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太素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태소(太素)"찬저구체시간신증 -"태소(太素)"가 지어진 구체적인 시간에 대한 새로운 견해-

  • 전초반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9 no.2 s.33
    • /
    • pp.301-304
    • /
    • 2006
  • 양상선(楊上善)이 지은 ${\ulcorner}$황제내경태소(黃帝內徑太素)${\lrcorner}$삼십권(三十卷)은 ${\ulcorner}$황제내경(黃帝內徑)${\lrcorner}$의 초기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지금 이십오권(二十五卷)만 존재하는 ${\ulcorner}$태소(太素)${\lrcorner}$${\ulcorner}$황제내경(黃帝內徑)${\lrcorner}$을 연구하는 데에 반드시 참고해야 한다 . 양상선(楊上善)이 어느 시대의 사람이고, 언제 ${\ulcorner}$태소(太素)${\lrcorner}$가 지어졌는지는 학계에 여러 의견이 분분하다. 이 글은 풍부하고 구체적이며, 확실한 문헌사료에 근거하여 양상선(楊上善)이 당초인(庸初人)이며, ${\ulcorner}$태소(太素)${\lrcorner}$가 지어진 구체적인 시간은 A.D. 662년(年)에서 670년(年) 사이 (즉 당고종(庸高宗) 용삭이년(龍朔二年) 임술(壬戌)년에서 함형원년(或亨元年) 경오(慶午)년의 사이) 임을 밝히고 있다.

  • PDF

행우서옥장고권자본(杏雨書屋藏古卷子本)"태소(太素)"권이십일(卷二十一) 및 이십칠(二十七)의 번자(繁字) -杏雨書屋藏古卷子本"太素"卷二十一および二十七の翻字

  • ;Kim, Eun-Ha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21 no.4
    • /
    • pp.197-201
    • /
    • 2008
  • 仁和寺本"太素"は影印されて流傳することすでに二十餘年であるが,その中の卷二十一, 二十七および若干の斷簡は,實際には摹寫本の影印であった. 摹寫は極めて精巧であるから,一般に內容を理解するうえで基本的に問題は無いと考えられてきた. ところが最近になって影印發行にともない,卷二十一および二十七の活字化を擔當して,眞物を詳しく研討した結果,"基本的に問題が無い"ということと"完全に問題が無い"ことの間にはかなり大きな違いが有ることを痛感した. よって最近の研究結果を紹介し,杏雨書屋藏古卷子本"太素"影印の價値を廣く知らしめたいと思う.

  • PDF

关于"黃帝內经太素" 输穴理论的探讨 ("황제내경태소(黃帝內經太素)"의 수혈이론(輸穴理論)에 관한 고찰(关于"黃帝內经太素" 输穴理论的探讨))

