홍수량은 빈도별 지속시간별 확률강우량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가능최대홍수량(PMF)은 실제호우전이법으로 산정한 가능최대강수량(PMP)을 이용하였다. 간편법의 첨두홍수량은 합리식과 통합형 강우강도식을 이용하여 산정하였고, 가능최대홍수량(PMF)은 Creager공식을 이용하여 산1)정하였다. 댐 붕괴의 경우 HEC-HMS에서는 댐 붕괴 모듈을 실행하여 모의를 하였고, 간편법의 댐 붕괴는 여수로의 한계 유출을 파악할 수 있는 위어공식을 이용하여 댐 붕괴 모의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산정된 첨두홍수량과 가능최대홍수량(PMF)을 작성된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표에 기입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HEC-HMS로 산정한 빈도별 첨두홍수량 가능최대홍수량(PMF)과 간편법으로 구한 빈도별 첨두 홍수량 가능최대홍수량(PMF)의 차이는 약 편차가 50%정도로 간편법으로 구한 첨두홍수량 가능최대홍수량(PMF)이 더 크게 산정되었다. 편차의 발생 이유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간편법의 경우 안전율을 고려한 경험공식을 사용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되며, 간편법을 통한 소규모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를 다른 대상지역의 소규모저수지에도 적용하여 보고 수문학적 평가방법이 올바르게 적용 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A Case Study of Spillway Design of Imha Dam (임하댐 비상여수로 설계 사례 소개)

  • Kim, Dong-Min;Kim, Tae-Hyun;Jang, Min-Chul
    • 기술발표회
    • /
    • s.2006
    • /
    • pp.364-371
    • /
    • 2006
  • 최근 기상이변에 따른 이상홍수가 빈번하고, 댐 설계홍수량 설계기준이 가능최대홍수량(PMF)으로 강화되었으며, 최근의 주요 호우사상을 고려하여 산정한 임하댐 유역의 가능최대강수량(P.M.P)이 설계 당시보다 증가됨에 따라 가능최대홍수량(PMF) 유입시 댐 안정성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따라서, 본 과업은 “댐의 수문학적 안정성검토 및 치수능력증대 기본계획 수립, 2004. 9.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에 의거하여, 최근의 태풍 ‘RUSA’(’02) 및 ‘MAEMI’(’03)와 같은 이상호우에 대한 댐 및 여수로의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비상여수로를 계획하였다. 비상여수로는 수문학적 안정성을 검토한 후, 가능최대홍수량(PMF)과 같은 홍수유입시 댐의 안전을 위하여 신속히 홍수를 배제시킬 수 있는 수리적.구조적인 안정성 확보가 가능하고, 시공성, 경제성 및 환경성 측면을 고려하여 댐우안 300m 지점에 터널규모 D15m${\times}$3련 ${\times}$L1,262m (L1=379m, L2=421m, L3=462m)의 월류형 터널식으로 계획하였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PMF estimation process (가능최대홍수량 산정 절차 변경에 따른 결과 분석)

  • Kwon, Ji Hye;Kim, Nam Won;Heo, Jun-Haeng;Shin, Eun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599-603
    • /
    • 2004
  • 최근 이상기후에 의하여 큰 호우사상이 빈발하고 있이 기존 PMF의 검토 및 그에 대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산정 절차가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에 의하여 우리나라의 1종 댐 시설물에 대해 외국의 최근 추세에 부합하는 개념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 PMF가 기존에 산정된 값들에 대하여 증가되었고, 이러한 절차는 양질의 자료를 다량 확보하여 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더 많은 댐에 적용함으로써 가능최대홍수량 산정시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uggestion of modification method of unit hydrograph for estimating probable maximum flood (가능최대홍수량 산정을 위한 단위도의 수정 방법 제안)

  • Lee, Jinwook;Kim, Soeun;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09-309
    • /
    • 2021
  • 댐 설계 시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으로 인한 홍수량인 가능최대홍수량(probable maximum flood, PMF)이 고려되며, 이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단위도가 필요하다. 즉, PMF는 PMP를 입력으로 하여 단위도를 이용한 강우-유출 해석을 통해 얻어진다. 따라서, 동일한 PMP가 고려되더라도 적용되는 단위도에 따라 산정되는 PMF는 달라진다. PMP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평균적인 상황에 비해 단위도의 반응이 보다 빠르고 강해진다(한국개발연구원, 2007; 한국수자원공사, 2008; Kjedsen et al., 2016). 국내의 경우, 아직까지 PMF 산정을 위한 단위도에 대한 명확한 지침은 존재하지 않는다. 댐설계기준해설(국토해양부, 2011)에서는 유역의 평균단위도로 PMF를 추정할 경우 실제보다 낮은 결과치가 도출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속 정보를 기반으로 PMF 산정을 위한 단위도를 결정해 보고, 이를 통해 대표단위도로부터 PMF 산정을 위한 단위도를 결정하기 위한 수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수정단위도를 적용하여, 기존 국내 기준 적용 결과 및 확률 강우량을 통해 산정되는 빈도홍수량과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 PDF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Flood by Duration using Creager Method (Creager 기법을 이용한 지속시간별 가능최대홍수량 산정)

