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聖諭

검색결과 965건 처리시간 0.028초

성유굴의 지형 분석

  • 홍시환
    • 동굴
    • /
    • 제8권9호
    • /
    • pp.6-14
    • /
    • 1983
  • 성유굴도 다른 석회동굴과 같이 지면에 투수된 지하수에 의하여 그 지반을 덮고 있는 석회암층이 용해, 용식되면서 지면하에 용출이 생겼다. 물론 지하수대가 순환수대인 경우도 있고 한편 포화수대상태에 있는 경우의 두 가지가 있는데 성유굴은 포화수대의 지하수면하에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그후에 순환수류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중략)

  • PDF

조선소 밀집지역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분포 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he Ambient Air of an Industrial Shipbuilding Complex : A Case Study)

  • 이명은;박은옥;정재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380-386
    • /
    • 2015
  • 조선소 밀집지역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의 공간 및 시간적 분포특성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지역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모든 시료채취지점에서 측정된 주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조선소 내부의 실내도장시설에서 측정된 물질들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조선소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도장작업이 주변지역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중요한 배출원임을 보여준다.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분포를 결정하는 주된 요인들은 시료채취지점과 선박제조 작업장 사이의 거리와 선박제조 작업의 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시료채취지점에서 일반적인 도시 대기에서 관찰되는 VOCs 농도의 일반적인 시계열적 변화경향을 압도하는 도장작업의 강도에 따라 매우 넓은 범위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가 관찰되었다.

서울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량 자료 검증 (Validation of the emission inventory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Seoul)

  • 김용표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39-148
    • /
    • 2009
  • 2003년 12월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대기에서 미세먼지와 이산화질소 농도를 저감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는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 획'이 수립되었다. 휘발성유기화합물도 저감대상물질이며, 여러 오염배출원에서 저감하기 위한 계획이 수립되어 추진중이다. 효과적인 저감 대책을 수립, 시행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추이와 현황, 그리고 주요 기여원을 알아야만 한다. 여기에서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서울에서의 대기 농도, 주요배출원에서의 배출 조성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수용모델의 하나인 CMB를 활용한 결과와 배출량 자료를 비교하여 주요배출원을 파악하고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 대책을 수립할 경우 고려하여야 할 문제들을 검토하였다. 배출량 자료는 유기용제 사용이 가장 중요한 배출원이라고 산정하였으나, 이와는 다르게 CMB 모델 결과는 자동차 배출가스가 서울 대기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가장 중요한 배출원임을 보였다. CMB 모델에 사용된 대기 측정자료와 주요 배출원의 조성비, 모델 운용 과정을 검토한 결과 모델 결과는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량 자료의 검증, 보완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을 저감하는 목표(미세먼지 저감, 위해성 저감, 오존 저감 등)에 따라 구체적인 대상 성분과 대상 배출원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정책을 집행하여야 함을 논의하였다.

  • PDF

비강 및 부비동에 발생한 거대란 반전성유두종 1예 (A Case of the Inverted Papilloma of the Nose and Paranasal Sinuses)

  • 김정래;권평중;김중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2.4-12
    • /
    • 1981
  • 비강 및 부비동에 발생하는 반전성유두종은 극히 드문 양성종양으로 1854년 Ward가 처음으로 보고하였으며 이후 여러학자들에 의하여 본증이 논의되어왔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그 보고례가 몇례 없었다. 비강 및 부비동에 발생하는 반전성유두종은 진성종양으로 비용과 현저히 다르며 제거후에도 재발하는 경우가 많고 드물긴 하지만 악성으로 변하는 경우가 있다. 일단 반전성유두종으로 밝혀지게 되면 가능한 한 광범위하게 제거해줘야되며 계속적인 추적조사가 필요하다. 최근 저자들은 비출혈, 비폐색, 취각장애, 두통을 주소로 내원한 64세된 여자환자에서 좌측 상악등에 압박괴사를 초래한 반전성유두종 1례를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아울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김해시 동지역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지역별 시간에 따른 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 봉상훈;박흥재;정성욱;김선영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500-50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김해시 동지역을 중심으로 생활형태별로 상업지역, 주거지역, 도로지역, 공단지역으로 구분하여 Tenax TA로 3시간 간격으로 포집하여 일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를 GC/MS를 이용하여 정량분석하여 생활형태별 일간 농도변화를 관측하였다. 생활형태별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는 도로지역, 공단지역, 상업지역, 주거지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에 따른 농도 변화는 오존전구 물질인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반응이 빠른 낮시간보다 밤시간에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 PDF

