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 Film

검색결과 1,850건 처리시간 0.032초

표면 플라즈몬 광섬유 편광기의 제작 및 특성 조사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urface Plasmon Fiber-Optic Polarizers)

  • 김진하;김병윤
    • 한국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311-318
    • /
    • 1994
  • 광섬유의 클래딩을 갈아내고 코어 가까이에 알루미늄 박막을 증착하여 표면 플라즈몬으로의 편광 선택적인 모드 결합 원리를 이용하는 광섬유 편광기를 제작하였다. 633nm, 830nm, $1.3\mu\textrm{m}$의 단일 모드 광섬유를 사용하여 알루미늄 박막의 두께를 달리하며 소광률과 삽입손실을 측정한 결과 대부분의 샘플에서 30dB 이상의 소광률을 얻을 수 있었으며 삽입손실은 0.2dB 에서 1.5dB 사이였다.

  • PDF

Al-Si계 피스톤 합금의 경질양극산화피막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ristics od Hard Anodizing fikm of Al-Si Pistom Alloys)

  • 문종환;이진형;권혁상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4-43
    • /
    • 1990
  • Al-Si piston alloys such as AlS10CuMg have been anodized to examine apossibility of forming a hard film aat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s compard with those in conventional sulfuric acid processes. Three types of electrolytes have been employed in this study ; electrolyte A(15% H2SO4, $0^{\circ}C$), electrolyte B(12% H2SO4, 1% oxalic, $10^{\circ}C$), electrolyte C(tartaric acid 125g/L+oxalic 75g/L+aluminum sulfate 225g/L, $25^{\circ}C$). Hard anodisine process in electrolyte B at a current density of 1.54A/dm2 produced a harder film of VHN 396 at a relatibely low film forming voltag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in other electrolyte at equivalent current density. A liner relationship between hardness and abrasion resistance exists for Al-Si piston alloys. The hardness of anodized film decreasees with increasing silicon content in Al-Si alloys and also with bath temperature. The film hardeness of Na-modified alloy os higher than that of P-modified alloy due to its finer microstructre. The film on the silicon phase in Al-Si alloys is observed to be formed by lateral growth of oxide film nucleated at surroundings.

  • PDF

고속직분식 디젤엔진에서의 분무충돌과 연료액막형성 모델링 (Modeling of Spray Impingement and Fuel Film Formation in HSDI Diesel Engines)

  • 김만식;민경덕;강보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5권2호
    • /
    • pp.187-194
    • /
    • 2001
  • Spray impingement and fuel film formation models were developed and incorporated into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ode. STAR-CD. The spray/wall interaction process was modeled by considering the change of behaviour with surface temperature conditions and the fuel film formation. We divided the behaviour of fuel droplets after impingement into rebound, spread and splash using the Weber number and the parameter K. The Spray impingement model accounts for mass conservation, energy conservation and heat transfer to the impinging droplets. The fuel film formation model was developed by integrating the continuity, Navier-Stokes and energy equations along the direction of fuel film thickness. Validation of the models was conducted using previous diesel spray experimental data and the present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gasoline spray impingement. In all the cases, the prediction compared reasonably well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spray impingement and fuel film formation models have been applied to the spray/wall impingement in high speed direct injection diesel engines.

Electron field emission from various CVD diamond films

  • Usikubo, Koji;Sakamoto, Yukihiro;Takaya, Matsufumi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85-388
    • /
    • 1999
  • Electron field emission properties from various CVD diamond films were studied. Diamond films were synthesized by microwave plasma CVD at 1173K and at 673K substrates temperature and pulse microwave plasma CVD at 1173K. B-doped diamond film was synthesized by microwave plasma CVD at 1173K also. Estimation by SEM, both the non-doped diamond film and B-doped diamond film which were synthesized at 1173K substrate temperature were $2~3\mu\textrm{m}$ in diameter and nucleation densities were $10^{8}{\;}numbers/\textrm{cm}^2$ order. The diamond film synthesized at 673K was $0.2\mu\textrm{m}$ in diameter and nucleation densities was 109 numbers/cm2 order. The diamond film synthesized by pulse microwave plasma CVD at 1173K was $0.2\mu\textrm{m}$ in diameter and nucleation density was $10^{9}{\;}numbers/\textrm{cm}^2$ order either. From the result of electron field emission measurement, electron field emission at $20V/\mu\textrm{m}$ from CVD diamond film synthesized by pulse microwave plasma CVD was $37.3\mu\textrm{A}/\textrm{cm}^2$ and the diamond film showed the best field emission property comparison with other CVD diamond.