  • Kang, Boo-Sik;Ryu, Seung-Yeop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1
    • /
    • pp.77-84
    • /
    • 2011
  • The methods of the rational formula and Kajiyama formula have been widely used for estimating the peak flood for design to all kind of hydraulic structure. However, there are many limitations and we have to apply these methods to ungauged basin. These methods require to calculate the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before determining the Probable Maximum Flood (PMF). Creager's method (Creager et al., 1945) is a kind of estimation of specipic flood and this method provided nonlinear equations based on relationship between the drainage area and PMF in order to calculate the PMF of multipurpose dams over medium-sized. But this method has not much applied in Korea. Creager's coefficient is not clear about its application because this method has never been applied to dams in Korea. Based on the PMP for rainfull-runoff models with the PMF of small and larger dams in this research, the range and standard of Creager's coefficients with parameters are proposed to apply basin areas in Korea.

Study on Evaluation of PMF Estimation in the Han River Basin as the Scenario for the Centroid of PMP (PMP 호우중심에 따른 한강유역 주요 댐별 PMF 산정 시나리오에 관한 연구)

  • Kwon, Ji-Hye;Shin, Cheol-Shik;Kim, So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51-1755
    • /
    • 2006
  • 본 연구는 2000년 이후의 극대 호우를 반영하여 산정한 가능최대강수량(PMP)를 통해 한강유역 주요 댐의 가능최대홍수량(PMF)을 산정하기 위한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홍수량 분석을 위한 한강유역의 소유역 구분은 한강 유역조사사업의 결과를 토대로 하였으며, PMP는 전국 PMP도 재작성 보고서(건설교통부, 2004)를 이용하되 본 연구의 대상 댐이 되는 한강유역의 주요 댐별로 호우 중심 위치에 따른 공간분포를 각각 수행하여 소유역별 강우량값을 산출하였다. 이러한 시나리오들에 의해 각 댐 지점의 PMF를 산정하는 것은 향후 댐의 안전성 검토 및 댐 운영시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주요 방향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ability analysis of tunnel spillway under internal water pressure (내부수압이 작용하는 여수로터널의 안정성 검토)

  • Park, Inn-Joon;Park, Moo-Jong;Kim, Sung-In;Kwak, Chang-Won;Jang, Seo-Yong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7 no.1
    • /
    • pp.63-72
    • /
    • 2005
  • The influence of internal water pressure under the Probable Maximum Flood (PMF) on tunnel spillway is analysed using 3D FDM analysis. HEC-RAS program including 1-D hydrologic numerical model was also implemented to estimate the maximum pressure on the lining under the PMF, thereafter determined rational internal water pressure. Tunnel spillway was designed as twin tunnel and excavation and supporting stage are fully considered. Analysis was classified into the 3 cases; pressure is applied only to the left tunnel, only to right tunnel, and to both tunnels. The maximum tensile stress and axial force in supporting materials induced by water flow were compared with the critical values to assess the stablilty of the tunnel and the locations of stress concentration parts were also examined.

  • PDF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Flood Based on Curve Number Value (유출곡선값에 따른 가능최대홍수량 산정)

  • Maeng, Seung-Jin;Hwang, Ju-Ha;Kim, Hyung-San;Yeon, Gyu-Ba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60.1-60.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년 최대 홍수량의 발생에 대한 대안으로 사용하는 PMF 추정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PMF를 산정하는 매개변수 도달시간(Time of concentration, TC)과 저류상수(Storage constant, K), 유출곡선번호(Runoff curve number, CN), 감수상수(Recession constant, RC), 초기손실(Initial loss, IL), 초기기저유량(Initial base flow, IBF), Threshold(TQ)들 중 CN값을 고정 하였을 때와 고정하지 않았을 때로 나눠 산정된 각각의 PMF와 기 발표된 PMF와 상호비교 분석을 통해 신뢰성 있는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