김해시 동지역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지역에 따른 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 봉상훈;박흥재;정성욱;김선영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503-504
    • /
    • 2006
  • 김해시 동지역을 중심으로 20개의 지점을 선정하여 대기중에 포함되어있는 휘발성유기화합물에 대해 Passive Sampler를 이용하여 2개월에 1회 측정하였다. 이를 GC/FID를 이용하여 정량분석하여 동지역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오염 분포를 나타내었다. 지역별로 오염 분포를 살펴본 결과 공단의 영향과 교통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지점의 농도가 전반적으로 높게 검출되었으며, 주택지 또는 주택인근지역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검출되었다.

  • PDF

중공사막모듈에 의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제거 및 회수 (Removal and Recovery of VOCs using a Hallow Fiber Membrane Module)

  • 강창국;차준석;전배혁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7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16-117
    • /
    • 1997
  • 1. 서론 : 다양한 산업공정에서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들은 물리, 화학적성질과 그들이 생성되는 기술적인 조건등에 따라 소각, 응측, 흡착, 흡수 등의 처리기술들이 사용되어왔다. 이러한 기존의 처리기술들은 안전성, 성능, 운전비, 시설공간 및 비용 등의 면에서 크게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이에 비하여 분리막을 이용한 공정은 배출가스에 대한 처리농도범위가 광범위하고 장치가 간단하여 시설투자비 및 운전비용이 낮으며 제거효율도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실험에서는 비다공성의 중공사막모듈을 통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분리특성을 고찰하였고,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와 feed가스의 유량 및 막양단의 압력차 등을 변화시키면서 막의 성능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 PDF

중수로원전 방사성유출물 관리와 유도배출한계 설정방법에 대한 고찰 (Review on the Management for Radioactive Effluent and Methodology for Setting of Derived Release Limits at Pressurized Heavy Water Reactors in Korea)

  • 김희근;공태영;정우태;김석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172-177
    • /
    • 2010
  • 중수로원전에서 환경으로 배출되는 방사성유출물의 양은 경수로원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고, 방사성유출물을 계속적으로 배출하는 연속배출(Continuous release)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원자로건물 배기 굴뚝(Stack) 등 주요 배출지점에 방사선검출기(Radiation detector)를 설치하여 방사성유출물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다. 또한 방사성핵종 별로 연간 배출 가능한 유도배출한계(Derived Release Limits: DRLs)를 정하고, 이들 설정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다. 본 논문은 중수로원전 방사성유출물에 대한 배출관리 방식, 유도배출한계의 설정기준, 설정 방법론과 설정 현황을 조사하여 검토하였다.

국내원전의 방사성유출물 배출현황과 특성에 대한 고찰 (A Review and Characteristics for Radioactive Effluents from the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

  • 손중권;공태영;최종락;김희근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7권3호
    • /
    • pp.138-145
    • /
    • 2012
  • 국내에서는 2010년 말 기준으로 21기의 원전이 운전 중에 있다. 이에 따라 원전에서 배출되는 방사성유출물은 지속적으로 늘어나 2010년에는 547.12 TBq이 배출되었다. 국내원전의 기체와 액체 방사성유출물 배출량은 2001년에서 2010년까지 10년 동안 경수로원전의 경우에는 연평균 11.61 TBq/호기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중수로원전의 경우 118.12 TBq/호기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들 기체나 액체 방사성유출물의 배출 핵종의 대부분은 삼중수소로 나타났다. 이러한 배출경향과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원전의 방사성유출물 관리에 대한 특성을 제시하였다.

탄소성유한요소법에 있어서 구성식의 응용

  • 김영석
    • 기계저널
    • /
    • 제29권3호
    • /
    • pp.270-278
    • /
    • 1989
  • 최근 탄소성체의 소성불안정 현상과 소성 변형집중화에 의한 연성파괴 거동의 해석에 유력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는 대변형 탄소성유한 요소법의 정식화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또한 이 유한요소법에 의한 각종 소성불안정 현상의 해석에 있어서 구성관계식의 선택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어 자주 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구성식의 특성에 대해서 논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