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metric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18초

게임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품질 평가 모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iability Quality Testing Model of Game Software)

  • 정혜정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37-46
    • /
    • 2005
  • 컴퓨터가 여러 분야에 사용되어지고 그들의 정확한 운영이 종종 사업의 성공과 인간의 안전에 결정적이다. 높은 품질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 최근 게임이 대중화 되어지면서 게임 소프트웨어의 평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게임 소프트웨어는 다양한 장르에 따라서 다소의 특징적인 면이 다르기 때문에 게임 소프트웨어를 평가 하는데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환경변화로 인해서 온라인 게임은 널리 대중화 되었다. 현재 온라인 게임 소프트웨어는 해외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회사에서는 개발된 제품에 대하여 베타테스트를 거쳐서 좀더 신뢰성이 높은 제품을 개발하려고 최선을 다하고 있으나 몇 개월간의 베타테스트를 거친 제품도 사용자 측에서는 사용 중 다양한 오류들을 경험하게 된다. 게임의 경우는 게임 환경과 기능성에서 오는 오류가 다양하므로 이것을 평가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 소프트웨어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경험하게 되어지는 환경적인 요인과 기능적인 오류를 점검하여 품질평가 메트릭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사용자 관점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분석하여 게임 소프트웨어의 버그 체크리스트 작성하였다. 또한 버그체크리스트를 품질 평가 메트릭에 적용하였다. ISO/IEC 9126을 기준으로 품질평가모델을 구성하였으며 특히 신뢰성에 대한 평가를 정량화 하기 위해서 버그체크리스트는 IS0/IEC 9126의 신뢰성 평가 메트릭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국내 시판 김치와 묵은지의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군집 구조 비교 (Comparativ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Communities in Commercial Kimchi and Mukeunji Products)

  • 이수영;정수지;류명선;하광수;노윤정;정도연;양희종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25-33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김치와 묵은지의 미생물 군집 구조와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김치와 묵은지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결과 묵은지 시료들의 pH가 김치보다 더 낮았으며, 산도는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와 묵은지 간의 염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김치에서 당도가 묵은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α-diversity 분석 결과 김치와 묵은지 사이에 종 추정치와 종 풍부도 지수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계통발생학적 차이를 반영한 phylogenetic diversity 지수는 묵은지에서 김치보다 유의한 수준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와 묵은지의 미생물 군집을 생물학적 분류수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두 그룹 모두 공통적으로 과(family) 수준에서 Lactobacillaceae가 가장 우점하였으나, 높은 내산성을 갖거나 김치 내에서 높은 성장 경쟁력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Pediococcus 속과 Lactobacillus 속 유산균의 상대적인 분포가 묵은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와 묵은지의 전체 미생물 군집 구조에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beta set-significance 분석을 수행한 결과 김치와 묵은지 두 그룹의 전체 미생물 군집구조가 통계학적으로 신뢰수준에서 매우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김치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Weissella kandleri의 분포와 묵은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Pediococcus inopinatus의 높은 분포가 김치와 묵은지의 전체 미생물 군집 구조 차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도 예측 모형 연구: 부도 데이터의 불균형 문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fault Prediction Model: Focusing on The Imbalance Problem of Default Data)

  • 박진수;이강배;조용복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6권2호
    • /
    • pp.169-183
    • /
    • 2024
  • 본 연구는 부도 예측 모형을 구축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관측된 부도 데이터의 불균형 문제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정리하고, 데이터 리샘플링 기법과 부도 임계치 조정에 따른 모형의 성능 개선 효과를 비교 분석한다. 실증분석 결과 데이터의 불균형 해소 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모형의 부도 임계치가 낮을수록 모형의 민감도가 개선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데이터의 불균형 해소 수준이 낮을수록, 그리고 모형의 부도 임계치가 높을수록 모형의 정밀도가 개선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민감도 또는 정밀도 중 한 가지 지표만을 중심으로 불균형 문제를 개선할 경우, 상충 관계로 인해 나머지 성능 평가 지표가 지나치게 낮아지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 연구와는 달리 부도 데이터의 불균형 문제 개선 방안과 부도 예측 모형의 성능 개선 효과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또한 부도 예측 모형의 실무적 활용도 제고를 위해 모형의 활용 목적에 따라 불균형 문제 개선 방안을 달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형의 주된 성능 평가 지표로는 Fβ Score를 활용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