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活性炭

검색결과 1,160건 처리시간 0.03초

사료에 대한 활성탄의 첨가가 in vitro 시험시의 발효성상 및 영양소 소실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tivated Charcoal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Nutrient Disappearances)

  • 이봉덕;이수기;이기동
    • 농업과학연구
    • /
    • 제26권2호
    • /
    • pp.25-32
    • /
    • 1999
  • 본 시험음 활성탄의 첨가가 사료의 반추위내 발효성상 건물 및 영양소 소실율 반추위내 가스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in vitro 조건에서 실시되었다. 활성탄의 첨가수준은 0.00 0.25 0.50 %의 3수준이었으며, 사료의 조농비율은 볏짚과 농후사료 비율을 8:2 6:4 4:6 및 2:8로 하였다. 그리고 처리간 유의성은 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위액의 pH는 활성탄의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사료의 조농비율에 따른 영향은 8:2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VFA molar %는 활성탄 첨가에 의하여 유의한 결과는 아니지만 $C_2$는 감소되고 $C_3$는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조사료비율이 증가될 수록 전술의 결과와는 상반된 현상을 보였다. $C_2/C_3$ 비율도 활성탄의 첨가와 농후사료 비율의 증가에 의하여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건물 및 영양소 소실율에 있어서는 활성탄 첨가에 의하여 건물 조단백질 NDF ADF hemicellulose의 소실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조지방의 소실율은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조농비율에 의한 영향에 있어서는 농후사료의 비율이 증가할 수록 건물 및 영양소의 소실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반추위내 가스 생산량에 있어서는 활성탄 0.5% 첨가구가 0.25% 및 0.00%구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조사료의 비율이 높을수록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위 결과에서 보듯이 활성탄은 가축의 생산성 향상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것을 좀 더 명확히 밝히기 위해서는 활성탄의 흡착능력 위내의 세균총에 대한 연구 및 많은 생체실험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대나무 활성탄을 흡착제로 활용한 오염지하수 내 우라늄 제거 (The Uranium Removal in Groundwater by Using the Bamboo Charcoal as the Adsorbent)

  • 이진균;김태형;이민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51권6호
    • /
    • pp.531-542
    • /
    • 2018
  • 대나무 활성탄을 흡착제로 사용하여 우라늄으로 오염된 지하수를 정화하는 흡착 배치실험을 수행하였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두 종류의 대나무 활성탄을 사용하여 다양한 우라늄 농도를 가지는 인공오염수를 대상으로 활성탄 투입량에 따른 제거효율 변화를 측정하였다. 인공오염수의 다양한 pH, 온도, 흡착 시간 조건에서 흡착실험을 반복하여, 최적의 제거효율을 나타내는 대나무 활성탄의 적용 조건을 결정하였다. 실험 결과, 인공오염수에 대한 대나무 활성탄의 우라늄 제거효율은 70 ~ 97 %를 나타내었으며, 우라늄 농도가 0.14 mg/L인 실제 우라늄 오염지하수에 대한 제거효율도 84 %로 매우 높았다. 오염수의 온도의 경우 $10{\sim}20^{\circ}C$ 범위, pH는 5 ~ 9 범위에서 우라늄 제거효율 변화가 크지 않아, 현장에서 별도의 추가 처리 없이 오염지하수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흡착실험 결과로부터 대표적인 흡착등온선을 도시한 결과, 우라늄에 대하여 대나무 활성탄은 Langmuir 흡착특성을 나타내었으며, A type과 C type 대나무 활성탄의 최대흡착농도($q_m:mg/g$)값은 각각 200.0 mg/g와 16.9 mg/g으로 높게 나타났다. 오염수 100 mL에 대나무 활성탄 2 g(2 wt%)을 첨가한 경우, 초기 우라늄 농도가 0.04 ~ 10.8 mg/L 범위에서 분리상수 값(separation factor: $R_L$)과 표면흡착률 값(surface coverage: ${\theta}$)이 1 이하로 낮게 유지되어, 다양한 우라늄 농도 범위를 가지는 오염지하수에 대하여 적은 양의 대나무 활성탄으로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방사성 액체 폐기물 내 우라늄 흡착에 대한 활성탄의 표면 처리 영향 (Effect of Surface-Modification of Activated Carbon for Adsorption of Uranium in Radioactive Liquid Wastes)

  • 장재덕;이근우;송기찬;강호;오원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827-835
    • /
    • 2000
  • $HNO_3$ 및 NaOH 용액으로 표면 처리한 활성탄을 이용하여 방사성 액체 폐기물 내에 잔존하는 우라늄의 흡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HNO_3$ 처리후 NaOH로 처리한 활성탄(Na-OAC)은 $HNO_3$만으로 처리한 활성탄(OAC)과 NaOH만으로 처리한 활성탄(Na-AC)에 비해 우수한 우라늄 흡착 성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현상을 활성탄의 표면처리에 의한 표면 관능기 증가 및 용액의 pH 상승에 따른 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HNO_3$ 및 NaOH 용액을 이용하여 표면 처리한 활성탄을 이용한 우라늄 흡착 제거 공정에서는 용액 pH와 표면 처리에 의해 형성된 표면 관능기가 흡착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다.

