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공식품

Search Result 3,12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Project of Improving Good Agriculture Practice and Income by Intergrated Agricultural Farming (미얀마 우수농산물 재배기술 전수사업)

  • Lee, Young-Cheul;Choi, Dong-Yong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 Fisheries Research
    • /
    • v.16 no.1
    • /
    • pp.193-206
    • /
    • 2014
  • The objectives of the project are to increase farmers' income through GAP and to reduce the loss of agricultural produce, for which the Korean partner takes a role of transferring needed technologies to the project site. To accomplish the project plan, it is set to implement the project with six components: construction of buildings, installation of agricultural facilities, establishment of demonstration farms, dispatching experts, conducting training program in Korea and provision of equipments. The Project Management Committee and the Project Implementation Team are consisted of Korean experts and senior officials from Department of Agriculture, Myanmar that managed the project systematically to ensure the success of the project. The process of the project are; the ceremony of laying the foundation and commencing the construction of training center in April, 2012. The Ribbon Cutting Ceremony for the completion of GAP Training Center was successfully held under PMC (MOAI, GAPI/ARDC) arrangement in SAl, Naypyitaw on June 17, 2012. The Chairman of GAPI, Dr. Sang Mu Lee, Director General U Kyaw Win of DOA, officials and staff members from Korea and Myanmar, teachers and students from SAl attended the ceremony. The team carried out an inspection and fixing donors' plates on donated project machineries, agro-equipments, vehicles, computers and printer, furniture, tools and so forth. Demonstration farm for paddy rice, fruits and vegetables was laid out in April, 2012. Twenty nine Korean rice varieties and many Korean vegetable varieties were introduced into GAP Project farm to check the suitability of the varieties under Myanmar growing conditions. Paddy was cultivated three times in DAR and twice in SAl. In June 2012, vinyl houses were started to be constructed for raising seedlings and finished in December 2012. Fruit orchard for mango, longan and dragon fruit was established in June, 2012. Vegetables were grown until successful harvest and the harvested produce was used for panel testing and distribution in January 2013. Machineries for postharvest handling systems were imported in November 2012. Setting the washing line for vegetables were finished and the system as run for testing in June 2013. New water tanks, pine lines, pump house and electricity were set up in October 2013.

Effect of Accelerated Storage on the Microstructure and Water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Adzuki Bean (Vigna angularis L.) Cultivar (팥의 가속화 저장에 따른 미세구조 및 수분흡수 특성)

  • Jieun Kwak;Seon-Min Oh;You-Geun Oh;Yu-Chan Choi;Hyun-Jin Park;Suk-Bo Song;Jeong-Heui Lee;Jeom-Sig Lee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68 no.3
    • /
    • pp.167-174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icrostructure and water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dzuki bean (Vigna angularis L.) cultivar under accelerated storage. The germination rate, acid value,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three months of storage compared to pre-storage under low temperatures (4℃). Howeve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under accelerated high temperatures (45℃). In particular, after storage for three months, the germination rate and acid value were 0% and 33.63 mg KOH/100g, respectively, under accelerated high temperatures. After storage for three months, the holes, hilum damage, and spaces between the seed coat and cotyledon shortened the time and speed of water absorption under accelerated high temperatures compared to that under low temperatures. Conversely,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reason for the low rate of parallel water absorption.

Selection of a Soybean Line with Brown Seed Coat, Green Cotyledon, and Tetra-Null Genotype (갈색종피와 녹색자엽 및 Tetra Null 유전자형을 가진 콩 계통 선발)

  • Sarath Ly;Hyeon Su Oh;Se Yeong Kim;Jeong Hwan Lee;Jong Il Chung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68 no.3
    • /
    • pp.114-120
    • /
    • 2023
  • Soybean is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crops for providing quality vegetable protein to umans and livestock. Soybean cultivars with a brown seed coat have a wide range of antioxidant benefits because of the flavonoid components. However, they also contain lectin, 7S α′ subunit, lipoxygenase, and Kunitz trypsin inhibitor (KTI) proteins that can be allergenic and digestive inhibitors and reduce processing aptitude. Genetic removal of these four proteins is necessary in soybean breeding.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a new line with brown seed coat, green cotyledon, and tetra-null genotype (lecgy1lox1lox2lox3ti) for lectin, 7S α′ subunit, lipoxygenase, and KTI proteins in the mature seed. Five germplasms were used to create breeding population. From a total of 58 F2 plants, F2 plants with lele genotype were selected using a DNA marker, and F3 seeds with a brown seed coat, green cotyledon, and the absence of 7S α′ subunit protein were selected. Three lines (S1, S2, and S3) were developed. Genetic absence of lectin, 7S α′ subunit, lipoxygenase, and KTI proteins was confirmed in F6 seeds of the three lines, which had a brown seed coat, green cotyledons, and a white hilum. The 100 seed weights of the three lines were 26.4-30.9 g, which were lower than 36 g of the check cultivar - 'Chungja#3'. The new S2 line with 30.9 g hundred seed weight can be used as a parent to improve colored soybean cultivars without antinutritional factors such as lectin, 7S α′ subunit, lipoxygenase, and KTI proteins.

