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A7%84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7초

마늘 P. E. Mulching 재배시(栽培時)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除草劑) 선발(選拔)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election of Effective Herbicides in Polyethylene Film Mulching Culture of Garlic (Allium sativum L.))

  • 정태원;연규복;조진태;송영준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05-110
    • /
    • 1983
  • 마늘 프로에치렌 피복(被覆) 재배시(栽培時) 보통재배(普通栽培)보다 초기저온기(初期低溫期)에 많이 발생(發生)하는 잡초(雜草)를 방제(防除)하기 위(爲)하여 '78, '79, '82 3년간(年間) 우수(優秀)한 제초제(除草劑)를 선발시험(選拔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음. l. 마늘밭의 우점잡초(優占雜草)는 무피복구(無被覆區)에서 명아주(98.1%) 피복구(被覆區)에서 구슬갓냉이(39.7%) 명아주(34.3%)였다. 2. 포리에치렌 피복재배(被覆栽培)에 있어서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除草劑)는 alachlor EC, pendimethalin EC, oxyfluorfen EC, acifluorfen EC 이며 5월(月) 15일(日) 이후(以後)는 metabenzthiazuron WP, prometryne WP 등(等) 화본과용(禾本科用) 제초제(除草劑)가 좋았다. 3. 마늘에 대한 약해(藥害)는 acifluorfen EC 에서 약간 있었으나 수량(收量)에는 별 영향이 없다. 4. 포리에치렌 피복재배시(被覆栽培時) 우수(優秀)한 제초제(除草劑)를 처리(處理)함으로서 무피복재배(無被覆栽培)의 제초제처리(除草劑處理)보다 22~37%의 증수(增收)를 할 수 있었으며 26~37%의 증수(增收)를 할 수 있었으며 26~84%의 소득(所得)도 올릴 수 있었다. 5. 흑색(黑色) 불투명(不透明) 포리에치렌 피복재배(被覆栽培)도 관행(慣行) 재배(栽培)보다 20%의 수량증수(收量增收)와 56%의 소득(所得) 증가(增加)를 할 수 있었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Seed Vigour and Electrolyte Leakage in Rice Seeds with Different Grain-filling Period

  • Kim, Jin-Ho;Lee, Sheong-Chun;Song, Dong-Seo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47-151
    • /
    • 1998
  • The conductivity test is a measure of electrolytes leakage from plant tissue. The shorter the maturation period after heading was the greater electrical conductivity (EC) of rice seed. The polymer-coated seed was not different in EC compared with non-coated seed. As soaking time of rice seed increased, EC increased gradually. The EC varied from 9.9 to 20.7$\mu$S $cm^{-1}g^{-l}$ for control plots and from 21.3 to 41.7$\mu$S $cm^{-1}g^{-l}$ for heat-killed seeds which were produced by autoclaving seeds at 121$^{\circ}C$ for 20 minutes. The germination speed (the rate of 5th day) of rice seed was 94% at control plot, 83% at low temperature and 20% at high temperature. Besides, germination percentage was 95% for the control, 92% for the low temperature treatment and 39% for the high temperature treatment. The EC was negatively correlated (r=-0.771$^{**}$) with germination percentage at low temperature. Water uptake in seeds of 30, 40, 50 days after heading (DAH) was greater than that of 20 DAH. Plant height of seedlings was 9.84 cm for the control but 4.32 cm for the high temperature treatment, and the tallest for polymer-coated seed. Dry weight of seedlings was 0.841 g for the control and 0.287 g at high temperature. Besides, the polymer-coated seed was heavier than non-coated seed. The number of roots was largest from 40 to 50 DAH and polymer-coated seed, but was decreased from 20 to 30 DAH. The length of roots was 20.52 cm at control plot and 19.89 cm polymer-coated seed but 8.68 cm for the low temperature treatment and 7.28 cm for the high temperature treatment.