  • PDF

Fenitrothion과 Tebuconazole의 입상 활성탄 및 차콜에 의한 흡착과 용탈에 관한 연구 (Sorption and Leaching Studies of Fenitrothion and Tebuconazole in Granular Activated Carbon and Charcoal)

  • 이동익;천소을;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7-55
    • /
    • 2006
  • 본 실험은 농약 흡착제(adsorbent)로서 입상 활성탄(활성탄 I 및 활성탄 II) 및 차콜의 사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흡착질(adsorbate)로 현재 골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살충제인 스미치온(Fenitrothion)과 살균제인 호리쿠어(Tebuconazole)를 대상으로 하였다. 흡착실험에서는 스미치온 및 호리쿠어의 처리 농도별 흡착에 미치는 영향과 흡착제의 입자크기가 흡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흡착실험에서는 흡착제의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높은 흡착율을 보였으며, 활성탄이 차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흡착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스미치온의 탈착(desorption)에 관한 실험에서는 활성탄 및 차콜 모두 1200mm 이상의 강우량에서도 스미치온이 용탈되지 않았으므로, 차콜 또한 활성탄과 함께 골프장 농약 흡착제로서의 이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탄을 이용한 산업체 악취물질의 열적 흡탈착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 Adsorption and Desorption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Odorants using Activated Carbon)

  • 김주연;이영우;한문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3호
    • /
    • pp.551-555
    • /
    • 2012
  • 활성탄을 이용한 산업체 악취물질 제거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업용 활성탄의 탈착반응 특성을 조사하였다. 활성탄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BET 비표면적을 분석하였으며, 활성탄의 흡착력을 평가하기 위해 요오드가를 측정하였다. 활성탄에 흡착된 악취물질의 탈착반응특성 평가를 위해 열중량분석기(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를 사용하였다. 활성탄의 흡 탈착에 따른 반응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Friedman 법과 Freeman-Carroll 법을 이용하여 활성화에너지와 반응차수를 계산하였다. 활성탄은 신탄일 때 보다 재생탄일 때 흡착능력이 현저히 떨어졌으며, Friedman 법을 이용하여 활성화 에너지를 계산한 결과 15.9~23.4 kJ/mol, Freeman-Carroll 법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22.7~33.8 kJ/mol로 나타났다.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활성탄의 VOC 흡착특성

  • 최상기;도상현;;김윤갑;최성우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5년도 봄 학술발표회지 제14권(제1호)
    • /
    • pp.196-198
    • /
    • 2005
  • 활성탄은 마이크로파의 흡수율이 우수하지만 활성탄 입자 주위 전계의 집중으로부터 방전이 일어나 국소가열 및 분해의 가능성이 있어, 마이크로파 출력이 높아져도 방전이 발생하지 않은 자성흡착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 PDF

낙동강 수계에서의 Perchlorate 검출 및 활성탄 공정에 의한 제거특성 (Detection of Perchlorate in Nakdong River and Removal Characteristics of Perchlorate by Granular Activated Carbon Process)

  • 손희종;정철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38-443
    • /
    • 2007
  • 2006년 6월부터 12월까지 낙동강 본류 및 주요 지천들에서의 perchlorate 검출현황을 조사한 결과, 2006년 6월에 구미 하류인 왜관에서 82.1 ${\mu}g/L$가 검출되었으며, 고령에서 34.1 ${\mu}g/L$, 대암 18.3 ${\mu}g/L$, 적포 12.6 ${\mu}g/L$, 남지 13.6 ${\mu}g/L$ 및 부산시 상수 취수원인 물금에서 7.6 ${\mu}g/L$가 검출되었다. 이런 결과는 구미와 왜관 사이에 perchlorate 오염원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하류로 갈수록 perchlorate 검출농도가 낮아졌다. 또한, 2006년 7월부터 12월까지 채수한 낙동강 본류 및 지천 시료에서는 perchlorate가 전혀 검출되지 않아 2006년 6월에 일시적으로 perchlorate가 구미와 왜관 사이의 본류에서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탄 공정에서의 perchlorate 제거 특성을 조사한 결과, 3.1년 사용탄에서는 활성탄 재질별로 거의 흡착능이 없었으며, 석탄계 및 야자계 재질의 활정탄 신탄에서는 운전초기에는 흡착 제거되어지나, 목탄계 활성탄에서는 신탄에서도 제거능이 낮았으며, 석탄계 신탄은 BV 2,300 정도에서 파과에 도달하였고, 야자계와 목탄계 신탄의 파과시점은 BV 719와 288 정도로 나타났다. 또한, 활성탄 g당 perchlorate에 대한 최대 흡착량(X/M)은 석탄계 활성탄이 $768.2{\mu}g/L$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야자계 $299{\mu}g/L$, 목탄계 $99.2{\mu}g/L$로 나타났다. CUR의 경우 석탄계 활성탄은 0.71 g/일, 야자계와 목탄계 활성탄은 2.16 g/일과 3.45 g/일로 나타났다. 석탄계, 야자계 및 목탄계 활성탄의 k값은 각각 307.2, 102.5 및 94.2로 나타났다.

