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MgCl_2%24

검색결과 321건 처리시간 0.034초

수산물 가공폐수의 호기성 생분해도에 미치는 염분농도의 영향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on the Aerobic Biodegradability of Sea Food Wastewater)

  • 최용범;권재혁;임재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6-263
    • /
    • 2010
  • 본 논문은 염분농도가 호기성 생분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수산물 가중 폐수 처리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Cl^-$농도(1,400~18,000 mg/L)에 따른 유기물 제거효율 검토결과, $Cl^-$ 6,000 mg/L 이하에서 미생물들은 염분에 적응하였으나 $Cl^-$ 12,000 mg/L 이상에서는 반응시간이 길어져도 처리효율이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생물학적 분해불가능한 용존성 유기물 함유계수 $Y_I$와 미생물 신진대사에 의한 inert 물질 생성계수 Yp는 염분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Cl^-$ 농도(0~18,000 mg/L)에 따른 용존성 유기물 비율은 10.8~13.1%로, 미생물 신진대사에 의한 inert 물질 생성비율은 7.0~24.6%로 조사되었다. $NH_3$-N 제거효율은, 원폐수는 HRT 18 hr에서 96.2%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나, $Cl^-$ 6,000 mg/L, HRT 22 hr에서 96.5%, $Cl^-$ 12,000 mg/L, HRT 30 hr에서 90.2%, $Cl^-$ 18,000 mg/L, HRT 45 hr에서 90.3%의 제거효율을 나타내, 질산화 과정이 유기물 제거 보다 염분농도에 더 민감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폐수내 $Cl^-$ 6,000 mg/L 이상부터는 $NO_2$-N에서 $NO_3$-N로의 전환율도 낮게 조사되었다.

지하수의 수질화학적 특징과 붕소, 브롬, 스트론튬 성인에 대한 고찰 (Origin of B, Br and Sr in Groundwater from Bukahn-myeon, Yeongcheon, Gyeongbuk Province, with Emphasis on Hydrochemistry)

  • 추창오;이진국;이창주;박기호;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19권2호
    • /
    • pp.235-250
    • /
    • 2009
  • 경북 영천 북안면 일대 지하수의 수질화학적 특정과 붕소, 브롬, 스트론튬 성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pH는 7.37${\sim}$8.39 범위로서 중성 내지 약알칼리성이다. B는 0.41${\sim}$4.62mg/L범위로 평균 1.74mg/L 함유된다. Br은 0${\sim}$3.24mg/L 범위, 평균 2.22mg/L 함유되어 있다. Sr은 0.93${\sim}$8.64mg/L 범위, 평균 2.76mg/L 함유되어 있다. 지하수의 수질유형은 $Ca-HCO_3$가 가장 흔하다. EC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주요 성분들은 Na, $SO_4$, Cl 등인데, 이들의 결정계수는 각각 0.85, 0.70, 0.90이다. 염소이온에 대한 Na, K, $SO_4$는 결정계수가 각각 0.54, 0.68, 0.53으로서 서로 비례함을 나타낸다. 특히 B-Sr와 $Sr-SO_4$간의 결정계수는 각각 0.65, 0.64로 상관성이 높다. 지하수의 경우 Cl/Br 비는 5.21${\sim}$30.70 범위인데 이는 염소가 상당히 결핍되어 있음을 지시한다. $SO_4/Cl$의 비는 1.32${\sim}$27.24 평균 5.92범위인데, 이는 지하수에 다량의 $SO_4$ 이온이 유입되거나, 염소결핍 현상으로 해석된다. 화학종의 존재형태를 계산결과 B는 대부분 $H_3BO_3$형을 가지며, 일부는 $H_2BO_3$로서 존재한다. Br은 $Br^-$ 이온으로서만 존재한다. Sr은 대부분 $Sr^{2+}$로서 존재하며, 일부는 $SrSO_4$로 존재한다. 포화지수를 계산한 결과 중정석, 카올리나이트, 일라이트, K-운모, 스멕타이트와 같은 점토광물군은 과포화상태이며, 실리카 광물, 석고, 경석고, 활석, 녹니석, 크리소타일, 장석 등은 거의 포화상태에 근접한다. 셀레스타이트의 포화지수는 -2.23${\sim}$-0.13 범위로서 여전히 불포화상태이다. halite의 경우 상당한 불포화상태에 있다. B, Sr의 경우 본 역에 널리 분포하는 백악기말-신생대초의 유천층군 화산활동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본 지역에서의 Br은 주로 지질과 관련되나 외부 오염물의 유입에 의한 특징도 있다고 볼 수 있다.