  • PDF

Effects of Earthworm Cast Addition on Food Waste Compost under Co-composting with Sawdust

  • Lee, Chang Hoon;Nam, Hong-Sik;Kim, Seok-Cheol;Park, Seong-Jin;Kim, Myeong-Sook;Kim, Sung-Chul;Oh, Taek-Keu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588-597
    • /
    • 2017
  • Food waste has been recognized as a critical problem in Korea and many research was conducted to efficiently reutilize or treat food wast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a feasibility for producing fermented organic fertilizer with mixture of earthworm cast (EC). Four different treatments were mixed with food waste and EC at the rate of 0, 10, 20, and 30%, respectively. Total days of composting experiment were 84 days and each sub samples were collected at every 7 days from starting of composting. Results showed that inner temperature in composting was increased to $70{\pm}4^{\circ}C$ within 5~10 days depending on mixing ratio of EC. Among different treatment, the highest increase of inner temperature was observed in treatment mixed with food waste and EC 30%. After finishing composting experiment, maturity was evaluated with solvita and germination test. Maturity index (MI) of each treatment was ranged between 5~7 indicating that manufactured fertilizer was curing or finished stage. Calculated germination index (GI) was at the range of 104~116 depending on mixing ratio of EC. Both MI and GI showed that manufactured fertilizer was suitable for fertilizer criteria while control (FW only) was not adequate for composting. Overall, earthworm cast can be utilized for improving compost maturity by mixing with food waste and m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make high quality of food waste compost with earthworm cast in agricultural fields.

천연물 유래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신소재 개발 (Development of New Natural Antioxidants for Cosmeceuticals)

  • 유익동;김종평;김원곤;윤봉식;유인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49-357
    • /
    • 2005
  • 미생물, 버섯류, 약용식물 등 천연물 대사산물로부터 미백, 주름개선용 화장품 신소재로 활용 가능한 항산화 신소재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Eupenicillium shearii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4개의 phenol계 항산화 활성물질을 순수하게 분리하고 화학구조를 결정하여 melanocin A-D로 명명하였다. Melanocin $A{\sim}D$ 화합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EC_{50}21{\sim}94{\mu}M$, superoxide 소거활성은 $EC_{50}\;7{\sim}84{\mu}M$로 arbutin 및 BHA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주름개선 효과도 매우 우수하였다. 기와층버섯(Inonotus xeranticus) 자실체 추출물로부터 강력한 항산화 활성물질인 히스피딘계 신물질을 얻어 inoscavin A로 명명하였다. Inoscavin A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은 $EC_{50}\;0.03{\mu}g/mL$, rat의 간 microsome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 $EC_{50}$$0.3{\mu}g/mL$로서 ${\alpha}-tocopherol$$1.5{\mu}g/mL$, BHA의 $4.9{\mu}g/mL$ 보다 우수하였다. Streptomyces nitrosporeus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신규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물질을 benzastatin $A{\sim}G$를 분리하였다. Benzastatin $A{\sim}G$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 $EC_{50}$$3{\sim}30{\mu}M$로 매우 우수하였다. Penicillium sp. 균주로부터 미백활성물질을 탐색하여 cyclopentene계 화합물인 terrein을 얻었다. Terrein은 kojic acid 보다 약 10배 이상 강력한 미백활성을 나타낸 반면, $100{\mu}M$ 농도에서도 비교적 안전한 화합물로 확인되었으며, 작용기전은 MITF 단백질을 조절함으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호(大湖) 수질변화(水質變化)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f Water Quality of Lake Daeho)