  • PDF

김치표면 마감 방법이 저장중인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rface Finishing Methods on Quality of Kimchi in Stand Vessel During Storage)

  • 김중만;황신묵;최용배;김형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97-301
    • /
    • 1992
  • 김치는 용기에 담아 보관하면서 위에서부터 꺼내 먹고 있어서 실제 김치 맛은 표층김치 맛과 직결된다. 따라서 표층부 김치의 변질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표면마감을 4가지 방법 즉 김치표층에 재래식 누름돌을 놓아 저장한 경우(A), 김치를 PE백에 넣어 봉한 후 표본병에 담아서 저장한 경우(B), 누름돌을 PE-film으로 싼 누름돌을 사용한 경우(C)와 그리고 김치를 표본병에 담고 그 위에 우거지(약 4cm)로 표면을 덮어 마감(D)한 후 각각을 $10{\pm}5^{\circ}C$에서 60일 동안 저장하면서 표층김치$(2{\sim}5cm)$의 pH값, 금속이온함량, 산막효모의 발생유무, 김치국물의 적색도, 신선미와 씹힘성에 대한 관능검사 및 경도를 조사 비교하였다. 김치국물의 pH값은 저장 직전에 약 6.0이었는데 A, C, D는 저장기간 중 낮아졌다가 높아진 반면 B는 좋은 김치의 최적 pH인 $4.0{\sim}4.2$가 유지되었다. 재래식 누름돌 사용(A)은 Fe함량을 크게 증가(6배 이상)시켰으며, Mn과 Cu가 검출되었다. 김치표면에서의 산막효모는 B를 제외하고 A, C, D 모두에서 번식되었고, 적색도도 B의 경우만 전 저장기간 동안 선명한 적색이 유지되었으며 A 경우는 진한 흑색을, C와 D의 경우는 낮은 적색도를 나타냈다. 기계적 경도 역시 B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심히 감소하였고 신선미와 씹힘성에 대한 관능평가에서도 B의 경우와 A와 C 및 D의 표면마감 방법보다 훨씬 우수(p<0.01)하게 평가되었다.

  • PDF

층상자기조립법을 이용한 나노구조체의 제조와 응용 (Preparation of Nanostructures Using Layer-by-Layer Assembly and Applications)

  • 조진한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1-90
    • /
    • 2010
  • 층과 층 사이의 정전기적인력, 수소결합 또는 공유결합을 이용하여 층당 두께를 수 옹스트롱에서부터 수십 나노미터까지 제조할 수 있으며 박막의 표면 형태를 흡착시키고자 하는 물질 및 박막 후처리 공정을 통해 제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삽입하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박막의 기능성을 집적화 및 다양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층상자기조립방법의 특성을 이용하여 반사방지막, 초소수성 필름 및 전기화학센서로의 응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반사방지막의 경우, 구형의 블록공중합체를 유리기판 위에 다층박막으로 적층시킴으로써 박막 굴절률을 1.25까지 감소시켰고 이를 통해 약 99.5%의 빛 투과도를 달성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바이오물질인 엔자임을 다층박막에 삽입시킬 경우, 활성 산소를 분해시키는 전기화학센서로의 제조가 가능함을 보인다. 본 연구는 본인이 이미 발표한 논문(J. Am. Chem. Soc. 128, 9935 (2006); Adv. Mater. 19, 4364 (2007); Electro. Mater. Lett. 3, 163 (2007))들을 정리하여 층상자기조립법에 관해 소개하는 논문이다.

