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ΔS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8초

Cis-Trans Isomerization of Dimeric $[Me_2Al(μ-NH^tBu)]_2$

  • Park, Joon T.;오원태;김윤수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7권12호
    • /
    • pp.1147-1149
    • /
    • 1996
  • The trans (2a)-cis (2b) isomerization of [Me2Al(μ-NHtBu)]2 (2) has been studied by 1H NMR spectroscopy. The equilibrium has been observed to follow reversible first order kinetics with ΔH0=2.22±0.07 kJmol-1 and ΔS0=2.85±0.07 JK-1mol-1. The activation parameters for the conversion 2a→2b are ΔH1=49.7±2.3 kJmol-1 and ΔS1=-126.3±0.2 JK-1mo1-1 and for the reverse reaction 2b→2a are ΔH-1=47.5±2.3 kJmol-1 and ΔS-1=-129.1±0.5 JK-1mol-1. The isomerization is markedly accelerated in the presence of Lewis bases. A crossover experiment indicates that the isomer interconversion is a unimolecular process. The large negative entropies of activation suggest either the existence of a sterically congested intermediate or the participation of solvent in the isomerization process.

다양한 기후조건에 따른 유역에서의 물과 에너지 분배 (Water and energy partitioning of catchments under various climatic conditions)

  • 유상현;백경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103-103
    • /
    • 2023
  • 질량 및 에너지 보존 법칙은 수문현상을 포함한 자연 현상의 기본 법칙이다. 유역에서 물의 질량 보존은 강수량 P가 유출량 Q, 증발산량 E, 그리고 육역저수량변화 ΔS로 분할되는 것(P=Q+E+ΔS)을 의미하며 열 에너지 보존은 순복사에너지 Rn이 잠열 λE, 현열 H, 그리고 지열 G로 분할되는 것(Rn=λE+H+G)을 의미한다. 유역에서 물과 에너지의 분배 과정은 E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두 과정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기후 및 지표환경의 변화를 예측하고 대비하는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미국 전역의 400여개 유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Model Parameter Estimation Project(MOPEX)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역의 기후 조건에 따라 물과 에너지의 분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Budyko 평면에서 분석했다. 장기간에 대해 ΔS와 G는 무시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건조한 유역일수록 P, Q, 그리고 E 모두 작게 나타나는데 P와 Q의 감소폭이 훨씬 크기 때문에 E의 P에 대한 비는 크게 나타났다. 또한 건조한 유역일수록 E는 작고 Rn이 크기 때문에 H가 크게 나타났으며 H가 큰 유역일 수록 유역의 최대 기온과 최저 기온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동일한 유역내에서 물과 에너지 분배의 시간적 변화로도 나타나고 있다.

  • PDF

양이온성 계면활성제(DTAB, TTAB 및 CTAB)에 의한 4-할로겐화 아닐린의 가용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Solubilization of 4-Halogenated Anilines by Cationic Surfactants (DTAB, TTAB, and CTAB))

  • 이병환;이동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994-1002
    • /
    • 2021
  • 양이온성 계면활성제(DTAB, TTAB 및 CTAB)에 의한 4-할로겐화 아닐린의 가용화상수(Ks)값을 UV-Vis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든 아닐린 유도체에서 온도의 증가에 따라 Ks은 모두 감소하였으며, 할로겐 치환기의 반지름과 계면활성제의 소수기길이를 증가할수록 Ks값은 더욱 증가하였다. 이들 가용화상수 값을 이용하여 계산한 ΔGo와 ΔHo값은 측정한 범위 내에서 모두 음의 값을 그리고 ΔSo값은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모든 아닐린 유도체에서 온도를 증가함에 따라 ΔGo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온도의 증가에 따라 ΔHo와 ΔSo값은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할로겐치환기의 반지름을 증가할수록 이들 열역학 함수 값들은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계면활성제의 소수기길이를 증가하였을 때 이들 열역학 함수 값은 아닐린유도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런 열역학 함수 값들의 변화로부터 4-할로겐화 아닐린과 미셀과의 상호작용의 종류와 세기를 그리고 이들이 미셀 내에서 가용화되는 위치를 추정할 수 있었다.

BSCCO 박막에서 단일상 형성을 위한 열역학 조건 (Thermodynamic Conditions for Formation of Single Phase in BSCCO Thin Films)

  • 이동규;박용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73-177
    • /
    • 2002
  • High quality BSCCO thin films have been fabricated by means of an ion beam sputtering at various substrate temperatures, T$\sub$sub/, and ozone gas pressures, pO$_3$. The correlation diagrams of the BSCCOphases with T$\sub$sub/ and pO$_3$ are established in the 2212 and 2223 phases come out as stable phases depending on T$\sub$sub/ and pO$_3$. From these results, the thermodynamic evaluation of ΔH and ΔS, which are related with Gibbs\` free energy change for single Bi2212 or Bi2223 phase, were performed.

Bi 초전도 박막에서 단일상 형성을 위한 열역학 분석 (Analysis of Thermodynamics for Formation of Single Phase in Bi-superconducting Thin Films)

  • 천민우;박용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623-626
    • /
    • 2002
  • High quality BSCCO thin films have been fabricated by means of an ion beam sputtering at various substrate temperatures, Tsub, and ozone gas pressures, pO$_3$. The correlation diagrams of the BSCCO phases with Tsub and pO$_3$are established in the 2212 and 2223 compositional films. In spite of 2212 compositional sputterina Bi2201 and Bi2223 as well as Bi2212 phases come out as stable phases depending on Tsub and pO$_3$. From these results, the thermodynamic evaluation of ΔH and ΔS, which are related with Gibbs' free energy change for single Bi2212 or Bi2223 phase, was performed.