  • 심재환;박근조;김원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2-110
    • /
    • 1988
  • 대호(大湖) 방조제(防潮堤) 축조(築造) 후(後) 담수호(淡水湖)의 수질(水質)을 조사(調査)하여 염농도 및 일반수질변화가 관개용수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糾明)하고자 '84년(年) 에서 '88년(年) 5월(月) 까지의 조사결과(調査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대호(大湖) 담수호(淡水湖)의 수온분포(水溫分布)는 암거탄구 설치지점(設置地點)인 -14m 상부에는 계절변화(季節變化)에 따른 기온(氣溫)의 영향으로 변화(變化)$(6-25^{\circ}C)$가 많았으며, 암거탄구 이하에서는 $11.9^{\circ}C$로 년중(年中) 변화(變化)가 없었다. 2. 방조제(防潮堤) 앞 제일 깊은곳의 연도별(年度別) 수질변화는 pH7.6 $EC16,800-1,472{\mu}m$ hos/cm, DO 9.2-10.8ppm, BOD 1.3-2.5ppm, COD 2.4-5.3ppm, T-N 0.22-2.29pp, T-P는 0.01-0.10ppm을 나타내었다. 3. 대호(大湖) 담수층(淡水層)의 평균 수질성적('88년)은 pH 7.6, $EC1,745{\mu}m$ hos/cm, DO 10.8ppm, BOD 1.8pp, COD 2.4pp, T-N 0.52ppm, T-P 0.05ppm으로 전(全) 지점(地點)에서 비슷한 경향(傾向)이었다. 4. 담수층(淡水層)(6m)에서의 염도변화(鹽度變化)는 체절(締切) 전(前) 29,000ppm에서 '84년(年) 3월(月) 11,000ppm '85년(年) 3월(月) 4,300ppm, '86년(年), '87년(年) 3월(月)에는 2,000ppm, '88년 3월(月)에는 900ppm 까지 낮아졌다. 호내(湖內) 평균(平均) 염도(鹽度) 29,000ppm 정도에서 '88년(年) 3월(月) 1,200ppm 까지 낮아졌다. 또한 암거탄구 상부의 평균염도('87년(年))는 1,300ppm 정도였으며, 탄구아래는 해수(海水)와 같은 30,000ppm정도였다. 5. 담수층(淡水層)에서 가장 높은 염도를 나타낸 지점(地點)은 방조제(防潮堤) 앞 부근이며, '84년(年)에는 5,835ppm 이었다. 6. 조사시기별(調査時期別) 염도변화(鹽度變化)는 갈수기인 '87년(年) 5월(月) 2,000ppm에서 홍수기 후 8월(月) 800ppm, 풍수기인 9월(月)에는 485ppm까지 낮아졌다. 7. 염분약층(鹽分躍層) 깊이는 암거탄구 지점(地點)인 -l4m까지 유지(維持)되어 담수호화(淡水湖化)가 진행(進行)되었다. 그러므로 대호(大湖) 담수층(淡水層)의 수질은 농업용수원(農業用水源)으로는 큰 문제가 없으며, 삽교호로부터 제염용수(除鹽用水)의 공급(供給)도 불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휴믹산 농도가 유기농 고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oncentration of Humic Acid on Growth and Yield of Organically Cultivated Hot-Pepper)

  • 김민정;심창기;김용기;박종호;한은정;고병구
    • 유기물자원화
    • /
    • 제25권1호
    • /
    • pp.67-7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휴믹산을 농도별로 유기농 고추 유묘기와 생육기에 처리하였을 때, 고추의 발아, 생육,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고자 하였다. 0.05%와 0.1% 휴믹산을 상토에 처리하였더니 무처리보다 고추 발아율이 높았으나 0.4%와 1.0% 휴믹산의 발아율은 각각 90.0%와 86.7%로 96.7%의 무처리보다 낮았다. 고추유묘 정식 30일 후, 휴믹산을 0.05%나 1.0%는 무처리에 비해 생육이 감소하였으나 0.2% 휴믹산을 처리한 고추의 평균 초장(97.6 cm), 엽수(84.7개) 및 생체중($128.1g\;plant^{-1}$)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휴믹산 토양관주 처리 60일 후, 0.2% 휴믹산 처리구의 고추 초장이 유의적으로 가장 길었다. 0.2%, 0.1%, 0.05% 휴믹산 처리구의 평균 청과수는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0.4%와 1.0% 휴믹산 처리구의 평균 청과수가 각각 35.2개와 29.1개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풋고추의 생체중은 0.2% 휴믹산 처리구가 무처리에 비해 평균 $111.5g\;plant^{-1}$ 더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휴믹산 농도별 토양관주 60일 후, 1.0% 휴믹산 처리구를 제외하고 무처리에 비해 고추의 총무게($5.8kg\;plant^{-1}$)와 평균 무게($1.4kg\;plant^{-1}$)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0.2%와 0.1% 휴믹산 처리구의 고추 총무게가 각각 $9.3kg\;plant^{-1}$$8.6kg\;plant^{-1}$로 다른 처리농도에 비해 많았다. 휴믹산 토양관주 처리에 따른 토양의 세균, pH 및 EC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더니, 0.2% 휴믹산에서 토양의 세균밀도가 무처리구에 비해 3.5배 더 높게 나타났다. 휴믹산의 농도가 0.05%에서 1.0%로 증가함에 따라 고추재배 토양의 pH와 EC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세포기로의 조기난할 배아 선발을 이용한 체외수정술의 임신율 증가 (Improvement of Pregnancy Rate by the Selection of Early Cleavage Embryos to 2-cell Stage in Human IVF)