Comparative proteome profiling in the storage root of sweet potato during curing-mediated wound healing (큐어링 후 저장에 따른 고구마 저장뿌리 단백질체의 비교분석)

  • Ho Yong Shin;Chang Yoon Ji;Ho Soo Kim;Jung-Sung Chung;Sung Hwan Choi;Sang-Soo Kwak;Yun-Hee Kim;Jeung Joo Lee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v.50
    • /
    • pp.1-10
    • /
    • 2023
  •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Lam)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root crop and a valuable source of nutrients, processed foods, animal feeds, and pigment materials. However, during post-harvest storage, storage roots of sweet potatoes are susceptible to decay caused by various microorganisms and diseases. Post-harvest curing is the most effective means of healing wounds and preventing spoilage by microorganisms during storage. In this study, we aimed to identify proteins involved in the molecular mechanisms related to curing and study proteomic changes during the post-curing storage period. For this purpose, changes in protein spots were analyzed through 2D-electrophoresis after treatment at 33℃ (curing) and 15℃ (control) for three days, followed by a storage period of eight weeks. As a result, we observed 31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 spots between curing and control groups, among which 15 were identified. Among the identified proteins, the expression level of 'alpha-amylase (spot 1)' increased only after the curing treatment, whereas the expression levels of 'probable aldo-keto reductase 2-like (spot 3)' and 'hypothetical protein CHGG_01724 (spot 4)' increased in both the curing and control groups. However, the expression level of 'sporamin A (spot 10)' decreased in both the curing and control treatments. In the control treatment, the expression level of 'enolase (spot 14)' increased, but the expression levels of 'chain A of actinidin-E-64 complex+ (spot 19)', 'ascorbate peroxidase (spot 22)', and several 'sporamin proteins (spot 20, 21, 23, 24, 27, 29, 30, and 31)' decrease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identify proteins related to the curing process in sweet potato storage roots, understand the mechanisms related to disease resistance during post-harvest storage, and derive candidate genes to develop new varieties with improved low-temperature storage capabilities in the future.