  • Ryu, Jeong-A;Baek, Sang-Ryong;Jeong, Chang-Hyeon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25 no.1
    • /
    • pp.31-49
    • /
    • 2012
  • 硏究趣旨: "黃帝內经太素"是唐初杨上善对"黃帝內经"的內容进行分类整理, 并添加注释编纂而成的书籍. 在编纂"太素"的同时, 杨上善又将当的"黃帝明堂经"中的输穴分为12经脉和奇经八脉, 并对各个输穴的位置和针刺方法, 主治病症等做了详细的注释, 将其编为13卷的"黃帝內经明堂". "太素"和"明堂" 在公元763左右一同传入日本, 此后便成为了日本医生及针针灸敎育的主要教材. 但是"明堂"在9C末除序文和第一卷以外的12卷均遭到遗失, 只剩下了残卷仁和寺永仁本 永德本和尊经阁本. 不过值得庆幸的是, 984年丹波康赖编纂的 "医心方"第2卷关于输穴和针灸的內容中记载了杨上善"明堂"的內容, 因此对"太素"的输穴理论进行硏究时可以参考这本书. 硏究方法: 是从 "太素" 中选取有关输穴的篇章和语句后, 通过将杨上善的注释內容与 "黃帝內经", "难经"和"黃帝內 经 明堂", "医心方"的內容进行对比来加深对"太素" 输穴理论的理解. 然后后将选取的內容分为几大类, 并对各大类的核心语进行了归纳和演绎. 结论: 关于"太素"的输穴理论最后得出了以下几个结论. 1. 所谓输穴有着双重含义, 一是指经脉或脏腑的气经过输送所到达的地方, 另一个是指可以通过实施针灸等治疗方法使疾病痊愈的地方. 在这两个含义中, 杨上善更偏重于治愈疾病这层含义. 2. 脉气所发指的是脉气向经脉的流注路线以及临近部位发散的'气府'的概念. 因此根据位置邻近性原则, 输穴可以是所属完全不同的经脉的脉气所发穴. 对于脉气所发的气府槪念, 杨上善认为它不同于腧穴归经. 脉气所发穴适用于在发病部位的邻近部位近位取穴. 3. 原穴作为向本输输送脏腑原气的场所, 位于四肢的腕踝部位, 是脉动处和诊脉部位, 并且也是直接对脏腑原气进行调节的主要治疗处. 受"难经" 原气说的影响, 杨上善尤其重视本输中的原穴. 他的重视原气和原穴的思想在其对下焦的膀胱脉和部分路线并行的足三焦的说明中也有体现. 4. 对于'心不受邪'杨上善解释说此句是个部分否定句, 其意义不是说心完全不受邪气, 而是说其不太受外邪. 并用这句话对"本输"里没有手少阴心的本输, 而"经脉" 中却记载了心脉的是动所生病, "明堂"中记载了手少阴心的五输穴这一矛盾做出了解释. 5. 颈项部位有好几处输穴是能够观察脏腑气运的诊脉处, "本输"中记载有10处, "寒热杂说"中记载有5处. 这些穴名的特征是大多数都包含一个'天'字, 杨上善将这些输穴中的扶突, 人迎, 天牗, 天柱, 天府称为'五部大输'. 笔者认为这些输穴和本输部位的相应经脉的输穴都曾被看作是人迎寸口脉法等比较脉法的诊脉处, 但是"太素"编纂的当时好像并没有记其记载为比较诊脉处.

仁和寺藏古巻子抄本"黃帝內経太素"に見られる 日本的な誤りについて (인화사(仁和寺)에 소장된 "황제내경태소(黃帝內經太素)" 고권자초본(古卷子抄本)의 전사과정(傳寫過程)에 나타난 일본(日本)에서의 오류(誤謬)에 관하여)

  • 좌합창미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7 no.4
    • /
    • pp.64-68
    • /
    • 2004
  • 당(唐)나라 고종시대(高宗時代)(7세기후반기(世紀後半期))에 유행(流行)했던 양상선(楊上善)이 선주(選注)한 "황제내경태소(黃帝內経太素)"가 일본(日本)에 전(傳)해진 것은 현종시대(玄宗時代)(8세기전반기(世紀前半期))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 후 "태소(太素)"는 중국(中國) 송대(宋代)에는 이미 거의 모두 유실(流失)되었다. 일본(日本)에서도 점차 확실하게 전승(傳承)되지 못했지만 강호시대말기(江戶時代末期)에 이르러 경도(京都)의 인화사(仁和寺) 서고(書庫)에서 재발견(再發見)되었다. 따라서 지금 볼 수 있는 "태소(太素)"에 수록된 내용들은 모두 인화사(仁和寺)에 저장된 고권자초본(古卷子抄本)(이하(以下)에서 인화사본(仁和寺本)이라고 약칭(略稱))으로부터 유래(由來)해온 것이다. 이 초본(抄本)은 1165~1168년(年)에 단파뢰기(丹波頼基)가 직접(直接) 쓴 것이다. 그가 기초로 삼았던 원본은 일세대전(一世代前)의 단파헌기(丹波憲基)가 쓴 것이다. 이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인화사본(仁和寺本) "태소(太素)"의 정리(整理)에서 최초에 초사(抄寫)할 때 착오(錯誤)가 있었다는 것을 고려(考慮)할 필요성(必要性)이 일반고의적이상(一般古医籍以上)으로 크다고 말할 수 있으며, "소문(素問), "영추(靈樞)"와의 이동점(異同點)에 대해서도 교기(校記)할 필요(必要)가 없는 것을 응당 지적(指摘)해내야 한다. 그중 상당한 부분(部分)은 옮겨쓴 사람이 일본인이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런 것들은 일본인(日本人)에 의하여 교정(校正)하는 것이 더 편리(便利)하다고 생각된다. 단지 대륙(大陸)의 문화(文化)가 고대일본(古代日本)에 전입(轉入)되는 과정에서 고대한국인(古代韓國人)의 작용이 컸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태소(太素)"초본(抄本)에도 "일본적(日本的)인 착오(錯誤)"외에 "고대한국적(古代韓國的)인 착오(錯誤)"가 있을 가능성도 있다. 금후(今後)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 PDF

