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MgB_2%24

검색결과 777건 처리시간 0.031초

$(Mg_{0.93}Ca_{0.07})TiO_3$ 세라믹스의 소결 및 마이크로파 유전특성에 미치는 $B_2O_3$의 영향 (Effects of $B_2O_3$ Addition on the Sintering Behavior and the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Mg_{0.93}Ca_{0.07})TiO_3$ Ceramics)

  • 이득우;박재환;김인태;박재관;김윤호;최덕균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87-293
    • /
    • 1998
  • The effects of B2O3 addition on the sintering behavior and th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Mg_{0.93}Ca_{0.07})TiO_3$ ceramics were investigated. By addition of $B_2O_3$, increases the density of the ceramics increases and grain growth enhances, It was densified to over 94% of $(Mg_{0.93}Ca_{0.07})TiO_3$ theoretical density by the addition of 0.15-1.0wt% B2O3 and stable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bserved by the addition of 0.2-0.4wt% $B_2O_3.\;(Mg_{0.93}Ca_{0.07})TiO_3$ ceramics sintered at $1200^{\circ}C$ exhibits maximum dielectric constants of 24-25 quality factor($Q{\times}f$) of more than 70000 and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onant frequency of $0\;ppm/^{\circ}C$ by adding of 0.15-0.4wt% $B_2O_3$.

  • PDF

고농도 포도당이 사람 치주인대세포의 Integrin과 Cathepsin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Glucose at High Concentrations on the Integrin and Cathepsin Expression of the Cultured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 김방수;신제원;홍정표;주성숙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1호
    • /
    • pp.35-40
    • /
    • 2008
  • 고농도 세포외 포도당이 치주인대세포의 integrin 발현과 cathepsin-B 및 -L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사람 치주인대로부터 일차배양을 통해 얻은 치주인대세포를 1,000 mg/L 농도의 포도당이 포함된 배양액(대조군)과 4,500mg/L 농도의 포도당이 포함된 배양액(실험군)으로 나누어 24시간과 48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RT-PCR을 통하여 integrin, cathepsin-B 및 -L의 발현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alpha}5$ intergrin 발현이 증가하였다. 2. Cathepsin-B는 24시간 배양 실험군에서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48시간 배양후에는 발현이 감소하였다. 3. Cathepsin-L은 24시간과 48시간 배양군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발현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농도 포도당 조건은 치주인대세포의 integrin 발현을 증가시키며, 이는 세포활성에 영향을 미쳐 치주조직의 재생을 지연시킬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이 과정은 cathepsin 발현의 감소로 인해 촉진될 것으로 생각된다.

Pectinase 처리가 복분자 과즙의 추출 수율 향상과 알코올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ctinase Treatment on the Extraction Yield Improvement from Rubus coreanus Juice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during Alcohol Fermentation)

  • 정은정;김형은;신동화;김용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02-708
    • /
    • 2007
  • Pectinase 처리가 복분자 과즙의 추출 수율에 미치는 영향과 알코올 발효 중 이화학적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Pectinex 100L 처리(500 ppm, 30분)에 의해 복분자 과즙의 추출 수율은 대조구보다 8.60%가 증가되었다. 설탕 첨가에 의해 $24^{\circ}Brix$에서 발효를 시작한 처리구(24B-group)와 $8^{\circ}Brix$에서 발효를 시작하고 발효 4일 후에 설탕 16%를 첨가한 처리구(8B-group)의 고형분 함량은 발효 10일 후에 각각 $8.2{\sim}8.3%$$7.7{\sim}8.0%$로 감소하였으나 Pectinex 100L 처리에 의한 유의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Pectinex 100L 처리구의 초기 적정산도는 $1.18{\sim}1.22%$로서 대조구(1.02%)보다 약간 높았다. 발효 초기에 복분자 과즙의 명도($L^*$)와 황색도($b^*$)는 효소처리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적색도($a^*$)는 증가하였다. 대조구와 효소처리구 사이의 색차(${\Delta}E^*$)는 발효기간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발효 10일 후 24B-group과 8B-group의 알코올 함량은 각각 $16.01{\sim}16.22%$$13.29{\sim}13.52%$ 이었으며, 메탄올 함량은 각각 $0.359{\sim}0.404$ ppm과 $0.520{\sim}0.604$ ppm을 나타내어 법적 기준에 적합하였다.