표면마감방법과 볕쪼임이 숙성중 표층 고추장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e finishing method and sunning on top layer Kochuiang Quality during Aging)

  • 김중만;송현주;양희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49-255
    • /
    • 1993
  • 고추장을 직립성 용기에 담아 숙성보관시 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햇빛을 쪼여 표면을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경우 표면층 고추장이 건조되고, 적색이 흑변되고, 유동성이 상실되며, 과염도 및 이물질 오염 등으로 인하여 많은 양이 비가식화되는 문제가 있어 왔다. 숙성 보관중 표층 고추장의 악변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숙성 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표면을 3가지 방법(무처리, 소금뿌림, PE-film덮기)으로 처리한 후 각각 햇빛을 쪼이면서 숙성한 경우(A, B, C)와 A, B, C와 같이 처리한 후 뚜껑을 덮어 숙성(A', B', C')시키면서 15일 간격으로 수분, 염도, pH, 점도, 퍼짐성(찍음성), 색도, 곱의 발생유무를 조사 비교하였다. 2일에 1회 햇빛을 쪼이면서 120일간 숙성시킨 경우(A, B, C)곱은 발생되지 않았으나 수분함량 감소$(59%{\rightarrow}21-29%)$, 적색도 감소 내지는 흑색화$(21{\rightarrow}0-1)$, 퍼짐성 감소, 굳기 증가$(20{\;}g{\rightarrow}380{\;}g)$ 및 과염도화$(8-18%{\rightarrow}18-30%)$ 등으로 많은 양이 비가식화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반면 뚜껑을 덮어 숙성시킨 경우 적색도, 염도, 퍼짐성, 굳기는 양호하게 유지되었으나 PE-film을 사용한 경우를 제외하고 곱이 많이 발생되어 PE-film을 덮어 숙성시키는 것이 고추장 표면을 건전하게 관리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 PDF

저온 동시 소성용 후막 NTC 서미스터의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무연계 프릿트 및 RuO2의 영향 (Effect of lead-free frit and RuO2 on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ick film NTC thermistors for low temperature co-firing)

  • 구본급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218-227
    • /
    • 2021
  • 저온 동시 소성용 후막 NTC 서미스터를 Mn1.5Ni0.4Co0.9Cu0.4O4 조성의 NTC 분말과 lead free frit 및 RuO2를 이용하여 제조한 페이스트를 96 % 알루미나 기판 위에 인쇄와 소결을 통해 제조한 후, 이 후막 NTC의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프릿트 및 RuO2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후막 NTC 서미스터의 저항은 동일한 온도에서 소결한 벌크 상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저항-온도 특성에서 부 저항 온도 특성은 더 명확하게 직선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소결온도 증가에 따라 면적저항은 감소하였고 프릿트 첨가량이 많을수록 면적저항은 높게 나타났다. 후막 NTC 서미스터의 B 정수는 3000 K 이상의 값 나타냈는데 그 중 프릿트를 5 wt% 첨가한 페이스트로 만든 후막 NTC를 900℃에서 소결한 시편의 B 정수가 가장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RuO2 첨가에 따라 면적저항의 감소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RuO2를 5 wt% 첨가한 페이스트를 900℃에서 소결한 후막 NTC 서미스터의 면적저항 감소의 변화가 가장 뚜렷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항균, 신선도 기능을 부여한 투명 산화생분해 필름 개발 (Development of Thin, Transparent Oxo-Biodegradable Film with Antibacterial and Freshness Agent)

  • 최성욱;이근우;유지예;유영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33-141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신선도 유지 기능을 부여한 새로운 형태의 산화생분해성 필름 개발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생분해 촉매제로 유기 금속염, 유기산, 불포화 지방산등을 함유한 산화생분해성 및 항균신선도기능을 부여한 M/B를 각각 제조한 후, 이를 플라스틱 레진에 첨가하여 항균 및 신선도 기능의 산화생분해 복합필름(AOB film)을 제작하였다. 제조된 항균신선도 A M/B의 항균력 시험은 진탕 플라스크 방법을 사용하여 농도별 시험을 실시하였다. A MB 5% 첨가한 AOB 필름은 별도로 필름 밀착법을 통해 제조하여 실험한 결과, 필름의 항균작용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두를 대상으로 한 신선도 유지기능 평가 결과, A M/B 5% 첨가한 AOB 필름이 대조군 필름에 비하여 신선도 유지 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산화생분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UV 340 nm로 처리한 필름의 인장강도 및 신장율을 측정한 결과, AOB 필름의 물성 감소율이 우수하였으며, 이는 산화생분해 특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항균 및 신선도 기능의 산화생분해성(AOB) 복합필름은 식품 유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식품의 부패를 방지하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