Induction of Ornithine Decarboxylase and Tumor Promotion by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Sodium Chloride, and Dimethyl Itaconate

  • Aeree moon, Aeree-Moon;Kim, Dae-Joong;Han, Beom-Seok;Hwang, Moon-Ok;Kim, Chang-Ok;Choi, Kwang-Sik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권2호
    • /
    • pp.137-142
    • /
    • 1993
  • The possible tumor-promoting activities of sodium chloride (NaCl) and dimethyl itaconate (DMI), one of the quinone reductase inducers, were examined on stomach of male Wistar rats treated with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 Administrations of NaCl and DMI after the initiation by MNNG resulted in various sized masses in the rat forestomach. Histopathologic studies showed that the combination of NaCl and DMI made an enhancing effect on the MNNG-induced carcinogenesis, resulting in papilloma in 5 weeks and squamous cell carcinoma in 20 weeks in submucosal area of forestomach. We also used an in vivo shortterm method for evaluating possible tumor-promoting activity with ornithine decarboxylase (ODC) as a marker. The markable inductions of the ODC activities by MNNG, NaCl, and DMI were found in the pyloric mucosa of rat stomach in time-dependent manners. A single administration of MNNG induced ODC activity up to 288 pmol $CO_2$/hr/mg protein at 24 hr after the administration. NaCl caused induction of ODC with a maximum of 179 pmol $CO_2$/hr/mg protein at 8 hr after the administration. ODC was induced up to 539 pmol $CO_2$/hr/mg protein at 16 hr after the administration of DMI. Additional treatment of NaCl and NaCl plus DMl caused 2 fold and 7 fold increases, respectively, in the ODC activity of the MNNG-alone group at 24 hr after the administ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NaCl and DMI have promoting activities in the rat gastric carcinogenesis initiated by MNNG.

  • PDF

사육수의 저염분 변화에 따른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스트레스 반응 (Stress Response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o Hyposalinity)

  • 이복규;박철환;김병기;허준욱;장영진;이종관;임영수;이종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9-75
    • /
    • 2002
  • 사육수의 저염분에 따른 급성 스트레스 반응 (코티졸, 글루코스, Na$^{+}$, K$^{+}$, Cl ̄, 총단백질, ALT, AST, 헤마토크리트, 적혈구수, 헤모글로빈 농도, MCV, MCH 및 MCHC) 조사하였다. 예비사육 수조에서 사육하던 어류를 해수(35$\textperthousand$)가 공급되는 실험수조에서 30분이내에 담수 (0 $\textperthousand$)를 흘려주면서 l5 $\textperthousand$구와 0 $\textperthousand$구로 사육수를 교환하였다. 실험개시시 코티졸 농도는 1.6${\pm}$0.2 ng/$m\ell$로부터 15 $\textperthousand$구는 1시간째 3.5${\pm}$1.8 ng/$m\ell$, 3시간째와 24시간째에는 각각 1.7${\pm}$0.2 ng/$m\ell$와 3.0${\pm}$2.4 ng/$m\ell$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0 $\textperthousand$구는 1시간째 22.8${\pm}$3.8 ng/$m\ell$, 3시간째 9.3${\pm}$1.8 ng/$m\ell$, 24시간째 9.5${\pm}$0.2 ng/$m\ell$로 높아진 값을 보였다. 글루코스 함량은 실험개시시 17.7${\pm}$0.6 mg/dl로부터 15$\textperthousand$구와 0$\textperthousand$구는 1시간째 각각 96.2${\pm}$1.6 mg/dl, 155.8${\pm}$16.0 mg/dl로 높아졌다. 그러나 24시간째에는 각각 13.0${\pm}$3.2 mg/dl, 15.2${\pm}$1.4 mg/dl로 실험개시시 값으로 회복되었다. Na$^{+}$과 K$^{+}$은 15 $\textperthousand$구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0 $\textperthousand$구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존율은 48시간째부터 폐사하기 시작하여 144시간째에는 전량폐사하였다. 삼투압 조절 능력을 위한 여러가지 파라메타에서 15 $\textperthousand$구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추측되나, 0 $\textperthousand$구에서는 코티졸, Na$^{+}$, K$^{+}$, Cl ̄, 총단백질 및 AST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삼투압 조절 능력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도시대기중 호흡성 먼지의 이온성분 거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Ion Compositions of the Respirable Particles in Seoul)