Determination of Silybin B in the Different Parts of Silybum marianum using HPLC-UV

  • Rodriguez, Joyce P.;Quilantang, Norman G.;Lee, Ju Sung;Lee, Jeong Min;Kim, Hyun Young;Shim, Jae Suk;Lee, Sanghy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4권2호
    • /
    • pp.82-87
    • /
    • 2018
  • Silymarin is the standardized extract from Silybum marianum which consists mainly of flavonoids and polyphenols. It is highly regarded for its hepatoprotective ability. Silybin B is a flavonolignan and one of the active components of silymarin. The content of silybin B in various parts of S. marianum was analyzed by HPLC-UV. Results show that the extract of seeds contain the highest amount of silybin B (7.434 mg/g DW). The petioles of S. marianum showed a low content of silybin B. This study revealed that seeds of S. marianum contain high amount of silybin B and could be a good source of the compound.

재래종(在來種) 들깨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Korean Native Perillas)

  • 성환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9-74
    • /
    • 1976
  • 우량종으로 선발된 6종의 재래종 들깨를 동일조건으로 재배하여 그 종실(種實)과 잎의 일반성분과 무기물을 분석하고 우수품종에 대한 유리 amino acid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실(種實)의 유지 함유량은 인천 군산 재래종이 각각 52%, 50.87%였고, 전부 45% 이상을 함유하고 있다. (2) 종실(種實)의 단백질 함유량은 대구 대전 재래종이 각각 22.31%, 19.15%이고, 잎의 단백질을 대전 대구 재래종이 5% 이상을 함유하고 있다. (3) Vitamin C와 $B_2$ 는 잎에 각각 60mg, $170\;{\mu}g%$ 이상을 함유하고 있다. (4) 종실(種實)의 무기질은 K Mg가 많고, 잎에는 K Ca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무기질은 종실(種實)에 비해서 잎이 $2{\sim}10$배 이상을 함유하고 있다. (5) 대전 재래종의 종실에는 유리 amino acid로서 arginine 54.2mg%, alanine 23.9mg%가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glutamic acid 24.8mg%, alanine 9.1mg%가 함유되어 있다.

  • PDF

오가피 열매 발효주의 제조 및 특성 (Manufacturing and Characteristics of Fruit Wine from Acanthapanax sessiliflorus)

  • 최재명;김광엽;이상화;안준배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1호
    • /
    • pp.1-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오가피(Acanthopanax sessiliflorus)의 열매 발효주를 제조하였고 발효 중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그 특징을 규명하였다. 열매의 일반성분 조성은 수분75.74${\pm}$0.49%(w/w), 조단백질 12.51${\pm}$1.23%(w/w), 조지방 4.20${\pm}$0.51.%(w/w), 조회분 5.21${\pm}$1.64%(w/w)이었으며 주된 미네랄 성분은 칼륨(12.94${\pm}$0.08 mg/g), 칼슘 (1.53${\pm}$0.06 mg/g), 마그네슘(1.12${\pm}$0.05 mg/g) 등 이었다. 발효주 제조를 위해 설탕으로 24, 26, 28, 30, 32$^{\circ}$Brix가 되도록 가당하고 발효 한 결과 30$^{\circ}$Brix 이상 가당 하였을 경우 알콜 발효가 저해되었으므로 목적하는 최종 알콜 농도와 잔당에 따라 24-30$^{\circ}$Brix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발효가 진행되면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20${^{\circ}C}$로 발효한 경우가 125.24${\pm}$1.86 mg/mL로 25${^{\circ}C}$(99.69${\pm}$2.11 mg/mL), 30${^{\circ}C}$(95.55${\pm}$1.54 mg/mL)에서 발효한 경우보다 더 많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또한 전자공여능을 측정 한 결과 20, 25, 30${^{\circ}C}$에서 발효시 각각 85.9${\pm}$2.3, 55.7${\pm}$2.5, 55.2${\pm}$3.4%로 20${^{\circ}C}$에서 발효하였을 경우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을 보였는데 이는 1%(w/v) $\alpha$-tocopherol의 전자공여능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오가피 열매의 주된 생리활성 물질인 eleutheroside B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여 최대 146.58${\pm}$4.10 $\mu$g/mL에 이르렀다. 그러나 발효 온도에 따라 eleutheroside B 함량은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착색료나 동물사료로 사용되거나 폐기되는 오가피 열매가 생리활성물질을 다량 함유한 고부가가치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Bordetella bronchiseptica is a potent and safe adjuvant that enhances the antigen-presenting capability of dendritic cells

