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꼬마'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5초

제주도의 먼지벌레(V) (Some Ground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from Jeju Island (V))

  • 백종철;정세호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8권1_2호
    • /
    • pp.46-53
    • /
    • 2003
  • 제주도에서 분포하는 딱정벌레과 20종을 보고한다. 이 중에서 Microlestes imaii (꼬마밑빠진먼지벌레: 신칭)와 Oodes vicarius(허벅호리병먼지벌레: 신칭)는 우리 나라에서, 그리고 9종, Apristus striatus (꼬마선두리먼지벌레), Bembidion amurense (오늬강변먼지벌레), Bembidion niloticum batesi (검은강변먼지벌레), Bembidion scopulinum (볕강먼지벌레), Chlaenius ocreatus (민무늬먼지벌레), Paratachys micros (어리애강변먼지벌레), Pterostichus prolongatus (참길쭉먼지벌레), Stenolophus castaneipennis (검종좁쌀먼지벌레)와 Trechus (Epaphius) dorsostriatus (등줄꼬마먼지벌레)는 제주도에서 처음으로 기록한다.

  • PDF

꼬마물봉선: 한국에서 발견된 물봉선속(봉선화과)의 1신종 (Impatiens violascens (Balsamin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

  • 김윤영;지성진;홍완표;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9-64
    • /
    • 2010
  • 물봉선속(봉선화과)의 1신종인 꼬마물봉선이 한국의 경상북도 영천시 보현산에서 발견되어 기재되었다. 신종은 근연종인 물봉선(I. textorii)에 비해 1/2 크기의 꽃, 급격히 좁아지는 하악편, 1/2 회에서 1 회 감기는 거, 타원형인 측화판의 선단부 열편을 가짐으로써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본 연구에서 이들 두 종의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한국산 미기록 벌 Halictus hedini hedini (벌목: 꼬마꽃벌과)에 대한 보고 (A New Record of Bee Halictus hedini hedini (Hymenoptera: Halictidae) from South Korea)

  • 유영혁;김효중;이흥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63-66
    • /
    • 2024
  • Halictidae 전 세계적으로 3,500종 이상 발견된 큰 그룹이며 사람들의 땀에 이끌리는 특성을 보여 Sweat bee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이번 연구에서는 꼬마꽃벌과에 속하는 Halictus hedini hedini Blüthgen, 1934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기재, 분포정보, 그리고 삽화를 제공한다.

기능성 어육단백질의 젤화 특성과 산업적 응용-2. 알칼리 공정으로 회수한 어육, 닭고기 가슴살 및 돼지 후지 육 기능성 단백질 젤의 특성과 최적화 (Gelation Properties and Industrial Application of Functional Protein from Fish Muscle-2. Properties of Functional Protein Gel from Fish, Chicken Breast and Pork Leg and Optimum Formulation)

  • 정춘희;김진수;진상근;김일석;정규진;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676-1684
    • /
    • 2004
  • 어육, 닭 가슴살 및 돼지 후지 육을 산성 및 알칼리 용액으로 추출하여 등전점 부근에서 회수하고 중성 부근의 pH로 재조절하여 회수한 단백질의 가열 젤 물성과 이들의 혼합에 따른 가열 물성 값의 변화, 최적 물성과 최소비용을 제공하는 혼합 비율을 결정하였다. 갈고등어의 근원섬유단백질은 산 및 알칼리 처리에 의해 가열 젤을 형성하지 못하였으나, 산과 알칼리 처리후 근형질 단백질을 포함한 회수 단백질은 가열 젤을 형성하였다. pH 10.5에서 처리 후 회수한 단백질의 가열 젤의 파괴강도는 갈고등어가 가장 낮았고, 변형 값은 냉동 꼬마민어>닭 가슴살>돼지 후지 육>갈고등어의 순으로 높았으며, 백색도는 냉동 꼬마민어 회수 단백질이 가장 높았다. 갈고등어 회수 단백질의 첨가는 파괴강도, 변형 값, 백색도를 감소시키고 가격을 상승시키는 반면, 닭 가슴살 회수 단백질의 첨가는 파괴 강도와 백 색도를 다소 증가시키고 가격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냉동 꼬마민어 회수 단백질인 경우, 파괴강도 110 g 이상, 변형 값 4.5 mm 이상 및 회수 단백질의 원료 단가 2000원 이하/kg을 만족하는 최적 혼합 비율은 냉동 꼬마민어 36∼50%, 닭 가슴살 34∼40%, 돼지 후지 육 14∼25%이었다 가열 젤의 구조는 냉동 꼬마민어 회수 단백질이 가장 치밀하였다. 냉동 꼬마민어 회수 단백질을 축으로 닭 가슴살, 돼지 후지 육 회수 단백질의 적절한 혼합 비율의 조절은 물성 값이 다양화한 연제품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초고속 유전자 증폭법을 이용한 벌집꼬마밑빠진벌레 (Aethina tumida)의 신속한 검출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Rapid Detection System for Small Hive Beetle (Aethina tumida) by using Ultra-Rapid PCR)

  • 김정민;임수진;;홍기정;윤병수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9-131
    • /
    • 2017
  • 벌집꼬마밑빠진벌레 (Small hive beetle; SHB; Aethina tumida)의 신속검출과 대량 조사를 위하여 SHB 특이 초고속 유전자 증폭법을 개발하였다. 3쌍의 Aethina tumida-특이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들은 벌집꼬마밑빠진벌레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중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 유전자에 근거하여 선발하였다. 최적화된 초고속 PCR은 $2.1{\times}10^1$ 분자의 작은벌집딱정벌레 COI 유전자를 18분 40초만에 특이적으로 그리고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다. 양봉현장의 적용을 위하여, 봉변으로부터 쉽게 DNA를 추출하는 방법을 고안하였으며, 봉변 1g 중 $10^5$ 분자의 벌집꼬마밑빠진벌레 COI 유전자가 존재할 경우(1/1000의 SHB 유충 사체), 10분 이내에 벌집꼬마밑빠진벌레의 존재와 분자적 정량을 마칠 수 있었다. 제안하는 이 실험법이 양봉현장에 널리 적용되어, 벌통 내 벌집꼬마밑빠진벌레의 침입여부 판단, 증식의 수준, 그리고 침입지역의 파악 및 제어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한국산 Cloeon 및 Procloeon속(하루살이목: 꼬마하루살이과)의 분류 (Taxonomy of Cloeon and Procloeon (Ephemeropter: Baetidae) in Korea)

  • 배연재;박선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3권4호
    • /
    • pp.303-314
    • /
    • 1997
  • 한국산 꼬마하루살이과의 유충 및 성충표본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한 결과 Cloeon dipterum, Procloeon maritimum(미기록종), P. pennulatum(미기록종) 및 P. halla(신종)을 확인하였다. 이들의 유칭 및 알려진 성충에 대하여 삽화 및 주사전자현미경사진과 함께 기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