  • 박세희;주보선;이수경;김경서;문화숙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2권1호
    • /
    • pp.47-54
    • /
    • 2005
  • Objective: Evaluation of embryos using early cleavage to 2-cell stage has been proposed, but a critical time-point for selecting embryos is unclear.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a guideline including critical time-point in the selection of early cleaving embryo for the reduction of multiple pregnancies as well as the increase of pregnancy rate in human IVF. Methods: This p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116 cycles from 85 patients who underwent conventional IVF or ICSI at the infertility clinic of Good Moonhwa Hospital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3. Early cleavage (EC) of embryos to 2-cell stage was assessed at 25 h and 27 h postinsemination/microinjection. Embryos that had early cleaved at each time point were designated as EC-1 and EC-2, respectively, while others were designated as non-early cleavage (NEC). Results: At least one early cleavage embryo was observed in 54 (46.6%) for the EC-1 and 84 (72.4%) for the EC-2 of the 116 cycles assessed. Clinical pregnancy rates (P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C-1 group (66.7%) compared to the EC-2 group (53.6%) or the NEC group (31.2%) (p<0.05).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pregnancy rate was found when at least two or more embryos were early cleaved at 25 h postinsemination or when the proportion of early cleavage embryo at 25 h postinsemination was higher than 20% (p<0.05). Conclusion: The critical time-point for the selection of early cleavage embryos with high implantation potential is more effective in 25 h postinsemination/microinjection compared to 27 h. The proportion as well as number of early cleavage embryos is also an important factor for the prediction of pregnancy outcome and the chance of multiple pregnancie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valuation of early cleavage embryos to 2-cell stage is an easy, simple, and objective method for the selection of good quality embryos suitable for embryo transfer.

영농기간 지하침투수에 의한 미사질양토 논의 화학성분 손실량 (Losses of Chemical Components by Infiltration Water during the Rice Cultivation at Silt Loam Paddy soil)

  • 한강완;조재영;손재권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8-273
    • /
    • 1998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일대 0.5㏊의 논에서 1997년 5월부터 9월까지 시험포장에 30, 50, 70, 90㎝ 간격으로 매설한 Ceramic porous cup에 침투된 침투수의 시기별 함량변화와 침투수에 의한 비료성분의 침투손실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침투수의 pH는 $6.64{\sim}7.90$, EC는 $324{\sim}647$(S/㎝의 범위로 6월 중순경에 가장 높았다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전질소, 암모니아태질소 및 질산태질소의 함량은 각각 $0.58{\sim}14.59mg/L$, $0.05{\sim}4.25mg/L$ 그리고 $0.15{\sim}7.71mg/L$의 범위로 기비후 이앙초기에 함량이 가장 높았다가 서서히 감소하는 추세였다. 전인산은 $0.009{\sim}0.077mg/L$, 가용성인산은 $0{\sim}0.029mg/L$의 범위로 지표면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양이온성분은 $Ca^{++}$ $0.88{\sim}4.78mg/L$, $Mg^{++}$ $0.22{\sim}1.04mg/L$, $Na^{+}$ $0.17{\sim}0.98mg/L$ 그리고 $K^{+}$ $0.84{\sim}3.19mg/L$의 범위로 모두 이앙초기에 높게 나타났다. 음이온성분의 경우 $SO_4\;^{2-}$$3.92{\sim}18.72mg/L$의 범위로 시료 채취깊이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l^{-}$$9.03{\sim}19.97mg/L$의 범위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그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사기간 동안 0.5ha의 논에서 지하로 이동한 총침투수량은 483.3㎜로 조사되었다. 전질소, 암모니아태질소 및 질산태질소의 침투손실량은 각각 20.34㎏/㏊, 3.54㎏/㏊, 10.44㎏/㏊로 나타났으며, 질산태질소가 암모니아태질소보다 약 3배 정도 더 높게 나타났다. 전인산은 0.16㎏/㏊, 가용성인산은 0.028㎏/㏊로 나타났으며, 침투수를 통하여 시비된 요소비료의 9.35%에 해당하는 질소가 손실되었으며 인산의 경우 시비된 비료성분중 0.59%가 손실된 것으로 나타났다. 양이온성분은 $Ca^{++}$ 10.24㎏/㏊, $Mg^{++}$ 2.84㎏/㏊, $Na^{+}$ 2.84㎏/㏊ 그리고 $K^{+}$ 7.22㎏/㏊로 나타났으며, $Ca^{++}$>$K^{+}$>$Na^{+}$=$Mg^{++}$의 순이었다. 음이온성분은 $SO_{4}^{2-}$ 50.04㎏/㏊, $Cl^{-}$ 62.20㎏/㏊로 나타나 $Cl^{-}$ 이온이 SO42-이온보다 더 지하로의 이동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남부지방(南部地方)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 토양(土壤)의 염농도(鹽濃度)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Soil Electrical Conductivity in Plastic Film House Located in Southern Part of Korea)

