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MgB_2%24

검색결과 775건 처리시간 0.036초

Enhanced superconducting properties of MgB2 by doping the carbon quantum dots

  • K.C., Chung;S.H., Jang;Y.S., Oh;S.H., Kang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55-58
    • /
    • 2022
  • Carbon-based doping to MgB2 superconductor is the simplest approach to enhance the critical current densities under magnetic fields. Carbon quantum dots is synthesized in this work as a carbon provider to MgB2 superconductors. Polyvinyl Pyrrolidone is pyrolyzed and dispersed in dimethylfomamide solvent as a dopant to the mixture of Mg and B powders. Doped MgB2 bulk samples clearly show the decrease of a-axis lattice constant, grain refinements, and broadening of FWHM of diffraction peaks compared to un-doped MgB2 possibly due to the carbon substitution and/or boron vacancy at the boron site in MgB2 lattice. Also, high-field Jc for the doped MgB2 is enhanced significantly with the crossover about 3 T at 5 & 20 K when increasing the doping of carbon quantum dots.

Reaction temperature dependence of MgB2 superconducting bulks using the different sizes of Mg raw powders

  • K.C., Chung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36-39
    • /
    • 2022
  • Since the MgB2 superconductor is simply composed of two constituents of Mg and B, its performance can be monitored easily with the change of one ingredient compared to the other. With the powder size of B less than 100 nm, two different sizes of Mg powders are used to investigate the reaction temperature dependence of MgB2 bulk samples. In the range of 630-700℃ for the duration of 30 min., the un-reacted Mg is seen only at 630℃ with Mg powder size of <5 ㎛, whereas Mg traces are detected at all the temperature range with Mg powder size of <45 ㎛. The reaction temperature dependence of MgB2 superconducting transition temperature, Tc, shows little difference whether Mg powder size is large or small in this range except for the 630℃. It is worthy of notice that the critical current densities of MgB2 show higher performance with the small size of Mg compared to the large one at all field ranges. With the Mg powder size of <45 ㎛, flux pinning is enhanced with decreasing the reaction temperature, whereas flux pinning properties is quite similar in the Mg powder size of <5 ㎛ except for the 630℃, where Mg is left behind after the reaction.

Cadmium으로 유발된 흰쥐 간독성에 대한 스쿠알렌 효과 (Effects of Squalene on Mouse Liver Toxicity with Cadmium)

  • 김종세;윤중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2호
    • /
    • pp.141-152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CdCl_2$이 간 미세조직에 일으키는 독성에 대한 50의 억제효과를 연구하는데 있다. 본 실험에서는 총 40마리의 건강한 ICR계 mouse를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먼저 2개군(group A, and B)으로 구분하였다. A군에는 $CdCl_2$(40mg/kg)을 복강투여 하였다. B군에는 SQ (180 mg/kg, 2회/일)과 $CdCl_2$ (4.0 mg/kg)을 동시 복강 투여하였다. 각 군은 24, 48, 72, 96시간째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군 : 핵막은 24시간대에서 매우 불규칙하게 관찰되었고, 48시간대부터는 대체로 원형을 유지하였다. 사립체는 72시간까지 내강이 파괴된 채로 관찰되었고, 96시간대에는 일부에서만 내강 파괴가 관찰되었다. 과립형질 내세망은 내강이 전 시간대에 걸쳐 팽대된 소견을 보였고, 72시간대부터 층판구조를 형성하였다. 용해소체가 24 시간대부터 세포질에서 관찰되었고, 72시간대부터는 글리코겐이 관찰되었다. 2. B군 : 핵막은 전 시간대에 걸쳐 비교적 규칙적인 형태를 보였다. 사립체는 전반적으로 원형 ,세장형 등 정상적인 형태로 관찰되었다. 과립형질내세망은 48시간군에서 내강이 팽대되었고 층판구조가 일부 분절된 소견을 보였지만, 72시간부터는 전형적인 층판구조가 관찰되었다. 용해소체와 glycogen은 24시간대부터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50이 mouse간세포에 미치는 카드뮴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감장아찌의 성분특성 및 관련 미생물 (Associated Microorganism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Persimmon Pickles)