  • 신은상;강병욱
    • 환경위생공학
    • /
    • 제9권2호
    • /
    • pp.24-31
    • /
    • 1994
  • Aerosol size distribution were determined in Seoul by Anderson sampler from October 1989 to September 1991 for the major ionic species(SO$_{4}$$^{2-}$, NO$_{3}$$^{-}$, Cl$^{-}$, Na$^{+}$, Na$^{+}$, K$^{+}$, Ca$^{2+}$ and Mg$^{2+}$) and TSP( Total Suspended Particles ). The seasonal variations in concentrations and size distribution have been investigated. The size distributions of TSP and each of ionic species were bimodal throughout the year. The size distribution of these ions were divided as follows; (1) fine- mode dominant for SO$_{4}$$^{2-}$ and N%'. (2) coarse- mode dominant for NO$_{3}$$^{-}$, Cl$^{-}$, Ca$^{2+}$ and Mg$^{2+}$. (3) both- mode dominant for TSP.

  • PDF

사육수의 담수화시 수용밀도에 따른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생리적 반응 비교 (Physiological Response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y Capacity Density Difference during Salinity Change from Seawater to Freshwater)

  • 허준욱;이복규;민병화;박인석;최철영;이정열;장영진
    • 환경생물
    • /
    • 제22권3호
    • /
    • pp.419-425
    • /
    • 2004
  • 사육수의 담수화시 수용밀도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을 비교하고자, 30마리와 60마리씩 실험수조에 수용하여 30분이내에 사육수를 담수로 교환하였다. 혈장의 Cortisol 농도는 실험개시시 30SW에서 $2.8\;ng\;mL^{-1}$,60SW는 $2.7\;ng\;mL^{-1}$로부터 30FW와 60FW는 24시간째 각각 $66.9\;ng\;mL^{-1}$, $314.1\;ng\;mL^{-1}$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혈장의 Glucose농도는 60SW는 개시시 $15.8\;mg\;dL^{-1}$로부터 60FW는 3시간째 $257.7\;mg\;dL^{-1}$, 24시간째 $164.0\;mg\;dL^{-1}$로 개시시보다 높은 값으로 남아있었다. $Na^+$ 농도는 30SW와 60SW는 시간경과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30FW와 60FW는 시간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Cl^-$농도는 60FW에서 개시시 $59.0\;mEq\;L^{-1}$로부터 3시간과 24시간째에 각각 $43.5\;mEq\;L^{-1}$, $30.0\;mEq\;L^{-1}$로 유의하게 낮아진 값을 보였다. 모든 실험구에서 생존율은 100%였다. 사육수를 24시간동안 담수로 교환시 사육밀도의 차이에 따른 혈장과 혈액학적 지표에서 다소 차이를 나타냈으며, 삼투압 조절 능력 및 생존율에서는 해수에서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고효율 자외선/광촉매 시스템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성 폐수처리

  • 정효기;김중곤;김시욱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5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VI)
    • /
    • pp.272-276
    • /
    • 2005
  • 음식물 폐기물을 3단계 메탄발효 공정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을 때 배출되는 발효폐액은 거의 액상으로 고농도의 sCOD, T-N and $NH_{3}-N$를 함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단계 메탄 발효 후 최종 유출되는 고농도의 유기성 폐수를 물리${\cdot}$화학적 응집 및 침전을 이용하여 전처리 한 후 고효율 자외선/광촉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후속 처리를 하고자 하였다. $FeCl_{3}$를 이용하여 전처리하였을 때 최적 pH 및 농도는 4와 2000 mg/L로 52.6%의 COD제거율을 보였다. 고효율 자외선/광촉매 시스템의 경우 24시간 동안 COD는 2890 mg/L에서 184 mg/L로 감소하였으며, T-N은 2496 mg/L에서 914 mg/L로 감소하였다.