  • 하호성;이용복;손보균;강위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45-350
    • /
    • 1997
  •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 토양비옥도(土壤肥沃度) 관리(管理)의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우리나라 남부지방(南部地方)에 위치한 시설(施設) 과채류(果菜類) 및 화훼류(花卉類) 주산지(主産地) 71개(個) 포장(圃場)의 염농도(鹽濃度) 특성(特性)을 분석(分析)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조사지역(調査地域)의 평균 염농도(鹽濃度)는 표토에서 5.84, 심토에서 2.49dS/m로 표토가 심토보다 2배 이상 높았는데, 71개 포장(圃場) 중 2.0dS/m 이하(以下)인 곳은 표토기준으로 11.3%, 심토기준으로는 50.7%였다. 2. 시설재배(施設栽培) 작물별(作物別) 염농도(鹽濃度)는 과채류재배지(果菜類栽培地)가 2.29(심토)~5.13dS/m(표토), 화훼류재배지(花卉類栽培地)는 2.75(심토)~6.34dS/m(표토)로써 후자(後者)가 전자(前者)보다 더 높았다. 3. 조사시기별(調査時期別) 염농도(鹽濃度)는 2월 시료(試料)가 9월 시료(試料)보다 4.3(표토)~37.7%(심토), 12월 시료(試料)보다는 10.3 (표토)~11.3(심토) 더 높았다. 4. 염농도(鹽濃度)와 정상관(正相關)을 보인 토양무기성분(土壤無機性分)의 상관계수(相關係數) 크기는 표토에서 $Mg^{2+}$ > $NO_3{^-}$ > $Cl^-$ > $Ca^{2+}$ > $SO_4{^{2-}}$ > $K^+$, 심토에서는 $Cl^-$ > $SO_4{^{2-}}$ > $NO_3{^-}$ > $Ca^{2+}$ > $Mg^{2+}$ > $K^+$ 순이었다. 5.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는 토양(土壤)의 염류집적(鹽類集積)이 심할수록 진균수(眞菌數)에 대한 세균수(細菌數) 또는 방선균수(放線菌數)의 비(比)값이 감소(減少)된 경향(傾向)이었다.

  • PDF

Comparison of soil nutrients,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mong fish ponds of different ages in Noakhali, Bangladesh

  • Tapader, Md. Morshed Alam;Hasan, Mehedi Mahmudul;Sarker, Bhakta Supratim;Rana, Md. Enayet Ullah;Bhowmik, Shuva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1호
    • /
    • pp.16-22
    • /
    • 2017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ct aquaculture pond bottom soil nutrients,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ith a view to optimize production and to incorporate the scientific method of fish nursing, rearing and culturing at Noakhali district in Bangladesh. The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recently dug ponds (1 - 5 years) and older ponds (> 5 years). Samples were taken from five different spots in a Z shape from each pond and were mixed to get a composite sample. The composite samples from the ponds were collected in polyethylene bags and shipped to the laboratory for analysis. The soil samples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pH, electrical conductivity (EC), organic carbon (OC), organic matter (OM), nitrogen (N), phosphorous (P), potassium (K) and sulfur (S). The average value of pH, OC, OM, N, P, K and S were $7.43{\pm}0.40$, $2.21{\pm}1.43%$, $1.47{\pm}0.53%$, $2.52{\pm}0.94{\mu}g\;g^{-1}$, $0.126{\pm}0.047{\mu}g\;g^{-1}$, $3.84{\pm}1.77{\mu}g\;g^{-1}$, $0.191{\pm}0.106{\mu}g\;g^{-1}$ and $306.72{\pm}222.05{\mu}g\;g^{-1}$ respectively, in Noakhali. The average EC, OC, OM, N and P contents were found to be higher in Subornachar than those in Sonapur. On the other hand pH, K and S were found to be higher in Sonapur than the values of Subornachar. The pH, EC, OC, OM, N and S contents were found to be higher in new ponds than old ponds whereas P and K contents were found to be higher in old pond than in new po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