  • 정동옥;정희종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33-137
    • /
    • 1995
  • 우리나라의 남부지방의 대부분 농가에서 대량 생산되고 있으나 농가소득에는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떫은 감의 손쉬운 가공에 의한 대량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감장아찌의 화학적 품질 특성을 규명하고 감장아찌 제조 및 유통과정에서의 품질과 관련된 미생물을 순수분리하여 동정함으로써 감장아찌의 품질관리에 기여코자 하였다. 제조된 감장아찌 완제품의 수분함량은 80.04%, 당질함량은 13.72%로 원료감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조회분함량은 염액에 침지한 감장아찌의 특성때문에 원료감보다 훨씬 높은 4.26%였다. 수용성 탄닌함량은 81.04mg%로 635.45mg%인 원료감보다 크게 감소되었고 총 비타민 C는 23.76mg%로 약간 감소되었으며 유리당은 포도당, 과당, 자당의 순으로 함유되었다. 유리아미노산은 총 17종이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고 그 함량은 glutamic acid(24.97mg%), aspartic acid(24.02mg%), leucine(22.33mg%)의 순으로 높았으며 methionine이 2.42mg로 가장 낮았다. 감장아찌 제조와 관련된 미생물로는 세균 4균주와 효모 3균주가 각각 동정되었는데 동정된 Bacillus subtilis, B. cereus, B. pumilus, B. thuringiensis였고 효모는 Candida glabrata, C. guilliermondi and Hansenula였으며 진공포장하여 상품화한 감장아찌 완제품의 유통과정에서 포장의 부풀림과 감장아찌 맛의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균은 효모인 Candida glabrata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시판(市販) 도마도 가공품(加工品)의 품질(品質) 비교연구(比較硏究)(I) - 도마도 켓찹을 중심(中心)으로 - (A Quality Comparative Study on the Tomato Product in Korean Markets (I) - An Analytical Report on the Nutritive Ingredients and the Standardization of Duality of Tomato Katchup Marketed -)

  • 노숙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14
    • /
    • 1979
  • The consumption of catchup is increasing due to the raising of income level and food industry and westernization of dietary life followed by economic growth. In this paper I picked up three kinds of food produced by two foreign food companies and three kinds of food by two domestic companies. The average results by experimentation on the nutritive ingredients and the standard quality was as follows; A. Nutritve ingredients; 1) Water content a) Domestic 68.3% b) Foreign 69.1% 2) Protein content a) Domestic 2.2 g b) Foreign 2.1 g 3) Fat content a) Domestic 0.1 g b) Foreign 0.1 g 4) Carbohydrate content a) Domestic 25.1 g b) Foreign 24.6 g 5) Mineral content (Ash) a) Domestic 4.4 g b) Foreign 3.9 g 6) Calcium content a) Domestic 33.5 mg b) Foreign 24.2 mg 7) Phosphorus content a) Domestic 16.1 mg b) Foreign 24.2 mg 8) Vitamin C content a) Domestic 14.6mg b) Foreign 16.0 mg B. Standard quality 1) Remains after evaporation a) Domestic 41.7% b) Foreign 38.4% 2) Free mineral acid content a) Domestic none b) Foreign none 3) Tar chromatophore a) Domestic $trace(Acid)^+$ b) Foreign none 4) Heavy metalic $elements^*$ 5) Sodium chloride content a) Domestic 3.3% b) Foreign 3.3% 6) pH level a) Domestic 3.83 b) Foreign 3.76 + The tar chromatophore elements could not be accurately measured by chromatography. * The heavy metalic elements were both under safety levels in the domestic and foreign products.

  • PDF

Superconducting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electron beam irradiated MgB2 superconductors

  • Kim, C.J.;Lee, Y.J.;Cho, I.H.;Jun, B.H.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8-22
    • /
    • 2022
  • The effect of electron beam (EB) irradiation on superconducting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s of MgB2 bulk superconductors were investigated. At E-beam doses of 1×1016 e/cm2 and 1×1017 e/cm2, the effect of irradiation on a superconducting transition temperature (Tc) of MgB2 was weak. As a dose increases to 5×1017 e/cm2, Tc decreases by 0.5 K. The critical current density (Jc) measured at 4.2 K and 20 K, and 0 T - 5 T increases slightly as exposure time increases. X-ray diffraction for the irradiation surface of MgB2 shows that the diffraction intensity of (hkl) peaks decreases proportionally as the exposure time increases. This indicates that the crystallinity of MgB2 was degraded by irradiation. TEM investigation for the irradiated sample showed distorted lattice structure,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XRD results. The Jc increase and Tc reduction of MgB2 by irradiation are believed to be caused by the lattice distortion.