  • PDF

Mercuric Chloride가 붕어(Carassius auratus)에 미치는 급성독성 및 축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ute Toxicity and Accumulation of Mercuric Chloride to Goldfish (Carassius auratus))

  • 이재형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7-106
    • /
    • 1989
  •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study the acute toxic effects of mereuric chloride(HgCl$_{2}$) in goldfish (Carassius aurams). In the study, Lc$_{50}$ values were determined for each 24, 48, 72 ,and 96-hr and mercury bioassay during the tests were performed. in five parts gill, kidney, liver, muscle and egg. The results isummarized were as follows 1. In the range of acute lethal toxicity for goldfish was 0.15-1.50 mg/l and the Lc$_{50}$ values decreased with exposure time. 2. The Lc$_{50}$ values of HgCl$_{2}$ for goldfish at 24, 48, 72 and 96 hour were 0.64, 0.53, 0.46, and 0.39 mg/l, respectively. 3. In the 400 $\mu$g/l treatment group, the average levels of mercury residues in the gill, kidey, liver, muscle and egg during 96 hour were 107.02 $\mu$g/g, 8.65 $\mu$g/g, 6.87 $\mu$g/g, 0.61 $\mu$g/g, and 0.82 $\mu$g/g, respectively. 4. The mercuny residues of gill was up to 12-175 times greater than mercury contents found in the other tissues.

  • PDF

염 첨가 반응(MgCl2·6H2O)을 이용하여 백운석으로부터 Ca 화합물과 Mg 화합물 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nthesis of Ca and Mg Compounds from Dolomite with Salt Additional React (MgCl2·6H2O))

  • 황대주;유영환;조계홍;이종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9권3호
    • /
    • pp.399-409
    • /
    • 2021
  • 백운석을 칼슘/마그네슘 화합물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마이크로웨이브 소성로(950 ℃, 60 min)을 이용하여 소성하여 고반응성 경소백운석(CaO·MgO)을 제조하였다. Hydration test(ASTM C 110) 기준에 따라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수화 반응성 결과, 중 반응성(max 74.1 ℃, 5 min)으로 분석 되었다. 경소백운석의 수화 반응에 기초하여 경소백운석과 염(MgCl2·6H2O) (a) 1:1, (b) 1:1.5, (c) 1:2 wt%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염 첨가 비율이 증가 할수록 경소백운석의 MgO가 Mg(OH)2로 증가되는 것을 X-선 회절 분석 결과 확인하였다. 분리 반응 후 칼슘은 CaCl2 용액 상태로 80 ℃, 24 시간 동안 교반시켜 흰색 결정체인 CaCl2가 제조 되었다. XRD 분석 결과, CaCl2·(H2O)x(calcium chloride hydrate)로 경소백운석과 염 첨가 반응에 의한 CaO는 CaCl2로 분리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CaCl2 용액에 NaOH 첨가 반응으로 순도 99 wt%의 Ca(OH)2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Ca(OH)2를 열처리 과정을 통하여 CaO를 제조하였다. 탄산칼슘을 제조하기 위해 CaCl2 용액에 Na2CO3 첨가 반응으로 CaCO3를 합성하였으며, 형상은 큐빅(cubic) 형태로 순도 99 wt%로 분석 되었다.

자전연소 합성법을 이용한 W-B 화합물 합성 및 조건 변수의 영향 (Synthesis of Tungsten Boride using SHS(Self-propagating High-temperature Synthesis) and Effect of Its Parameters)

  • 최상훈;;원창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49-254
    • /
    • 2014
  • Due to their unique properties, tungsten borides are good candidates for the industrial applications where certain features such as high hardness, chemical inertness, resistance to high temperatures, thermal shock and corrosion. In this study,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for producing tungsten boride powder from tungsten oxide($WO_3$) by self-propagating high-temperature synthesis (SHS) followed by HCl leaching techniques. In the first stage of the study, the exothermicity of the $WO_3$-Mg reaction was investigated by computer simulation. Based on the simulatio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and the SHS products consisting of borides and other compounds were obtained starting with different initial molar ratios of $WO_3$, Mg and $B_2O_3$. It was found that $WO_3$, Mg and $B_2O_3$ reaction system produced high combustion temperature and radical reaction so that diffusion between W and B was not properly occurred. Addition of NaCl and replacement of $B_2O_3$ with B successfully solved the diffusion problem. From the optimum condition tungsten boride($W_2B$ and WB) powders which has 0.1~0.9 um particle size were synthes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