  • PDF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Some Coumarin Complexes

  • M. G. Abd El Wahed;K. El Manakhly;N. El Khososy;A. El Farargy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8권6호
    • /
    • pp.594-599
    • /
    • 1997
  • A number of complexes of transition metal ions with some coumarin derivatives have been prepared and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with the help of conductometric, photometric and infrared studies. The stability constants of various complexes were determined, in aqueous medium, at different temperatures potentiometrically. The thermodynamic characteristics, ΔG, ΔH and ΔS, were calculated. The electrical behaviour of prepared compounds was followed.

Dioxouranium(Ⅵ) 이온과 Hydrazide Schiff Base 리간드와의 착물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lexation of Dioxouranium(Ⅵ) Ion with Hydrazide Schiff Base Ligands)

  • 차분희;허영애;최규성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538-542
    • /
    • 1995
  • Hydrazide schiff base 리간드인 N,N'-oxalylbis(salicylalde hydehydrazone)(OBSH)과 N,N'-malonylbis(salicylaldehydehydrazone)(MBSH), N,N'-succinylbis(salicylaldehydehydrazone)(SBSH) 리간드들과 $UO_2^{2+}$ 이온과의 착물형성에 따르는 안정도상수와 열역학적 파라미터를 95% DMF 용액에서 전위차 적정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안정도상수의 크기는 SBSH$UO_2^{2+}$ 이온과의 착물형성에 대한 ΔH는 OBSH에 대해서는 음의 값을 갖는 발열반응임을 알 수 있었고, MBSH, SBSH에 대해서는 양의 값을 갖는 흡열반응임을 알 수 있었다. ΔS는 OBSH < MBSH < SBSH로 증가하였다.

  • PDF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계에서 할로겐화 펜아실과 피리딘유도체와의 친핵성 치환반응에 대한 속도론적 연구 (Kinetic Studies on 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 of Phenacyl Halides with Pyridines in MeOH-MeCN Mixtures)

  • 구인선;양기열;박종근;이익춘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2-46
    • /
    • 1997
  • 25℃와 35℃에서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계에 대한 할로겐화 펜아실과 피리딘 치환체와의 친핵성치환반응을 속도론적으로 연구하였다. 전이상태 파라미터인 ΔH≠와 ΔS≠ 및 Brosted β값으로 보아 $S_N2$반응 메카니즘을 예상할 수 있었고, 이탈기 변화에 따른 QM모형의 적용으로 이들 반응의 전이상태 역시 생성물 닮은 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양모―케라틴 유도체막과 메틸오렌지 및 그 동족체와의 고온영역에서의 상호작용 (Interaction of Wool-Keratine Membrane with Methyl Orange and It's Homologs over the Temperature Range 60~9$0^{\circ}C$)

  • Jeon, Jae Hong;Lee, Hwa Sun;Kim, Gong Ju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0-46
    • /
    • 1995
  • In order to study the dyeability of wool S-cyano ethylated wool-keratine(SCEK) as a model compound of wool was prepared from the reaction of reduced merino wool fiber and acrylonitrile. The binding of acid dyes(methyl orange and it's homologs) by SCEK over the temperature 60~9$0^{\circ}C$ were investigated. The first binding constants and the thermodynamic parameters in the course of the binding were evaluated. It was found that at the 60~9$0^{\circ}C$ range complex formation between the dye and SCEK is associated with an exothermic enthalpy change and a positive entropy change. The enthalpy and entropy changes of the binding are of the order of -4.5 kcal/mole and 8.5 eu, respectively, for each dye measured. Thus the binding is mainly enthalpy-controlled. Furthermore the effect of the alkyl chain length of the dye on both the ΔH$^{\circ}$and ΔS$^{\circ}$value is not prounced. Also temperature dependences of the ΔH$^{\circ}$and ΔS$^{\circ}$values were not obserbed.

  • PDF

Novel Counter Ion Effect on the Disruption of the Homobimetallic Anion,$ (\eta^5-MeCp)Mn(CO)_2Mn(CO)_5-M^+ (M^+=Na^+, PPN^{+a}) by PR_3 (R=C_6H_5,\; C_2H_5,\; OCH_3)$

  • 박용광;김선중;이창환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9권4호
    • /
    • pp.462-466
    • /
    • 1998
  • The homobimetallic anion, $({\eta}^5-MeCp)Mn(CO)_2Mn(CO)_5-M^+\; (M^+=Na^+, PPN^+$) was disrupted by $PR_3\;(R=C_6H_5,\;C_2H_5,\;OCH_3)$ in THF at various temperatures (r.t. ∼65℃) under the pseudo first order reaction conditions where excess of $PR_3$ was employed under a nitrogen atmosphere. For the reaction involving $PPN^+$ analog, Mn-Mn heterolytic cleavage occurred, leading to $PPN^+Mn(CO)_5^-\; and \;({\eta}^5-MeCp)Mn(CO)_2PR_3$ as products; however, in case of $Na^+\; analog,\; Na^+$ seems to play a novel counter ion effect on the disruption reaction by transferring one terminal CO from the $Mn(CO)_5$ moiety on to the $({\eta}^5-MeCp)Mn(CO)_2$ of the corresponding homobimetallic complex, eventually resulting in $Na^+Mn(CO)_4PR_3^-\;and\;({\eta}^5-MeCp)Mn(CO)_3$. This reaction is of overall first order with respect to [homobimetallic complex] with the activation parameters (ΔH≠=23.0±0.7 kcal/mol, ΔS≠= - 8.7±0.8 e.u. for $Na^+$ analog; ΔH≠=28.8±0.4 kcal/mol, ΔS≠=15.7±0.6 e.u. for $PPN^+$ analog re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