소아 단백뇨 검사에 있어서 단회뇨 단백/크레아티닌 비의 유용성 및 일일 요단백량과의 연관성 (The Usefulness of Spot Urine Protein/Creatinine Ratio in Evaluating Proteinuria in Childre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24-hour Urinary Protein Amount and Spot Urine Protein/Creatinine Ratio)

  • 홍선영;김지영;정우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2호
    • /
    • pp.173-177
    • /
    • 2003
  • 목 적 : 근래에 들어 단회뇨를 이용한 단백/크레아티닌 농도비(P/C ratio; PCR)를 이용하여 24시간 요단백량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일치되지 않은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서 24시간 요단백량과 단회뇨의 PCR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런 상관관계에 단백뇨의 양, 연령, 성별 및 사구체 여과율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2년 3월부터 2002년 8월까지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소아과 신장클리닉에 내원한 외래 및 입원 환아 94명을 대상으로 24시간 채뇨를 실시하여 단백량과 크레아티닌 양,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하였고, 24시간 채뇨 직후의 단회뇨를 이용하여 단백/크레아티닌 농도비(P/C ratio; PCR)를 측정하였다. 모든 예에서 혈청 크레아티닌, 알부민을 동시에 측정하였다. 검사의 신뢰성을 위하여 일일 요 중 크레아티닌 배설양이 15 mg/kg 이상이었던 68례 만을 분석대상에 포함하였다. 결 과 : 1) 대상 환아의 평균 연령은 $11{\pm}3.5$세였으며, 평균 혈청 크레아티닌은 $0.64{\pm}0.25mg/dL$, 사구체 여과율은 $132{\pm}68mL/min/1.73m^2$, 평균 혈청 알부민 수치는 $4.6{\pm}5.2g/dL$이었다. 평균 24시간 요단백량은 $826{\pm}2,891mg/m^2/day$이었고, 단회뇨의 PCR은 $1.39{\pm}4.15$였다. 2) 24시간 요단백량과 단회뇨의 PCR 사이의 상관관계 : 전체대상 환아에서 24시간 요단백의 양과 단회뇨의 PCR은 R=0.936의 상관계수를 보이며, 유의한 양의 선형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01). 24시간 요단백량에 따라 분류된 두 군과, 연령에 따라 분류된 두 군에서도 각각 24시간 요단백량과 단회뇨의 PCR은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3) 24시간 요단백량을 예측하기 위한 PCR의 각 cutoff 치에 따른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도 및 음성예측도 : 24시간 요단백량이 500 mg 이상임을 예측하기 위한 PCR의 cutoff치를 0.5 또는 1.0 이상으로 정했을 때, 그리고 24시간 요단백량이 1,000 mg 이상임을 예측하기 위한 PCR의 cutoff치를 0.5 또는 1.0 이상으로 정했을 때의 각각의 경우를 분석한 결과, 요단백량 500 mg/day 이상을 PCR 0.5의 cutoff치로 예측할 경우가 가장 높은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및 음성예측도를 보였다. 4) 24시간 요단백량과, 단회뇨의 PCR 사이의 오차에 관여하는 요인 : 24시간 요단백량과 단회뇨의 PCR 사이의 오차(fractional difference)와 일일 요단백량, 사구체 여과율, 연령 인자사이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연령이 유의하게 작용함을 나타내었고, 요단백량과 사구체 여과율은 유의하지 않았다. 남녀 각 군을 나누어서 분석하였을 경우도 오차에 연령이 유의하게 작용하였다. 성별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오차는 성별에 따라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24시간 요단백량과 단회뇨의 PCR 사이의 오차에 관여하는 요인으로 요단백량과 성별, 사구체 여과율은 의미있는 영향을 주지 않았고, 연령은 유의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소아에서도 24시간 요단백량을 예측하기 위한 단회뇨의 PCR의 cutoff치를 설정함에 있어서 나이와 성별 등의 요인들에 의한 영향을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한 더 광범위한 조사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얻어진 PCR cutoff 치가 설정되기 이전에는 단회뇨의 PCR의 임상적 적용은 검색검사의 목적으로 제한되어야 함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Diagnostic accuracy of urinary biomarkers in infants younger than 3 months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 Jung, Nani;Byun, Hye Jin;Park, Jae Hyun;Kim, Joon Sik;Kim, Hae Won;Ha, Ji Y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1권1호
    • /
    • pp.24-29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agnostic accuracy of urinary biomarkers, such as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uNGAL) and ${\beta}-2$ microglobulin (uB2MG), in early detection of urinary tract infection (UTI) in infants aged <3 months with fever. Methods: A total of 422 infants aged <3 months (male:female=267:155; mean age, 56.4 days), who were admitted for fever, were retrospectively included in this study. We compared uNGAL and uB2MG between the UTI and non-UTI groups at the time of admission.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ccuracy, and area under the curve (AUC) of uNGAL and uB2MG for use in diagnosing UTI were assessed. Results: Among 422 patients, 102 (24.2%) were diagnosed with UTI. Levels of uNGAL were higher in the UTI group than in the non-UTI group (366.6 ng/mL vs. 26.9 ng/mL, P<0.001). Levels of uB2MG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2 groups.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uNGAL was an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 for UTI (P=0.033).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were 90.2%, 92.5%, and 91.9% for uNGAL, and 48.0%, 43.8%, and 44.8% for uB2MG, respectively. AUC of uNGAL was 0.942 and that of uB2MG was 0.407. Conclusion: Accuracy of uNGAL in the diagnosis of UTI is high in febrile infants aged <3 months. uNGAL can help in th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UTI in infants.