  • Lee, You-Jeong;Han, Yong;Joo, Hong-Gu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4권1호
    • /
    • pp.47-52
    • /
    • 2020
  • We previously demonstrated that Bordetella bronchiseptica (B. bronchiseptica) antigen (Ag) enhances the Mycoplasma hyopneumoniae Ag-specific immune response. The focus of this study was whether acellular bacterin of B. bronchiseptica could be used as an adjuvant to increase antigen-presenting capability of dendritic cells (DCs) by increasing the level of activation. The metabolic activity of DCs was increased by B. bronchiseptica, similar to lipopolysaccharide (LPS). Flow cytometry analysis revealed that B. bronchiseptica increases the expression of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class-2, cluster of differentiation (CD)40, CD54, and CD86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DC-mediated immune responses. B. bronchiseptica enhanced the production of cytokines related to adaptive immune responses. Furthermore, the survival rate of B. bronchiseptica-injected groups was 100% at 15 and 20 mg/kg doses, whereas that of LPS-injected groups was only 20%, 0% at 15 and 20 mg/kg doses respectively, and so B. bronchiseptica is likely to be safer than LP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 bronchiseptica can be used as an adjuvant to enhance the antigen-presenting capability of DCs. B. bronchiseptica is a candidate for producing vaccines, especially in case of DC-mediating efficacy and safety demands. This study provides researchers and clinicians with valuable information regarding the usage of B. bronchiseptica as a safe bacteria-derived immunostimulating agent for developing efficient vaccines.

High-Level Expression in Escherichia coli of Alkaline Phosphatase from Thermus caldophilus GK24 and Purification of the Recombinant Enzyme

  • Lee, Jung-Ha;Cho, Yong-Duk;Choi, Jeong-Jin;Lee, Yoon-Jin;Hoe, Hyang-Sook;Kim, Hyun-Kyu;Kwon, Suk-Ta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5호
    • /
    • pp.660-665
    • /
    • 2003
  • High-level expression of Thermus caldophilus GK24 alkaline phosphatase (Tca APase) was achieved in Escherichia coli using the pET-based expression plasmids, pEAP1 and pEAP2. In the case of plasmid pEAP2, the signal peptide region of Tca APase was replaced by the PelB leader peptide of expression vector pET-22b(+). Furthermore, the expression level was somewhat higher than that of plasmid pEAPl. A rapid purification procedure of Tca APase overproduced in E. coli was developed which involved heating to denature E. coli proteins followed by HiTrap Heparin HP column chromatography. Optimal temperature and pH and $Mg^{2+}$ dependence of the recombinant Tca APase were similar to those of native enzyme isolated from T. caldophilus GK24.

苗齡을 달리한 참취종묘의 山地 활착 및 초기생육 (Establishment and Growth of Different-aged Aster scaber Thunb. Seedlings in Mountainous Areas)

  • 박병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4-29
    • /
    • 1997
  • 참취의 효율적인 산지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묘령에 따른 참취종묘의 산지 활착력과 정식 당해년도의 초기생육 양상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80일 생육 후 조사한 지역별 최종활착율은 북방에서 가장 높았고(72%) 고도가 높은 연엽산 지역(A, B)에서 $27\sim45%$로 비교적 낮았다. 묘령별로는 48-65% 범위의 활착율을 보였으며 90일묘가 65%로 가장 활착율이 높았다. 2. 엽수는 지역간에 묘령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연엽산 B지역을 제외하고 평균 $1.9\sim24$매였으며 자생참취의 엽수와 거의 같았다. 묘령별로는 150일묘와 120일묘가 평균 2.3매로 엽수가 가장 많았으나 자생참취(2.2매)와 거의 같았다. 3. 초장은 연엽산 A지역에서 정식하여 생장한 참취가 가장 길었으며(10.7cm), 자생참취는 대룡산지역의 참취가 가장 길었다(25.3cm). 묘령별로는 90일묘가 초장이 가장 길었으나 자생 참취의 평균초장에 비하여 절반정도에 불과하였다. 4. 지역별 건물중은 연엽산 A지역에서 가장 높았고 연엽산 B지역이 가장 낮았다. 묘령별로는 120일 묘와 90일 묘가 평균 215mg과 205mg으로 양호하였으며 60일묘가 93mg으로 가장 낮았다.

  • PDF

Protective Effect of Panax ginseng Against Tetracycline Toxicity in Rats

  • Nada, Somaia A.;Arbid, Mahmoud S.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94-98
    • /
    • 2000
  • Tetracycline hydrochloride (TC) caused 100%, 50% and 20% mortality rates among rats injected with 40 mg, 30 mg and 20 mg/100g. b.w. respectively; while the morta]ity rates were decreased to 50%, 20% and 10% when Panax ginseng (2 mg/100g. b.w.) injected with TC during 72 hrs. post-injection. Subacute-toxicity study demonstrated that TC caused severe hepato-nephrotoxicity (demonstrated by biochemical analysis of serum including: transferases , alkaline phosphatase, total protein, glucose, cholesterol urea and creatinine) in rats injected i.p. with 10 mg and 5 mg/100g. b.w. for 7 days of daily injection . These signes of toxicity were greatly diminished by P. ginseng addition to TC do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