Study on The explanation of channel disease in "Tai Su(太素)". ("태소(太素) . 경맥병해(經脈病解)"에 대한 연구)

  • Lee, Yong-Bum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20 no.4
    • /
    • pp.151-169
    • /
    • 2007
  • The "Tai Su(太素)" which was published by Yang Shang Shan(楊上善) during the Tang(唐) dynasty does not follow complicating hand down procedures allowing it to be preserved in a relatively satisfactory state, and the book is evaluated as a major article in the study of the "Yellow Emperor's Internal Classic(黃帝內經)" in the modern age. The book of "Tai Su explanation of channel diseases(太素 經脈病解)" offer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disease symptoms found in the book of "Miraculous Pivot channels(靈樞 經脈)", and Yang Shang Shan(楊上善) provided relatively complete explan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ne and wax of shadow and sunshine powers(陰陽消長). The present writing was projected to acknowledg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oks of "Tai Su explanation of channel diseases(太素 經脈病解)" and "Miraculous Pivot channels(靈樞 經脈)" and substantiall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original text of the "Tai Su(太素)" by adopting the perspectives of Yang Shang Shan(楊上善) in explaining the disease symptoms as he attempted in the book of "Miraculous Pivot channels(靈樞 經脈)". Total 50 disease symptoms were explained in the book of "Tai Su explanation of channel diseases(太素 經脈病解)", and 33 of them are common to the symptoms described in the book of "Miraculous Pivot channels(靈樞 經脈)" by taking up about 66% of the book. The monthly attachment(月別配屬) of three shadow and three sunshine power(三陰三陽), which is described in the book of "Tai Su explanation of channel diseases(太素 經脈病解)" provides an important clue in understanding the exterior and interior(表裏) relationship, and the crucial perspective lies on the mutual intensity change of shadow and sunshine powers. Therefore, the monthly attachment of three shadow and three sunshine power provided by the present article help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three shadow and three sunshine power along with the time attachment(時間配屬) described in the other chapter of the "Yellow Emperor's Internal Classic(黃帝內經)". In the method of explaining pathogenesis, the explanation was made by understanding the perspective of mutual intensity change of shadow and sunshine powers, and exterior and interior relationship along with the channel Path(經脈流注) have been used simultaneously. In the comment of the main article, Yang Shang Shan(楊上善) stated the channels of hands and feet(手足經脈) as the scope of the three shadow and three sunshine power, but the symptoms and signs are mainly focused on the channels of feet as in the book of "Miraculous Pivot channels(靈樞 經脈)".

  • PDF

A Study on the FanQie(反切) Mark of HuangdineijingTaisu (『황제내경태소(黃帝內經太素)』 반절(反切) 표기에 대한 고찰)

  • Ahn, Jin-hee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32 no.1
    • /
    • pp.29-48
    • /
    • 201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ich system the FanQie notation of "Taisu(太素)" followed by comparing FanQie notation appearing in "Taisu", with the Sound button(聲紐) and Rhyme system(韻類) of the FanQie notation appearing in the "Qieyun(切韻)" system phonology book and "Guangyun(廣韻)". Methods : Followed by organizing the FanQie list in "Taisu", in comparing this list with the top and bottom characters of FanQie in the "Qieyun" system phonology book and "Guangyun", this study explores the similarity of the system after noting the Sound button and the Rhyme system. Results & Conclusions : 1. Compared to FanQie of "Taisu" with that of "Qieyun" system, the Sound button and Rhyme system were 61.54% identical, and when comparing FanQie of "Taisu" with that of "Guangyun", the Sound button and Rhyme system were 55.45% identical. 2. Comparing FanQie top and bottom letters themselves of the "Taisu" and "Qieyun" system, of the 217 FanQie sound notation Chinese characters, FanQie top and bottom letters of 18 characters were the same, accounting for 8.29%, and when compared to the "Taisu" with the FanQie top and bottom characters of "Guangyun", 15 FanQie top and bottom characters were the same, accounting for 6.91%. 3. Of the total 11,500 characters in "Qieyun", the ratio of FanQie notation Chinese characters in "Taisu" was 1.89%, and among them, nine characters came out in "Taisu" FanQie notation while there was none in "Qieyun". This accounted for 4.15% of 217 FanQie notation sound Chinese characters in "Taisu", demonstrating that this represented a relatively high ratio. 4. Conclusionally "Taisu" was more closely related to "Qieyun" system phonology book than "Guangyun" in FanQie notation, and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Yang Shangshan has created some FanQie notation by himself or additionally referred to other phonology books that are not "Qieyun" system phonology book.