보론 분말의 결정화에 대한 열처리 영향과 MgB2 초전도체의 임계전류밀도 특성 (Effect of Heat-Treatment on the Crystallization of B Powder and Critical Current Density Property of MgB2 Superconductor)

  • 유병윤;김찬중;박순동;전병혁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4권9호
    • /
    • pp.465-468
    • /
    • 2014
  • The crystallization effects of boron (B) powder on the phase,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values, and crit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for in-situ reacted $MgB_2$ bulk superconductors. The semi-crystalline B powder was heat-trea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of 1000, 1300 and $1500^{\circ}C$ for 5 hours in an Ar atmosphere. Then, using as-received and heat-treated B powders, the $MgB_2$ samples were prepared at $600^{\circ}C$ for 40 hours in an Ar atmosphere. As the heat-treatment temperature of the B powder increased, both the particle size of the B powder and crystalline phase increased. In the case of $MgB_2$ samples using B powders heat-treated at above $1300^{\circ}C$, unreacted magnesium (Mg) and B remained due to the improved crystallinity of the B powder. As the heat-treatment temperature of B powder increased, the critical current density of $MgB_2$ decreased continuously due to the reduction of grain boundary density and superconducting volume caused by unreacted Mg and B.

차단성 다층 트레이에 포장된 레토르트 닭 가슴살제품의 냉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torted Chicken Breast Products Packaged in a Multilayer Barrier Tray During Chilled Storage)

  • 장동현;이근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83-490
    • /
    • 2012
  • 본 연구는 RTE형 레토르트 닭 가슴살을 $10^{\circ}C$에서 24주간 저장하면서 저장 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 변화를 확인하고 저장수명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미생물은 호기성총균, 중온성 호기성 및 혐기성 포자형성균과 Clostridium spp. 모두 1.0 log CFU/g(검출한계) 이상 검출되지 않았다. pH값은 저장 0일차에 6.56이었고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저장 24주에 6.34로 나타났다. TBARS값은 최초 0.52 mg MA/kg에서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인 경향으로 증가하여 저장 24주에 3.70 mg MA/kg으로 나타났다. VBN값은 저장 초기에 2.1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점차 증가하여 저장 24주차에 39.9 mg/100 g으로 측정되었다. 포장 내 산소농도는 저장 초기 5.7%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저장 24주에 3.3%로 나타났다. 저장기간 중 닭 가슴살과 충진액의 황색도는 점차 증가하고, 충진액은 점차 탁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닭 가슴살의 저장 중 관능적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저장 24주에 색, 조직감, 이취 및 풍미에 대한 모든 평가항목에서 상품성의 한계치인 5.0 미만으로 측정되었다. RTE형 레토르트 닭 가슴살의 물리화학 및 관능학적 품질 변화 지표들에 대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0^{\circ}C$에서 저장시 최소한 20주간 상품성이 유지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