홍삼 유래 성분들의 면역조절 효능

  • Jo, Jae-Yeol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8 no.2
    • /
    • pp.6-12
    • /
    • 2009
  •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요항상성 유지기전의 하나이다. 이들 반응은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 흉선 및 임파절 등에서 성숙되는 면역세포들에 의해 매개된다. 보통 태어나면서부터 얻어진 선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등과, 오랜기간 동안 감염된 다양한 면역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획득성 면역을 담당하는 T 임파구 등이 대표적인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면역질환이 최근 주요 사망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암, 당뇨 및 뇌혈관질환 등이 생체에서 발생되는 급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됨에 따라 면역세포 매개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암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암발생의 주요 방어기전인 면역력 증강에 대한 요구들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오던 고려인삼과 홍삼은 기를 보호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명약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연생약이다. 특별히,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 회복, 혈당강하, 운동수행 능력증대, 기억력 개선, 항피로작용 및 면역력 증대에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에 관한 많은 연구에 비해, 현재까지 홍삼이 면역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져 있다. 홍삼의 투여는 NK 세포나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고 항암제의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면역증강 성분은 산성다당류로 보고되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진세노사이드류에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되어졌으며, 이를 통해 피부염증 반응과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G 연구출연금 (2009-2010)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물질의 침입으로 유도된 질병환경을 제거하고 수복하는 중요한 생체적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이들 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미생물이나 미세화학물질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소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을 주요 역할로 한다. 외부로 부터 인체에 들어온 이물질에 대한 방어기전은 현재 두 가지 종류의 면역반응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즉,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 반응 (adaptive immunity)이 그것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은 1) 피부나 점막의 표면과 같은 해부학적인 보호벽 구조와 2) 체온과 낮은 pH 및 chemical mediator (리소자임, collectin류) 등과 같은 생리적 방어구조, 3) phagocyte류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호중구 등)에 의한 phagocytic/endocytic 방어, 그리고 4)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통한 감염에 저항하는 면역반응 등으로 구분된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획득성면역이라고도 불리고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기/비자기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유입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에 따라 체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e response)과 세포성 면역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으로 구분된다.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의 구조 특이적으로 생성된 B cell 유래 항체와의 반응과 간이나 대식세포 등에서 합성되어 분비된 혈청내 보체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T helper cell (CD4+), cytotoxic T cell (CD8+), B cell 및antigen presenting cell 중개를 통한 세포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면역반응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의 하나인 염증은 우리 몸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환자의 편도선내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류는 감염된 바이러스 단독 혹은 동시에 감염된 박테리아를 상대로 다양한 염증성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경우에도 감염원을 통해 유입된 병원성 세균과 주위조직내 선천성 면역담당 세포들 간의 면역학적 전투가 발생되게 된다. 이들 과정을 통해, 주위 세포나 조직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이들 면역세포들 (주로 phagocytes류)은 신속하게 손상을 극소화하고 더 나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이들 반응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발적 (redness), 부종 (swelling), 발열 (heat), 통증 (pain)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조직의 홍반과, 부어 오른 혈관에 의해 발열과 부종이 초래되는 것이다. 확장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는 체액과 세포들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이를 통해 축적된 삼출물들은 단백질의 농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혈관에 존재하는 체액들이 조직으로 더 많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부종을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혈관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혈판 내벽에 점착되고 (margination), 혈관벽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히스타민 (histamine)이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 NO), 프로스타그린딘 (prostagladins : PGE2) 및 류코트리엔 (leukotriens) 등과 같은 chemical mediator의 도움으로 인해 혈관벽 사이로 삼출하게 되어 (extravasation),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직접적인 외부 침입 물질의 파괴나 다른 면역세포들을 모으기 위한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 IL-6 등) 혹은 chemokine (MIP-l, IL-8, MCP-l등)의 분비 등을 수행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염증과정시 발생되는 여러 mediator 중 PGE2나 NO 및 TNF-$\alpha$ 등은 실험적 평가가 용이하여 이들 mediator 자체나 생성관련효소 (cyclooxygenase [COX]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등)들은 현재항염증 치료제의 개발 연구시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지속기간에 따라 크게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뉘며, 삼출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및 출혈성 염증 등으로 구분된다. 급성 염증 (acute inflammation)반응은 수일 내지 수주간 지속되는 일반적인 염증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국소반응은 기본징후인 발열과 발적, 부종, 통증 및 기능 상실이 특징적이며,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혈관성 변화와 삼출물 형성이 주 작용이므로 일명 삼출성 염증이라고 한다. 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은, 급성 염증으로부터 이행되거나 만성으로 시작된다. 염증지속 기간은 보통 4주 이상 장기화 된다. 보통 염증의 경우에는 염증 생성 cytokine인 Th1 cytokine (IL-2, interferone [IFN]-$\gamma$ 및 TNF-$\alpha$ 등)의 생성 후, 거의 즉각적으로 항 염증성 cytokine인 Th2 cytokine(IL-4, IL-6, IL-10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등)이 생성되어 정상반응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든 면역세포에 의한 염증원 제거 반응이 문제가 되면,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에 주로 작용을 하는 염증세포로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있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의 원인이 되는 면역질환의 하나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 혹은 암유발 물질들에 의해 염색체내 protooncogene, tumor-suppressor gene 혹은 DNA repairing gene의 일부 DNA의 돌연변이 혹은 결손 등이 발행되면 정상세포는 암화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양성세포 수준에서 약 5에서 10여년 후 악성수준의 암세포가 생성되게 되면 이들 세포는 새로운 환경을 찾아 전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암환자들은 다양한 장기에 동인 오리진의 암세포들이 생성한 종양들을 가지게 된다. 이들 종양세포는 정상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켜며 결국 생명을 잃게 만든다. 이들 염색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래 암세포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 면역시스템에 의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스트레스나 암유발 물질의 노출은 체내 면역체계를 파괴하면서 최후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면서 암발생에 무방비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체내 면역시스템의 정상적 가동 및 증강을 유도하게 하는 전략이 암예방시 매우 중요한 표적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면역증강 물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오랜동안 한방 및 민간에서 원기를 회복시키고,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생약이다. 예로부터 불로(不老), 장생(長生), 익기(益氣), 경신(經身)의 명약으로 구전되어졌는데, 이는 약 2천년 전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인삼은 오장(五腸)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혼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라고 기술되어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이 효능 면에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이 고려인삼으로부터 제조된 고려홍삼은 전세계적으로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홍삼 약효는 dammarane계열의 triterpenoid인 ginsenosides라고 불리는 인삼 saponin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군의 기본 골격에 따라, protopanaxadiol (PD)계 (22종) 및 protopanaxatriol (PT)계 (10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1). 실험적 접근을 통해 인삼의 약리작용 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인삼의 약리작용 관련 연구들은 심혈관, 당뇨, 항암 및 항스트레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인삼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조절 및 염증현상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들은 많지 않으나, 향후 다양하게 연구될 효능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