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P%5E%7B53%7D%24 assa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Pseudomonas aeruginosa exotoxin A(PEA)가 사람혀 편평암종세포에서 나타나는 세포자멸사 작용 (Apoptotic effect of Pseudomonas aeruginosa exotoxin A in human tongue squamous cell carcinoma(SCC) 25 cells)

  • 최별보라;김규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01-608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apoptotic effects of Pseudomonas aeruginosa exotoxin A(PEA) in squamous cell carcinoma(SCC) 25 cells. Methods : Cell growth reduction and apoptosis induced by PEA were confirmed by WST-1 assay, Hoechst 33258 staining, flow cytometry analysis, and Western blot assay. Results : The PEA treatment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in a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 control; $100{\pm}0^e$(p<0.01), 0.1875 nM; $87{\pm}4.36^d$(p<0.01), 0.375 nM; $82{\pm}0.58^d$(p<0.01), 0.75 nM; $72{\pm}1.67^c$(p<0.01), 1.5 nM; $51{\pm}1.53^{bc}$(p<0.01), 7.5 nM; $31{\pm}1.20^{ab}$(p<0.01), 15 nM; $26{\pm}0.67^a$(p<0.01), control; $100{\pm}0^a$(p<0.05), 24 h; $51{\pm}1.53^b$(p<0.05), 48 h; $16{\pm}0.5^c$(p<0.05), 72 h; $12{\pm}1.67^d$%(p<0.05). The PEA was observed on SCC 25 cells with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IC50) value of 1.5 nM at 24 hours. The PEA treated SCC 25 cells demonstrated several types of apoptotic indications, such as nuclear condensation, the increase of sub G1, and the cleavage of PARP-1 and DFF 45. Conclusions : PEA showed anti-cancer activity against SCC 25 cells via apoptosis. PEA may potentially contribute to human oral cancer treatment.

Anti-breast cancer activity of Fine Black ginseng (Panax ginseng Meyer) and ginsenoside Rg5

  • Kim, Shin-Jung;Kim, An Ke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9권2호
    • /
    • pp.125-134
    • /
    • 2015
  • Background: Black ginseng (Ginseng Radix nigra, BG) refers to the ginseng steamed for nine times and fine roots (hairy roots) of that is called fine black ginseng (FBG). It is known that the content of saponin of FBG is higher than that of BG.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antitumor effects against MCF-7 breast cancer cells to target the FBG extract and its main component, ginsenoside Rg5 (Rg5). Methods: Action mechanism was determined by MTT assay, cell cycle assay and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from MTT assay showed that MCF-7 cell proliferation was inhibited by Rg5 treatment for 24, 48 and 72 h in a dose-dependent manner. Rg5 at different concentrations (0, 25, 50 and $100{\mu}M$), induced cell cycle arrest in G0/G1 phase through regulation of cell cycle-related proteins in MCF-7 cells. As shown in the results from western blot analysis, Rg5 increased expression of p53, $p21^{WAF1/CIP1}$ and $p15^{INK4B}$ and decreased expression of Cyclin D1, Cyclin E2 and CDK4. Expression of apoptosiserelated proteins including Bax, PARP and Cytochrome c was also regulated by Rg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g5 stimulated cell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at G0/G1 phase via regulation of cell cycle-associated proteins in MCF-7 cells. Conclusion: Rg5 promotes breast cancer cell apoptosis in a multi-path manner with higher potency compared to 20(S)-ginsenoside Rg3 (Rg3) in MCF-7 (HER2/ER+) and MDA-MB-453 (HER2+/ER)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and this suggests that Rg5 might be an effective natural new material in improving breast cancer.

전립선 암세포에 대한 Cobrotoxin의 항암(抗癌) 기전(機轉) 연구(硏究) (The Study of anti-cancer mechanism with Cobrotoxin on Human prostatic cancer cell line(PC-3))

  • 채상진;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169-183
    • /
    • 2005
  • Cobrotoxin의 항암효과를 알아보고자 암세포인 PC-3 cell에 cobrotoxin을 처리한 후 cell viability, cell death, apoptosis, cell cycle 및 관련단백질, Adk, 및 MAP kinase 관련 단백질의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C-3 세포에 각각 cobrotoxin을 각각 0-16 nM까지 투여시 대조군에 비하여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들의 모양이 길죽한 나선형 모양에서 둥글게 응축되는 모습으로 변하였으며 고농도로 갈수록 세포들의 성장이 억제를 보였다. 2. MTT assay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력을 측정 한 결과, 0.1, 1 및 4nM의 cobrotoxin 처리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세포활성의 감소를 나타내었고, 8, 16nM의 cobrotoxin 처리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세포활성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3. PC3-cell에 cobrotoxin을 처리한후 FACS analysis를 통하여 세포주기를 측정한 결과 세포주기 중 S phase에서 0.0lnM cobrotoxin 처리군은 변함이 없지만, 1, 2, 4, 8 및 16 nM 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감소를 보였다. G2-M phase에서 0.1, 1, 2, 4, 8 및 16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 정상군 에 비하여 증가를 보였다. 4. Cobrotoxin 처리후 Cox-2의 발현을 48시간 관찰한 결과 12시간에서 최대치를 이루었고, 6, 12 및 24시간후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5. G1 phase에서 활성을 이루는 Cdk4, cyclin Dl의 발현을 살펴본 결과 Cdk4는 cobrotoxin 1, 2, 4 및 8nM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 cobrotoxin 4, 8nM 처리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Cyclin Dl은 cobrotoxin 1, 2, 4 및 8nM 처리 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Cycline E는 cobrotoxin 1, 2, 4 및 8nM 처리 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큰 변화가 없었다. G2/M phase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Cyclin Bl 은 cobrotoxin 1, 2, 4 및 8nM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 cobrotoxin 2, 4, 8M 처리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6. 세포성장 단백질인 Akt의 발현을 살펴본 결과 1, 2, 4 및 8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 4, 8nM친 cobrotoxln 처리군은 정상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7. MAP kinase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ERK, p-ERK, JNK, p-JNK p38, p-p38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ERK은 1, 2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증가를, 4, 8nM의 cobrotokin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감소를 나타내었다. p-ERK은 1, 2, 4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증가를, 8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감소를 나타내었다. JNK와 p-JNK는 1, 2, 4 및 8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증가를 나타내었다. p38는 1, 4, 8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감소를, 2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하여 감소를 나타내었다. p-p38는 1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증가를, 2, 4, 8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8. PC 3-cells 성장의 억제 역시 세포사멸을 유도한 세포성장억제 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DAPI staining을 통한 세포의 핵을 염색하여 그 모양을 관찰한 결과, 정상세포가 동글동글 하고 균일한데 비하여 세포사멸이 일어난 세 포는 핵이 응축되고, 여러 조각으로 나뉜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세포사멸을 살펴본 결과 1, 2, 4, 8 및 16nM cobrotoxin 처 8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한 변동을 나타내지 않았다. Bcl-2 는 1, 2, 4 및 8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9. 세포사멸 관련 유전자인 caspase family (caspase 3, 9)와 Bcl-2 family (Bcl-2, Bax), p53의 발현을 살펴본 결과, Bax는 1, 2, 4 및 Caspase 3과 9는 1, 2, 4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한 변동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8nM cobrotoxin 처리군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일정수준(pico 또는 namo molar 수준)의 cobrotoxin이 prostate cancer cell의 성장을 억제하고, 세포사멸을 유도 하여 항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cobrotoxin의 항암 효과를 실제 임상에 활용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