The international cooperativ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ir pollution and material corrosion in Northeast Asia (대기오염과 재료 부식과의 관계에 대한 동북아 공동연구)

  • 김선태;유영억;전전태소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265-266
    • /
    • 2001
  • 대기오염이 인체나 생태계에 대한 피해뿐만 아니라 재료나 구조물에 대한 부식을 통하여 재산상의 피해를 초래한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인체나 생태계에 대한 피해가 오랜 기간에 걸쳐 발생하며 여러 인자가 복잡하게 관여하는 관계로 이 분야에 대한 많은 연구 결과를 접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결국, 이는 대기오염에 대한 사회적 무관심 속에 환경분야 내에서도 행ㆍ재정적 우선순위에서 뒷전으로 밀려나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소문(素問)』판본개요(版本槪要)

  • 마야나기 마코토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26 no.4
    • /
    • pp.195-201
    • /
    • 2013
  • "소문(素問)" 은 다수의 판본(版本)이 존재하는데, 자구(字句)의 차이가 현저하여 조문(條文)의 훈고(訓詁)나 이해에 곤란한 면이 있다. 판본(版本) 상호간의 관계가 지금까지 해명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성서(成書) 이래의 전승과정을 정리하고, 판본(版本)으로 만들어진 북송(北宋) 이래의 변화를 여러 현존(現存) 판본(版本)의 자구대교(字句對校) 및 사서(史書) 목록(目錄)의 기재(記載)를 통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망일(亡佚)된 송판(宋版)을 포함하여 고본(古本) 13종(種)의 존재가 확인되었으며, 그 상호관계를 "소문(素問)" 본편(本篇) 고본계통도(古本系統圖)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 결과에 의하여 다음 사항들이 밝혀졌다. (1) "소문(素問)"의 자수(字句)는 기본적으로 북송(北宋) 1069년(年)의 희녕본(熙寧本)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없다. (2) 희녕본(熙寧本)(망일(亡佚))의 구태(舊態)를 유일하게 보존하고 있는 것은 1550년(年)에 발간(跋刊)된 명(明)나라 고종덕본(顧從德本)이다. 고본(顧本)을 연구의 제일저본(第一底本)으로 삼아야 함은 향후에도 변치 않을 것이다. (3) 원(元)나라 1283년(年)의 독서당본(讀書堂本)은 북송(北宋) 1078-85년(年)의 원풍본(元豊本)(망일(亡佚)) 계통이다. 일본(日本)의 실정고초본(室町古鈔本)은 북송(北宋) 1121년(年)의 선화본(宣和本_(망일(亡佚)) 계통이다. (4) 따라서 북송판(北宋版) 3종(種)의 옛 모습을 보유한 고종덕본(顧從德本), 독서당본(讀書堂本), 고초본(古鈔本)의 경주문(經注文)을 대교(對校)한다면 희녕본(熙寧本) 혹은 그 저본(底本)에 한층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5) 희녕본(熙寧本) 이전의 양상을 이해하려면 "태소(太素)"나 "갑을경(甲乙經)" 등과 교이(校異)하는 것이 좋겠으나 한계도 있다. (6) 상기(上記)한 것 외에 현존하는 제판(諸版)은 모두 파생본(派生本)이다. 따라서 판본(版本) 연구에는 유용하겠지만 자구(字句)의 훈고(訓詁)나 조문(條文)의 이해에는 적당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