활성탄을 이용한 낙동강 상수원수의 수처리 효과 (Efficiency of Activated Carbon Treatment Processing on Raw Water Purification for Nakdong River)

  • 임영성;강관호;이홍재;서동철;허종수;손보균;조주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08-215
    • /
    • 2002
  • 상수원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함으로서 양질의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낙동강 상수원수를 대상으로 활성탄처리에 의한 공탑체류시간 및 활성탄 여층 깊이에 따른 수처리 효율과 생물활성탄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탑체류시간(EBCT)에 따른 수처리 효율은 EBCT가 증가 할수록 증가되었으나 운전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활성탄 흡착능력은 감소되어 처리효율도 서서히 감소하였다 활성탄 여층 깊이에 따른 pH 변화는 활성탄 층 깊이에 따라 거의 없었으며, DO는 활성탄 층 깊이가 깊을수록 서서히 감소하였다. $KMnO_4$ 소비량, UV254 흡광물질, DOC 및 THMFP 처리효율은 활성탄 표층으로부터 하부로 내려갈수록 증가하였으며, 운전시간이 경과할수록 활성탄 상층부에 형성되어 있던 흡착대가 하부로 이동하였다. DOC의 상당 부분이 활성탄여과지에 서식하는 미생물 작용에 의해 분해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전개시 126일 후의 BAC에서 활성탄 표층으로 부터 깊이 20 cm부근에 미생물이 $1.1\times10^7\;cell/cm^3$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관찰되어 생물활성탄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었다.

활성탄을 활용한 정제연료유의 물리화학적 변화 연구 (A Study of physicochemical changes for refined fuel using activated carbon)

  • 김신;강형규;임태윤;이종은;김지현;최대성;정충섭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59.1-159.1
    • /
    • 2010
  • 활성탄은 입자내 공극이 잘 발달된 무정형 탄소로써 흡착성 및 촉매성이 뛰어나 폐유를 연료로 전환하는 과정에 회분, 중금속 및 기타 이물질 제거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연구가 간헐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활성탄을 활용하여 이온정제유, 감압정제유, 재생연료유를 대상으로 흡착성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물리적 및 화학적 성분 변화를 통해 활성탄이 정제연료유에 미치는 영향 및 분자체 작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활성탄 흡착에 의한 이취미 및 천연유기물질의 최적 제거 방안 (Optimal removal of taste & odor and natural organic matter by activated carbon adsorption)

  • 채선하;안창진;전항배;왕창근
    • 수도
    • /
    • 제23권6호통권81호
    • /
    • pp.30-35
    • /
    • 1996
  • 조류의 성장에 기인하여 대청호로부터 발생된 이취미와 천연유기물질의 제거를 위해 활성탄 흡착에 관한 파일롯 플랜트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청호원수의 용존유기물질 농도는 1.5-3.5mg/1으로 나타났고, 이취미를 유발시킨 주 성분인 Geosmin농도는 가을에 60ng/1 이상이 검출되었다. 이는 8월말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10월말 까지 지속되었다. 이는 8월말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10월말 까지 지속되었다. 한국수자원공사 대청수도내 파일롯 플랜트는 재래식정수처리 시스템에 오존산화공정, 4개의 입상활성탄 흡착탑으로 구성되었다. 공탑체류시간(EBCT) 15분 이상에서, 이취미 발생기간동안 GAC 3지와 4지에서 이취미는 완전히 제거되었다. 활성탄 원료 종류별 DOC제거를 위한 파일롯연구에서 석탄계 활성탄으로 충진한 GAC 3지와 4지는 운전 3개월 후에 파괴되기 시작하였고, 이 후 4개월의 운전동안 약 40-50%의 일정한 제거효율을 보여주었다. 야자계 활성탄으로 충진된 GAC 2지는 2개월의 운전 후에 완전히 파괴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